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과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인지이론에 대한 기본 개념
1)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1) 도식
(2) 동화-조절
(3) 평형
2)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인지이론
(1) 인지
(2) 고등정신기능(Higher Mental Function)
(3) 발달
(4) 내면화
(5) 근접발달영역
2. 각 이론을 교육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사례를 들어 설명
1)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2)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인지이론
3.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과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인지이론에 대한 기본 개념
1)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1) 도식
(2) 동화-조절
(3) 평형
2)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인지이론
(1) 인지
(2) 고등정신기능(Higher Mental Function)
(3) 발달
(4) 내면화
(5) 근접발달영역
2. 각 이론을 교육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사례를 들어 설명
1)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2)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인지이론
3.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역할을 한다. 교사 통제로부터 학생 책임으로의 이동은 점진적이어야 하며 과제의 난이도와 책임감은 학생의 능력과 맞아야 하고 능력의 발달에 따라 점차 높아져야 한다. 그러므로 교사는 학습자의 발달을 가속화시키는 역할을 해야 하므로 적절한 수준의 도움을 학습자에게 제공할 때를 알아야 한다. 또한 학습자 혼자의 힘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 했을 때는 도움을 제거하여야 한다. 학습자가 만약 교사와의 상호작용에서 그 의미를 공유할 기회를 갖지 못한다면 근접발달영역에서의 진전을 보기 어려울 것이다. Vygotsky의 시각을 가진 교사는 학생이 어떻게 사고하고 필요한 교수 방법은 어떤 것인지 단서를 찾고자 한다면 교실을 배회하기보다 학습자와 함께 과제들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3. 시사점
비계설정을 통한 학습이 아동의 새로운 근접발달영역을 창출하는 현상에 주목해 볼 때, 교육학자, 교사 및 부모는 아동에게 비계 설정하는 방법에 관심을 두게 된다. 비계설정이 적절하게 이루어졌다는 것은 아동의 발달 수준에 적합한 과제를 선정하고 아동에게 적절한 조절을 제공하는 것이다. Piaget는 발달과 학습을 분리하면서 일정한 발달이 이루어진 후 그에 따른 학습이 이루어질 것을 강조한다. 즉 아동의 지적 구조의 발달에 따라 그에 적합한 과제가 따로 있다는 것이다. 반면 Vygotsky는 학습이 발달을 주도할 수 있다고 보는 입장으로 “정신지체 아동이 추상적 사고를 할 수 없을 것이라 가정하고 아예 추상적 사고를 가르치지 않는 것은 그로 하여금 천성적인 장애를 극복할 수 없게 할 뿐 아니라 구체적 사고에 배타적으로 습관 들게 함으로써 그 아동이 가지고 있던 추상적 사고의 기본조차 억제하여 그의 장애를 강화 시킨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Vygotsky입장에서 아동의 발달 수준에 적합한 과제를 선정하여 적절한 조절을 제공한다는 것은 성인이 아동의 근접발달영역 안에 있는 과제를 선정하여 성인의 적절한 도움으로 문제를 해결하여 나중에는 아동이 혼자 힘으로 할 수 있게 되는 상태에 이르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학습과정은 아동에게는 새로운 근접발달영역을 창출하는 것이다. 복잡한 과제에서 비계설정의 적절성은 과제의 해결에 요구되는 특수한인지과정 및 전략을 비계 설정자가 아동의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아동이이해할 수 있는 언어나 기호체계로 제시해줄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 이는 복잡한 과제일수록 그 과제가 요구하는 특수한 지식, 인지과정, 문제해결전략에 대해 훈련받은 성인이 훈련받지 않은 성인에 비해 더 효과적인 비계설정자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즉, 훌륭한 비계설정자가 되기 위해서는 과제가 요구하는 특수한 지식, 인지과정, 전략에 능통하여야 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과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인지이론에 대한 기본 개념을 설명하고, 각 이론을 교육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사례를 들어 논해 보았다. 비고츠키는 인간의 인지발달이 사회문화역사적인 환경에서 학습을 통하여 발달한다는 이론을 정립하였다. 그의 문화역사적 인지발달이론에서 인간은 두 가지의정신기능이 있는데 태어나면서 자연스럽게 학습되는 정신기능을 ‘초등정신기능’이라하고, 동물과 달리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언어와 도구를 사용할 줄 아는 기능을 ‘고등정신기능’이라 한다. 이렇게 인간은 ‘사회에서 개인으로’, ‘개인에서 개인으로’ 발달체계가 구성된다고 보았고, 모두가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지식을 공유하면서 학습자개개인이 능동적으로 지식을 내면화하는 교수-학습법을 제안하고 있다. 교수-학습과 발달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개념을 ‘근접발달영역’이라고 하며 이는 실제적 발달수준과 잠재적 발달 수준 사이의 거리이다. 실제적 발달 수준은 독립적 문제 해결에 의해 결정되고, 잠재적 발달 수준은 성인의 안내 혹은 더 능력 있는 또래들과의 협동을 통한 문제 해결에 의해 결정된다.
참고문헌
김억환 (1989). Piaget 이론의 교육적 적용. 서울 : 성원사.
유윤영(2010). Piaget의 개념 연구가 유아교육에 미친 영향에 관한 논의.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김동수, 수학교육의 Vygotsky적 접근에 관한 연구, 석사 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김미리, 「비고츠키의 근접발달영역 이론에 근거한 무용교육 연구」, 수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
조선미, 「비고츠키의 ‘근접발달영역’ 이론에 따른 교수-학습 방법 탐색」,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1.
3. 시사점
비계설정을 통한 학습이 아동의 새로운 근접발달영역을 창출하는 현상에 주목해 볼 때, 교육학자, 교사 및 부모는 아동에게 비계 설정하는 방법에 관심을 두게 된다. 비계설정이 적절하게 이루어졌다는 것은 아동의 발달 수준에 적합한 과제를 선정하고 아동에게 적절한 조절을 제공하는 것이다. Piaget는 발달과 학습을 분리하면서 일정한 발달이 이루어진 후 그에 따른 학습이 이루어질 것을 강조한다. 즉 아동의 지적 구조의 발달에 따라 그에 적합한 과제가 따로 있다는 것이다. 반면 Vygotsky는 학습이 발달을 주도할 수 있다고 보는 입장으로 “정신지체 아동이 추상적 사고를 할 수 없을 것이라 가정하고 아예 추상적 사고를 가르치지 않는 것은 그로 하여금 천성적인 장애를 극복할 수 없게 할 뿐 아니라 구체적 사고에 배타적으로 습관 들게 함으로써 그 아동이 가지고 있던 추상적 사고의 기본조차 억제하여 그의 장애를 강화 시킨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Vygotsky입장에서 아동의 발달 수준에 적합한 과제를 선정하여 적절한 조절을 제공한다는 것은 성인이 아동의 근접발달영역 안에 있는 과제를 선정하여 성인의 적절한 도움으로 문제를 해결하여 나중에는 아동이 혼자 힘으로 할 수 있게 되는 상태에 이르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학습과정은 아동에게는 새로운 근접발달영역을 창출하는 것이다. 복잡한 과제에서 비계설정의 적절성은 과제의 해결에 요구되는 특수한인지과정 및 전략을 비계 설정자가 아동의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아동이이해할 수 있는 언어나 기호체계로 제시해줄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 이는 복잡한 과제일수록 그 과제가 요구하는 특수한 지식, 인지과정, 문제해결전략에 대해 훈련받은 성인이 훈련받지 않은 성인에 비해 더 효과적인 비계설정자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즉, 훌륭한 비계설정자가 되기 위해서는 과제가 요구하는 특수한 지식, 인지과정, 전략에 능통하여야 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과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인지이론에 대한 기본 개념을 설명하고, 각 이론을 교육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사례를 들어 논해 보았다. 비고츠키는 인간의 인지발달이 사회문화역사적인 환경에서 학습을 통하여 발달한다는 이론을 정립하였다. 그의 문화역사적 인지발달이론에서 인간은 두 가지의정신기능이 있는데 태어나면서 자연스럽게 학습되는 정신기능을 ‘초등정신기능’이라하고, 동물과 달리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언어와 도구를 사용할 줄 아는 기능을 ‘고등정신기능’이라 한다. 이렇게 인간은 ‘사회에서 개인으로’, ‘개인에서 개인으로’ 발달체계가 구성된다고 보았고, 모두가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지식을 공유하면서 학습자개개인이 능동적으로 지식을 내면화하는 교수-학습법을 제안하고 있다. 교수-학습과 발달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개념을 ‘근접발달영역’이라고 하며 이는 실제적 발달수준과 잠재적 발달 수준 사이의 거리이다. 실제적 발달 수준은 독립적 문제 해결에 의해 결정되고, 잠재적 발달 수준은 성인의 안내 혹은 더 능력 있는 또래들과의 협동을 통한 문제 해결에 의해 결정된다.
참고문헌
김억환 (1989). Piaget 이론의 교육적 적용. 서울 : 성원사.
유윤영(2010). Piaget의 개념 연구가 유아교육에 미친 영향에 관한 논의. 미래유아교육학회지.
김동수, 수학교육의 Vygotsky적 접근에 관한 연구, 석사 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김미리, 「비고츠키의 근접발달영역 이론에 근거한 무용교육 연구」, 수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
조선미, 「비고츠키의 ‘근접발달영역’ 이론에 따른 교수-학습 방법 탐색」,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1.
추천자료
- 보육과정 - 구성주의 이론의 대표적인 학자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 이론과 비고스키 (Vyg...
- 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를 설명.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단계이...
- Vygotsky의 사회역사적 인지발달론 (비고츠키)
- [유아발달 A형] 인지발달이론에서 피아제의 이론과 비고츠키의 이론을 설명하고, 각 이론이 ...
-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4공통) 하이스코프 프로그램 이론적 기초,교육목표,원리 설명, 한국...
- 인간발달이론 - 성숙주의이론, 학습이론(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
- 다양한 영아발달이론 중 지지하는 발달이론을 선정하여 그 내용을 살펴보고, 그 근거에 대한 ...
- 영유아발달)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과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인지이론에 대한 기본 개념을 ...
-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과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인지이론에 대한 기본 개념을 설명하고, 각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