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원리
3. 저항읽는 법
4. 멀티테스터 사용법
5. 기구 및 장치
2. 실험원리
3. 저항읽는 법
4. 멀티테스터 사용법
5. 기구 및 장치
본문내용
류의 세기 ∝ 전압
옴의 법칙
전류의 세기(I)는 전압(V)에 비례하고, 저항(R)에 반비례한다.
제1법칙: 접합점법칙 또는 전류법칙. 회로 내의 어느 점을 취해도 그 곳에 흘러들어오거나(+) 흘러나가는(-) 전류를 음양의 부호를 붙여 구별하면 들어오고 나가는 전류의 총계는 0 이 되는데, 전류가 흐르는 길에서 들어오는 전류와 나가는 전류의 합이 같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 제1법칙은 전하가 접합점에서 저절로 생기거나 없어지지 않는다는 전하보존법칙에 근거를 두고 있습니다.
제2법칙: 폐회로 법칙, 고리법칙 또는 전압법칙. 임의의 닫힌 회로(폐회로)에서 회로 내의 모든 전위차의 합은 0 인데 임의의 폐회로를 따라 한 바퀴 돌 때 그 회로의 기전력의 총합은 각 저항에 의한 전압 강하의 총합과 같음을 보입니다.
이 법칙을 구체적으로 써보면, 먼저 회로 안에서 전류가 도는 방향(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정하고 그 방향으로 돌아가는 기전력 E와 전압강하 IR의 부호를 정합니다. 여기에서 전류와 저항과의 곱의 총계(∑InRn)가 그 속에 포함되어 있는 기전력의 총계(∑En)와 같음을 보입니다.
이 법칙은 직류와 교류 모두 적용할 수 있는데 저항 말고도 인덕턴스, 콘덴서를 포함시키거나 저항을 임피던스로 바꿔서 응용할 수도 있습니다. 제1 법칙이 전하보존법칙에 근거를 두고 있다면 제2 법칙은 에너지 보존법칙에 근거를 둔다고 할 수 있습니다.
3. 저항읽는 법
저항은 색띠에 부여된 숫자를 이용하여 저항값을 읽을 수 있다. 저항 색띠의 한 쪽 끝에는 금색띠가 있는데 이 금색띠가 오른쪽 끝에 오게끔 놓고 색띠를 읽는다. 색띠는 ‘검정-갈색-빨-주-노-초-파-보-회색-흰색’의 순으로 0,1,2,3,4,5,6,7,8,9,0을 의미한다.
그림 4
보통 색띠는 4가닥으로 이루어져 있으면 첫 번째 띠는 저항의 10단위, 두 번째 띠는 저항의 1단위, 세 번째 띠는 을 의미한다(단, 색띠가 의미하는 숫자). 예를 들어 ‘주황-주황-빨강-금색’의 순서를 갖는 경우 경우 주황이 의미하는 3과 빨강이 의미하는 2를 이용하여 라고 읽을 수 있다. 금색띠는 색띠로 지시된 값이 의 오차를 갖는다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이 저항은 의 법위 안에 있다. 은색띠의 경우에는 의 오차를 갖는데 요즘은 쓰리지 않는다.
4. 멀티테스터 사용법
① 멀티테스터를 이용한 저항측정: 그림 5와 같이 멀티테스터의 측정다이어를 (1)멀티테스터를이용한저항측정:그림5와같이멀티테스터의측정다이얼을
에 맞춘 후 버튼을 눌러 표시팡에 이 표시되게 한다. 아래의 [com]부분에 테스터의 흑색 탐침선을 연결하고 [com]오른 쪽의 부분에 테스터의 적색탐핀선을 연결한다.
그림 5
② 멀티테스터를 이용한 전압측정: 그림 6과 같이 멀티테스터의 측정다이얼을 에 맞춘 후 버튼을 눌러 표시팡에 0.00 V 또는 0.0 V가 표시되게 한다. 아래의 [com]부분에 테스터의 흑색침선을 연결하고 [com] 오른쪽의 부분에 테스터의 적색탐침선을 연결한다.
그림 6
③ 멀티테스터를 이용한 전류값 측정: 그림 7과 같이 멀티테스터
옴의 법칙
전류의 세기(I)는 전압(V)에 비례하고, 저항(R)에 반비례한다.
제1법칙: 접합점법칙 또는 전류법칙. 회로 내의 어느 점을 취해도 그 곳에 흘러들어오거나(+) 흘러나가는(-) 전류를 음양의 부호를 붙여 구별하면 들어오고 나가는 전류의 총계는 0 이 되는데, 전류가 흐르는 길에서 들어오는 전류와 나가는 전류의 합이 같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 제1법칙은 전하가 접합점에서 저절로 생기거나 없어지지 않는다는 전하보존법칙에 근거를 두고 있습니다.
제2법칙: 폐회로 법칙, 고리법칙 또는 전압법칙. 임의의 닫힌 회로(폐회로)에서 회로 내의 모든 전위차의 합은 0 인데 임의의 폐회로를 따라 한 바퀴 돌 때 그 회로의 기전력의 총합은 각 저항에 의한 전압 강하의 총합과 같음을 보입니다.
이 법칙을 구체적으로 써보면, 먼저 회로 안에서 전류가 도는 방향(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정하고 그 방향으로 돌아가는 기전력 E와 전압강하 IR의 부호를 정합니다. 여기에서 전류와 저항과의 곱의 총계(∑InRn)가 그 속에 포함되어 있는 기전력의 총계(∑En)와 같음을 보입니다.
이 법칙은 직류와 교류 모두 적용할 수 있는데 저항 말고도 인덕턴스, 콘덴서를 포함시키거나 저항을 임피던스로 바꿔서 응용할 수도 있습니다. 제1 법칙이 전하보존법칙에 근거를 두고 있다면 제2 법칙은 에너지 보존법칙에 근거를 둔다고 할 수 있습니다.
3. 저항읽는 법
저항은 색띠에 부여된 숫자를 이용하여 저항값을 읽을 수 있다. 저항 색띠의 한 쪽 끝에는 금색띠가 있는데 이 금색띠가 오른쪽 끝에 오게끔 놓고 색띠를 읽는다. 색띠는 ‘검정-갈색-빨-주-노-초-파-보-회색-흰색’의 순으로 0,1,2,3,4,5,6,7,8,9,0을 의미한다.
그림 4
보통 색띠는 4가닥으로 이루어져 있으면 첫 번째 띠는 저항의 10단위, 두 번째 띠는 저항의 1단위, 세 번째 띠는 을 의미한다(단, 색띠가 의미하는 숫자). 예를 들어 ‘주황-주황-빨강-금색’의 순서를 갖는 경우 경우 주황이 의미하는 3과 빨강이 의미하는 2를 이용하여 라고 읽을 수 있다. 금색띠는 색띠로 지시된 값이 의 오차를 갖는다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이 저항은 의 법위 안에 있다. 은색띠의 경우에는 의 오차를 갖는데 요즘은 쓰리지 않는다.
4. 멀티테스터 사용법
① 멀티테스터를 이용한 저항측정: 그림 5와 같이 멀티테스터의 측정다이어를 (1)멀티테스터를이용한저항측정:그림5와같이멀티테스터의측정다이얼을
에 맞춘 후 버튼을 눌러 표시팡에 이 표시되게 한다. 아래의 [com]부분에 테스터의 흑색 탐침선을 연결하고 [com]오른 쪽의 부분에 테스터의 적색탐핀선을 연결한다.
그림 5
② 멀티테스터를 이용한 전압측정: 그림 6과 같이 멀티테스터의 측정다이얼을 에 맞춘 후 버튼을 눌러 표시팡에 0.00 V 또는 0.0 V가 표시되게 한다. 아래의 [com]부분에 테스터의 흑색침선을 연결하고 [com] 오른쪽의 부분에 테스터의 적색탐침선을 연결한다.
그림 6
③ 멀티테스터를 이용한 전류값 측정: 그림 7과 같이 멀티테스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