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사단칠정론에 대한 고찰
1. 사단과 칠정의 분리
2. 사단과 칠정의 통합
Ⅲ. 결론
Ⅱ. 사단칠정론에 대한 고찰
1. 사단과 칠정의 분리
2. 사단과 칠정의 통합
Ⅲ. 결론
본문내용
그 자연스러운 발로를 선하다고 할 때 선의 판별 기준은 저절로 주체의 내부에 확보되지만, 사단도 절도에 맞거나 맞지 않을 때가 있다고 한다면 그 중절과 부중절을 판단하는 근거가 따로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준은 리와 객관화된 표현인 사회 규범 곧 예법 등일 것이다.
결국, 사단칠정론의 대한 이 두 논변은 사실의 옳고 그름을 놓고 싸운 것이 아니라 혼륜(渾淪)과 분개(分開)란 관점의 차이에서 생겨난 논리 싸움이었으니, 상대방의 주장을 아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의 관점의 치우침을 지적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사단과 칠정 뿐 아니라,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우리 사회는 다름의 싸움이 유달리 잦았던 역사를 거쳐 온 터라 다름을 인식하는 데 아주 익숙해져 있다. 지금도 보수와 진보의 이념 싸움, 지역감정, 노사분규 등 극한 대립과 분열로 나라 안이 늘 시끄럽다.
세계도 혼륜과 분개 두 관점을 겸할 때 온전히 파악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우리의 의식은 줄곧 전체만을 잡고 있어서도 안 되며, 또한 개체를 떼어내어 따로 인식하고 전체를 잊어서도 안 된다. 전체성과 개체성, 이 양자를 보는 시각의 균형을 잃지 않고 시의(時宜)에 따라 혼륜과 분개를 원활히 전환하며, 조화할 줄 알아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 기세춘, 『성리학개론』, 바이북스, 2007.
- 한국사상연구회, 『조선 유학의 학파들』, 예문서원, 1997.
- 성태용, 「퇴계 이황의 사상: 사단칠정론을 중심으로」, 철학문화 연구소, 1995.
- 성태용, 「고봉 기대승의 사단 칠정론」, 철학문화 연구소, 1995.
결국, 사단칠정론의 대한 이 두 논변은 사실의 옳고 그름을 놓고 싸운 것이 아니라 혼륜(渾淪)과 분개(分開)란 관점의 차이에서 생겨난 논리 싸움이었으니, 상대방의 주장을 아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의 관점의 치우침을 지적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사단과 칠정 뿐 아니라,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우리 사회는 다름의 싸움이 유달리 잦았던 역사를 거쳐 온 터라 다름을 인식하는 데 아주 익숙해져 있다. 지금도 보수와 진보의 이념 싸움, 지역감정, 노사분규 등 극한 대립과 분열로 나라 안이 늘 시끄럽다.
세계도 혼륜과 분개 두 관점을 겸할 때 온전히 파악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우리의 의식은 줄곧 전체만을 잡고 있어서도 안 되며, 또한 개체를 떼어내어 따로 인식하고 전체를 잊어서도 안 된다. 전체성과 개체성, 이 양자를 보는 시각의 균형을 잃지 않고 시의(時宜)에 따라 혼륜과 분개를 원활히 전환하며, 조화할 줄 알아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 기세춘, 『성리학개론』, 바이북스, 2007.
- 한국사상연구회, 『조선 유학의 학파들』, 예문서원, 1997.
- 성태용, 「퇴계 이황의 사상: 사단칠정론을 중심으로」, 철학문화 연구소, 1995.
- 성태용, 「고봉 기대승의 사단 칠정론」, 철학문화 연구소, 199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