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C활용
인터넷에 대해 네트워크 관점에서 간략하게 정의하고, 인터넷의 주소 체제와 우리 사회의 지명을 나타내는 현실적인 주소체제와의 차이점을 주관적으로 서술하고, 인터넷 주소체제를 상세히 정리하세요. 또한 두 주소체제의 예를 들어 비교하세요
1.서론
2.본론
1)네트워크 관점에서의 인터넷
2)인터넷 주소 체제와 현실적인 주소체제 차이점과 예시
3)인터넷 주소체제
3.결론
4.참고문헌
인터넷에 대해 네트워크 관점에서 간략하게 정의하고, 인터넷의 주소 체제와 우리 사회의 지명을 나타내는 현실적인 주소체제와의 차이점을 주관적으로 서술하고, 인터넷 주소체제를 상세히 정리하세요. 또한 두 주소체제의 예를 들어 비교하세요
1.서론
2.본론
1)네트워크 관점에서의 인터넷
2)인터넷 주소 체제와 현실적인 주소체제 차이점과 예시
3)인터넷 주소체제
3.결론
4.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정한 규칙이 있다기보다는 정해진 범위 내에서 각 자원에 따른 고유한 식별자가 부여되는 것이다.
현실적인 주소체제는 일반적으로 구획이 나누어진 지역에 대해 문자로 표현하는 방식이며 우리나라는 기존 지번주소체계에서 도로명주소체계로 주소체계가 변환됐다. 지번주소체계를 통해 5단계를 거쳐 주소표기 방식이 채택됐으며 지번을 매기는 방법에 대해서는 크게 3가지로 구분되어 사행식, 기우식, 단지식 방식을 이용했다.
도로명주소체계는 도로명이나 건물번호 및 상세주소가 있는 경우에 표기하는 주소로 기존 주소체계가 지번의 배열이 불규칙해서 발생하는 공간정보 제공이 부정확하며, 참조체계로 기능의 혼란을 야기한다는 문제점에서 시작됐다. 도로명과 건물번호가 기준이 되어 주소를 표현하면서 도로의 진행방향의 좌측은 홀수, 진행방향의 우측은 짝수로 건물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위치를 표기하는 방식이다.
결국 인터넷 주소 체제와 현실적인 주소체제는 차이점을 살펴보자면 크게는 일정한 규칙이 있다는 점은 비슷하다고 볼 수 있지만 실제로 부여될 때 현실주소체계는 특정한 장소에 대해 특정한 값만 부여될 수 있다면 인터넷 주소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주소가 부여될 수 있으며 그 형식도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순서체계가 현실적인 주소체계와는 달라서 위치한 장소에 따라 순서대로 부여되는 것이 아니라 무작위로도 부여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3)인터넷 주소체제
인터넷주소는 표준 정보 자원을 식별하기 위해 표기 체계를 URI라고 정의하며 URL과 URN으로 분류될 수 있다. URL은 인터넷 상에서 정보 자원에 접근하도록 자원의 위치를 표기할 수 있는 주소 체계이며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컨텐츠나 웹 문서의 위치가 바뀌면 찾을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런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주소 체계는 URN이며, 각 인터넷 정보 자원에 대한 고유 식별자가 부여됨으로써 자원을 식별하는 주소체계라고 할 수 있다.
인터넷 국제 표준화 기구인 IETF에 따라 URN은 웹 자원의 물리적 위치에 관계없이 자원 자체가 식별되고 지속적인 참조가 가능하도록 유일성, 영속성, 확장성 등의 제공이 가능해야 한다. URL이 어떤 특정한 서버에 있는 웹자원의 위치라면 URN은 웹 자원이 갖는 물리적 위치와는 별개로 해당 웹 자원 자체가 지시되는 것이다.
디지털 객체 식별자인 DOI는 URN의 응용 모델로 개발
현실적인 주소체제는 일반적으로 구획이 나누어진 지역에 대해 문자로 표현하는 방식이며 우리나라는 기존 지번주소체계에서 도로명주소체계로 주소체계가 변환됐다. 지번주소체계를 통해 5단계를 거쳐 주소표기 방식이 채택됐으며 지번을 매기는 방법에 대해서는 크게 3가지로 구분되어 사행식, 기우식, 단지식 방식을 이용했다.
도로명주소체계는 도로명이나 건물번호 및 상세주소가 있는 경우에 표기하는 주소로 기존 주소체계가 지번의 배열이 불규칙해서 발생하는 공간정보 제공이 부정확하며, 참조체계로 기능의 혼란을 야기한다는 문제점에서 시작됐다. 도로명과 건물번호가 기준이 되어 주소를 표현하면서 도로의 진행방향의 좌측은 홀수, 진행방향의 우측은 짝수로 건물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위치를 표기하는 방식이다.
결국 인터넷 주소 체제와 현실적인 주소체제는 차이점을 살펴보자면 크게는 일정한 규칙이 있다는 점은 비슷하다고 볼 수 있지만 실제로 부여될 때 현실주소체계는 특정한 장소에 대해 특정한 값만 부여될 수 있다면 인터넷 주소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주소가 부여될 수 있으며 그 형식도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순서체계가 현실적인 주소체계와는 달라서 위치한 장소에 따라 순서대로 부여되는 것이 아니라 무작위로도 부여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3)인터넷 주소체제
인터넷주소는 표준 정보 자원을 식별하기 위해 표기 체계를 URI라고 정의하며 URL과 URN으로 분류될 수 있다. URL은 인터넷 상에서 정보 자원에 접근하도록 자원의 위치를 표기할 수 있는 주소 체계이며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컨텐츠나 웹 문서의 위치가 바뀌면 찾을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런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주소 체계는 URN이며, 각 인터넷 정보 자원에 대한 고유 식별자가 부여됨으로써 자원을 식별하는 주소체계라고 할 수 있다.
인터넷 국제 표준화 기구인 IETF에 따라 URN은 웹 자원의 물리적 위치에 관계없이 자원 자체가 식별되고 지속적인 참조가 가능하도록 유일성, 영속성, 확장성 등의 제공이 가능해야 한다. URL이 어떤 특정한 서버에 있는 웹자원의 위치라면 URN은 웹 자원이 갖는 물리적 위치와는 별개로 해당 웹 자원 자체가 지시되는 것이다.
디지털 객체 식별자인 DOI는 URN의 응용 모델로 개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