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목표는 반드시 클라이언트가 바라는 바와 연결되어야 한다.
II. 목표는 명백하게 측정 가능한 형태로 진술되어야 한다.
III. 목표는 달성 가능해야 한다.
IV. 목표는 사회복지사의 지식과 기술에 상응하는 것이어야 한다.
V. 목표는 성장을 강조하는 긍정적 형태여야 한다.
VI. 목표가 사회복지사의 중요한 권리나 가치에 맞지 않는다면 동의하지 않아야 한다.
VII. 목표는 반드시 기관의 기능과 일치해야 한다.
* 참고문헌
II. 목표는 명백하게 측정 가능한 형태로 진술되어야 한다.
III. 목표는 달성 가능해야 한다.
IV. 목표는 사회복지사의 지식과 기술에 상응하는 것이어야 한다.
V. 목표는 성장을 강조하는 긍정적 형태여야 한다.
VI. 목표가 사회복지사의 중요한 권리나 가치에 맞지 않는다면 동의하지 않아야 한다.
VII. 목표는 반드시 기관의 기능과 일치해야 한다.
*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 있기 때문이다.
목표는 \'문제가 해결된 상태\' 또는 \'개입을 통해서 일어나기 바라는 변화\'를 의미한다.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변화에 대해 무엇을 목표로 한 것인가에 대해서는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가 함께 합의해야 한다. 만약 두 사람의 관점이 일치되지 않으면 합의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점 워스(Hepworth)와 라슨(Larsen)은 목표의 선정지침으로 몇 가지를 제안하였는데,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목표는 클라이언트가 희망하는 결과와 관련이 있어야 동기부여가 가능하다.
둘째, 목표는 명시적이며 측정 가능한 형태여야 하고 달성 가능한 것이어서 클라이언트가 성취감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지식과 기술에 상응해야 하고 사회복지사의 가치나 권리를 크게 위배하지 않아야 한다.
넷째, 성장을 강조하는 긍정적 형태로 기술되어야 하고,
다섯째, 기관의 기능과 일치해야 한다.
이는 또 SMART형식으로 축약되어 설명되기도 한다. 즉,
구체성 (Specific)
측정 가능성(Measurable)
성취 가능성(Achievable)
현실성 (Realistic)
시기적절성(Time)의 다섯 가지가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목표는 \'문제가 해결된 상태\' 또는 \'개입을 통해서 일어나기 바라는 변화\'를 의미한다.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변화에 대해 무엇을 목표로 한 것인가에 대해서는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가 함께 합의해야 한다. 만약 두 사람의 관점이 일치되지 않으면 합의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점 워스(Hepworth)와 라슨(Larsen)은 목표의 선정지침으로 몇 가지를 제안하였는데,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목표는 클라이언트가 희망하는 결과와 관련이 있어야 동기부여가 가능하다.
둘째, 목표는 명시적이며 측정 가능한 형태여야 하고 달성 가능한 것이어서 클라이언트가 성취감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지식과 기술에 상응해야 하고 사회복지사의 가치나 권리를 크게 위배하지 않아야 한다.
넷째, 성장을 강조하는 긍정적 형태로 기술되어야 하고,
다섯째, 기관의 기능과 일치해야 한다.
이는 또 SMART형식으로 축약되어 설명되기도 한다. 즉,
구체성 (Specific)
측정 가능성(Measurable)
성취 가능성(Achievable)
현실성 (Realistic)
시기적절성(Time)의 다섯 가지가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