비철금속의 미세조직관찰 보고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철금속의 미세조직관찰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 실험방법
Ⅳ. 결과 및 고찰
Ⅴ. 참고 자료

본문내용

섞을 때 기포를 최소화하여야 한다. 《그림 1.5》은 상온 경화벙법에서 수지를 주입하는 장면이다.
상온 경화는 마운팅이 열압축성형 마운팅에 비하여 견고하지 않으므로, 금속재료중에서 경도가 아주 높지 않은 시료나 열이나 압력에 약한 시료의 마운팅에 적합하다. 압축성형을 위해서는 성형기가 필요한데, 수지는 작은 고체덩어리인 열경화성 페놀 수지, 열 가소성 아크릴 수지 또는 다이알 수지를 사용한다. 성형기 내부 틀에 시료를 놓은 후 그 위로 수지를 적당량 넣고 135~150℃ 온도에서 녹여 3,000~4,2000psi의 압력을 가한 후 냉각하여 시편을 만든다.
성형될 시편의 크기는 지름이 25~40㎜의 범위에서 선택 가능하다. 이 방법은 열 및 압력에 의해 손상을 입지 않는 일반 금속 재료 등에 널리 사용되며, 마운팅이 견고한 장점이 있어서 시료의 가장자리를 볼 경우에는 매우 유리하다. 이 방법을 사용할 때의 주의점은 수지를 틀 속으로 부을 때 밖에서 보이지 않으므로 시료의 크기에 따라서 마운팅 높이가 너무 높아지든지 낮아지므로 거울을 이용하여 보면서 정해진 선까지 수지를 넣도록 한다. 또한 온도나 압력이 적절하지 않으면 수축이나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침탄시료와 같이 시료의 표면에서부터의 침탄층의 관찰이나 미소경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시편의 가장자리 보전이 필요한데 이 경우에는 마운팅 단계부터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 대부분의 수지가 전기 절연체이므로 전해연마 그리고 주사 전자 현미경(SEM) 등의 시료의 마운팅에는 전기 전도도가 좋은 수지도 사용된다.
시료가 많은 경우는 시료명을 새겨 놓지 않으면 구분이 어려워지므로 조연마가 끝나면 시료에 시료명을 각인해 놓아야 한다. 사인펜 등은 연마, 부식의 과정에서 지워지므로 전기진동 인그레이버《그림 1.6》를 사용하여야 한다.
(3) 조연마 (rough grinding)
이 단계는 절단 시 열에 의하여 변형된 조직 및 산화잔류물 등을 제거하며 시편의 표면을 평활하게 만드는 작업이다. 이에 적절한 장비로는 벨트형 여마기 및 원형 연마기가 있는데 벨트형 연마기가 원형 연마기보다 더욱 효율적이다.
연마포는 두 가지 종류가 있으며 탄화규소(SiC)가 가장 일반적이며, 조연마에서는 통상 150㎛의 입도보다 큰 것이 사용된다. 지르코니아, 알루미나와 세라믹 복합재 벨트는 백주철 등과 같이 특별히 경한(hard) 재료에 사용한다. 이 벨트는 절단 및 냉각 효과가 높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냉각수 순환장치 대신 진공 먼지 흡입 장치를 사용하며 연마 속도를 천천히 한다.
(4) 정밀연마 (fine grinding)
연마방법에는 기계적 연마, 화학적 연마와 전해 연마법이 있다. 이 중 기계적 연마가 가장 많이 이요오디고 있어서 통상 연마하면 기계적 연마를 말하는 것이다.
정밀연마는 광택 연마에 앞서 원하는 조직을 얻기 위한 표면의 거칠기를 일정하게 해주는 단계이다. 연마면에는 연마흠이 없어야 하고 소성변형량이 적어야 하며, 연마면은 경면이 되어 있어야 한다. 《그림 1.7》은 많이 쓰이고 있는 기계연마기이다.
연마지에는 습식 연마지와 건식 연마지의 두가지가 있다. 건식 연마지는 나사지에 에머리(emery, 크런덤과 자철광 등의 혼합광물) 분말을 아교질 접착제로 도포한 것이다. 습식 연마지는 탄화규소(SiC)분말을 그래프트지에 합성수지계 접착제로 도포하고, 내수처리를 한 것으로 냉각수를 흘리면서 사용할 수 있다.
정밀연마에서는 실리콘 카바이드 연마지(SiC)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데 이는 에머리 연마지보다 물에 강하여 건식이나 습식 모두에 사용 가능하기 때문이다.
습식연마에서는 ㉠시편의 발열이 억제되고 ㉡연마지의 눈사이의 막힘이 방지되고 ㉢금속 연마분의 찌꺼기가 모이지 않고 ㉣ 연마시간이 단축되는 등이 이점이 있다. 따라서 습식 연마지에 의한 기계연마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연마지에는 제조원 별로 독자적인 입도표시가 되어 있는데, SiC 습식 연마지의 호칭번호 및 평균입경, 입경분포는 《표 1.3》과 같다. 유럽규격과 미국규격의 호칭번호가 다른 것을 알 수 있으며 KS규격은 유럽 규격과 유사하다. 입경의 분포는 제조 메이커에 따라 입도분포가 좁은 것과 넓은 것이 있어서 연마지 제품의 신뢰도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정밀연마에서는 통상 80㎛ (습식연마지 번호 #240)의 입도로부터 10~20㎛(습식 연마지 번호 #1200)까지의 연마지가 사용된다. 건식 연마지는 연삭력이 약하나 깊은 흠이 생기지 않으므로 각 입도의 연마지를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연마하는 것이 좋다. 습식연마는 연삭력이 크므로 입도번호를 건너뛰어 이용하여도 별 차질은 없다. 그러나 연삭홈이 깊으므로 미세한 입도의 연마지까지 연마하여야 한다.
《표 1.3》 SiC 습식 연마지의 입도
유럽규격
미국규격
평균입경
(㎛)
입경분포
(㎛)
KS규격(KS L6064)
연마재번호
연마재입도(㎛)
-
60
325
-
-
60
80
260
500~212
-
-
80
-
196
355~150
-
-
100
100
154
300~125
-
-
-
120
137
-
-
-
120
-
120
212~90
-
-
-
150
110
-
-
-
150
180
95
180~75
-
-
180
-
75
150~63
-
-
-
240
71
-
-
-
220
280
65
125~53
-
-
240
-
59
110~44
240
80
280
320
52
101~39
280
67
320
-
46
94~34
320
56
400
-
35
81~25
360
48
500
400
31
77~21
400
40
600
-
26
72~18
500
34
800
500
22
67~15
600
28
1000
600
18
63~12
700
24
1200
연마포
15
58~10
800
20
2400
-
10
-
100
16
4000
-
5
-
1200
13
연마 중 주의하여야 할 사항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계연마에서는 연마지를 붙인 회전원판 상에 시편을 가볍게 눌러서 단시간내에 연마한다. 수동연마에서는 밑바닥에 두꺼운 유리를 깔고 시편을 손으로 잡고 몸쪽에서 먼 쪽으로 한 방향으로 밀면서 연마한다. 수동연마이든 기계연마이든 우선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3페이지
  • 등록일2008.07.17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56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