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 1
2. 병태생리 2
3. 원인 ·· 3
4. 증상 ·· 3
5. 진단 ·· 4
6. 합병증 · 5
7. 치료와 간호 · 5
참고문헌
2. 병태생리 2
3. 원인 ·· 3
4. 증상 ·· 3
5. 진단 ·· 4
6. 합병증 · 5
7. 치료와 간호 · 5
참고문헌
본문내용
폐렴(Pneumonia)
문헌고찰
목 차
1. 정의 ········································································································ 1
2. 병태생리 ································································································· 2
3. 원인 ········································································································ 3
4. 증상 ········································································································ 3
5. 진단 ········································································································ 4
6. 합병증 ····································································································· 5
7. 치료와 간호 ···························································································· 5
참고문헌
폐렴(Pneumonia)
1. 정의
폐실질(호흡세기관지와 폐포)에 급성 염증이 발생된 것이다.
감염질환의 주요한 사망 원인이다.
유행성 폐렴(지역사회 획득 폐렴)(community-acquired pneumonia, CAP)
지역사회에서 감염되거나 입원한 지 48시간 이전에 발생하는 폐렴이다.
겨울철에 많이 발생한다.
가장 흔한 원인균은 폐렴구균이다.
65세 이상, 알코올 중독, 동반질환이 있는 경우, 면역장애 등이 있을 때 더 쉽게 걸린다.
☞ 중증도 분류
1군
심폐질환이 없고 다른 위험인자를 동반하지 않은 외래 환자
2군
심폐질환(울혈성 심부전 혹은 COPD)이 있고(있거나) 다른 위험인자(DRSP 또는 그람음성균)가 있는 외래 환자
3군
입원 환자(중환자실 제외)
심폐질환이 있고(있거나) 다른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심폐질환이 없고 다른 위험인자가 없는 경우
4군
중환자실 입원 환자
Pseudomonas aeruginosa의 위험인자가 없는 경우
Pseudomonas aeruginosa의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 DRSP: Drug-resistant Streptococcus pneumoniae
병원감염성 폐렴(hospital acquired pneumonia, HAP)
병원에 입원 후 48시간이 지나서 발생하는 폐렴이다.
주된 원인은 녹농균, Enterobacter, 황색포도상구균, 폐렴구균 등이다.
면역억제요법, 전신쇠약, 기관내 삽관, 호흡기 치료 기구의 오염 등에 의해 악화된다.
진균성 폐렴
후천성면역결핍, 낭성 섬유증, 면역억제제를 투여하는 중환자에게서 흔히 발생한다.
종류로는 Histoplasmosis, Coccidioidomycosis, Blastomycosis, Cryptococcosis, Aspergillosis, Ca
-ndiasis, Actinomycosis, Nocardiosis가 있다.
흡인성 폐렴(aspiration pneumonia)
구강이나 위 내용물이 기도로 흡입되어 유발된다.
의식수준이 저하되어 구역반사나 기침반사가 억제된 환자와 비위관영양을 하는 환자에게 호발한다.
기회감염(opportunistic pneumonia)
면역기전이 저하된 환자, B세포와 T세포 기능장애, 골수기능장애 환자에게서 발생하기 쉽다.
주로 폐포자충 또는 거대세포바이러스, 진균이 폐렴을 유발한다.
☞ 성인 폐렴을 유발하는 일반적인 원인균
유행성 폐렴
병원감염성 폐렴
기회감염
폐렴구균
폐렴미코플라스마
인플루엔자균
인플루엔자바이러스
폐렴클라미디아
레기오넬라뉴모필라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Enterobacter
폐렴구균
폐렴막대균
대장균
폐포자충
결핵균
거대세포바이러스
비정형마이코박테리아
진균
2. 병태생리
폐의 방어기전이 손상되어 원인균들이 하부기도 깊이 침입하여 염증이 발생한다.
발병 초기(폐울혈기, 제1~2일)
감염에 대한 반응으로 폐포에 부종이 있는 시기이다.
폐포 내에 세균이 있고 다형핵 백혈구가 증가하고 적혈구의 삼출 등으로 액체성 삼출물이 있으며 모세혈관은 울혈된다.
적색간변기(제2~4일, 조기 경화기)
대엽은 건조하고 단단하며 붉은 과립상을 볼 수 있다.
흉막 표면에 섬유소가 부착되고 모세혈관의 울혈과 폐포 내 섬유소성의 삼출액과 적혈구, 다형핵 백혈구를 볼 수 있다.
회색간변기(제4~8일, 진행 경화기)
대엽은 더 단단해지고 섬유소성 삼출물의 덩어리가 훙막 표면을 덮게 된다.
절단면은 건조하고 회백색의 과립상을 보인다.
폐포 내 삼출액은 증가하고 밀집된 섬유소 가닥과 매우 많은 다형핵 백혈구로 꽉 차게 되고 삼출액은 화농된다.
용해기(제8~9일)
세균이 제거되며 염증 과정이 수그러지고 다형핵 백혈구 수는 줄고 조직 파괴가 없기
문헌고찰
목 차
1. 정의 ········································································································ 1
2. 병태생리 ································································································· 2
3. 원인 ········································································································ 3
4. 증상 ········································································································ 3
5. 진단 ········································································································ 4
6. 합병증 ····································································································· 5
7. 치료와 간호 ···························································································· 5
참고문헌
폐렴(Pneumonia)
1. 정의
폐실질(호흡세기관지와 폐포)에 급성 염증이 발생된 것이다.
감염질환의 주요한 사망 원인이다.
유행성 폐렴(지역사회 획득 폐렴)(community-acquired pneumonia, CAP)
지역사회에서 감염되거나 입원한 지 48시간 이전에 발생하는 폐렴이다.
겨울철에 많이 발생한다.
가장 흔한 원인균은 폐렴구균이다.
65세 이상, 알코올 중독, 동반질환이 있는 경우, 면역장애 등이 있을 때 더 쉽게 걸린다.
☞ 중증도 분류
1군
심폐질환이 없고 다른 위험인자를 동반하지 않은 외래 환자
2군
심폐질환(울혈성 심부전 혹은 COPD)이 있고(있거나) 다른 위험인자(DRSP 또는 그람음성균)가 있는 외래 환자
3군
입원 환자(중환자실 제외)
심폐질환이 있고(있거나) 다른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심폐질환이 없고 다른 위험인자가 없는 경우
4군
중환자실 입원 환자
Pseudomonas aeruginosa의 위험인자가 없는 경우
Pseudomonas aeruginosa의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 DRSP: Drug-resistant Streptococcus pneumoniae
병원감염성 폐렴(hospital acquired pneumonia, HAP)
병원에 입원 후 48시간이 지나서 발생하는 폐렴이다.
주된 원인은 녹농균, Enterobacter, 황색포도상구균, 폐렴구균 등이다.
면역억제요법, 전신쇠약, 기관내 삽관, 호흡기 치료 기구의 오염 등에 의해 악화된다.
진균성 폐렴
후천성면역결핍, 낭성 섬유증, 면역억제제를 투여하는 중환자에게서 흔히 발생한다.
종류로는 Histoplasmosis, Coccidioidomycosis, Blastomycosis, Cryptococcosis, Aspergillosis, Ca
-ndiasis, Actinomycosis, Nocardiosis가 있다.
흡인성 폐렴(aspiration pneumonia)
구강이나 위 내용물이 기도로 흡입되어 유발된다.
의식수준이 저하되어 구역반사나 기침반사가 억제된 환자와 비위관영양을 하는 환자에게 호발한다.
기회감염(opportunistic pneumonia)
면역기전이 저하된 환자, B세포와 T세포 기능장애, 골수기능장애 환자에게서 발생하기 쉽다.
주로 폐포자충 또는 거대세포바이러스, 진균이 폐렴을 유발한다.
☞ 성인 폐렴을 유발하는 일반적인 원인균
유행성 폐렴
병원감염성 폐렴
기회감염
폐렴구균
폐렴미코플라스마
인플루엔자균
인플루엔자바이러스
폐렴클라미디아
레기오넬라뉴모필라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Enterobacter
폐렴구균
폐렴막대균
대장균
폐포자충
결핵균
거대세포바이러스
비정형마이코박테리아
진균
2. 병태생리
폐의 방어기전이 손상되어 원인균들이 하부기도 깊이 침입하여 염증이 발생한다.
발병 초기(폐울혈기, 제1~2일)
감염에 대한 반응으로 폐포에 부종이 있는 시기이다.
폐포 내에 세균이 있고 다형핵 백혈구가 증가하고 적혈구의 삼출 등으로 액체성 삼출물이 있으며 모세혈관은 울혈된다.
적색간변기(제2~4일, 조기 경화기)
대엽은 건조하고 단단하며 붉은 과립상을 볼 수 있다.
흉막 표면에 섬유소가 부착되고 모세혈관의 울혈과 폐포 내 섬유소성의 삼출액과 적혈구, 다형핵 백혈구를 볼 수 있다.
회색간변기(제4~8일, 진행 경화기)
대엽은 더 단단해지고 섬유소성 삼출물의 덩어리가 훙막 표면을 덮게 된다.
절단면은 건조하고 회백색의 과립상을 보인다.
폐포 내 삼출액은 증가하고 밀집된 섬유소 가닥과 매우 많은 다형핵 백혈구로 꽉 차게 되고 삼출액은 화농된다.
용해기(제8~9일)
세균이 제거되며 염증 과정이 수그러지고 다형핵 백혈구 수는 줄고 조직 파괴가 없기
추천자료
성인간호학 내과병동 - pneumonia case study
[성인간호학] Pneumonia
[성인간호학][Pneumonia][폐렴]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아동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 폐렴(Pneumonia),케이스 스터디(Case Study),문헌고찰
폐렴 케이스스터디 Pneumonia case study 성인케이스스터디 폐렴간호진단 폐렴간호사례 폐렴...
[의약학] [성인간호학][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 폐렴 케이스
성인간호학실습 case study 폐렴 Pneumonia
폐렴+A+(신중한+자료)
수두증 hydrocephalus 뇌수종 성인간호학 icu 중환자실 케이스 사례연구 보고서 문헌고찰 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