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사례 현황(PPM 결핵관리사업)
3. 협력의 효과(PPM 결핵관리사업)
4. 결론
5. 참고 자료
2. 사례 현황(PPM 결핵관리사업)
3. 협력의 효과(PPM 결핵관리사업)
4. 결론
5. 참고 자료
본문내용
있으며, 이로 인해 지역 간 격차는 더 커질 것이 분명하다. 병원 기반의 PPM 결핵관리사업이 치료성적의 전반적인 향상을 가져왔으나 지역 간 격차를 줄이는 데에는 기여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PPM 분담률이 낮으면서 결핵 발생률이 높고 치료성적이 좋지 않은 지역을 확인하여 지역사회 기반 결핵관리사업을 수립하고 시행할 필요가 있다. 현재 지역사회와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하는 형태로 일부 시도되고 있는 노숙인 결핵관리사업이 좋은 성공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결핵은 항상 빈곤의 질병이었으며, 건강불평등 해소와 모두의 건강을 위한 우리의 노력을 시험해 볼 수 있는 리트머스 시험지와 같다고 한다. 지난 몇 년 간 결핵정책의 양적 팽창과 치료성적의 눈에 띄는 향상에 만족할 것이 아니라 이제는 빈 곳을 찾아 메꾸는 정책이 필요한 때이다.
5. 참고자료
시민겅강증진연구소(2020) 한국의 결핵정책, 그 방향을 묻는다, 시민건강 이슈
김희(2018) 적극적 환자관리를 통한 민간의료기관에서의 결핵 치료 성공률 향상에 관한 개입 연구, 보건학석사 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민간, 공공협력 국각결핵관리사업 평가대회 자료집(2019)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8) 한국의 건강불평등 지표와 정책과제, 연구보고서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결핵환자 치료성공률 향상 등을 위해 민간 · 공공협력병원이 앞장선다 !. [online] Available at: http://tbzero.cdc.go.kr [Accessed 11 Nov. 2017].
결핵은 항상 빈곤의 질병이었으며, 건강불평등 해소와 모두의 건강을 위한 우리의 노력을 시험해 볼 수 있는 리트머스 시험지와 같다고 한다. 지난 몇 년 간 결핵정책의 양적 팽창과 치료성적의 눈에 띄는 향상에 만족할 것이 아니라 이제는 빈 곳을 찾아 메꾸는 정책이 필요한 때이다.
5. 참고자료
시민겅강증진연구소(2020) 한국의 결핵정책, 그 방향을 묻는다, 시민건강 이슈
김희(2018) 적극적 환자관리를 통한 민간의료기관에서의 결핵 치료 성공률 향상에 관한 개입 연구, 보건학석사 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민간, 공공협력 국각결핵관리사업 평가대회 자료집(2019)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8) 한국의 건강불평등 지표와 정책과제, 연구보고서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결핵환자 치료성공률 향상 등을 위해 민간 · 공공협력병원이 앞장선다 !. [online] Available at: http://tbzero.cdc.go.kr [Accessed 11 Nov. 201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