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국어 자음의 체계
2. 한국어 단모음과 이중모음
3. 한국어 단모음의 체계
4. 한국어 자음의 교육 방안과 활동 유형
5. 한국어 모음의 교육 방안과 활동 유형
2. 한국어 단모음과 이중모음
3. 한국어 단모음의 체계
4. 한국어 자음의 교육 방안과 활동 유형
5. 한국어 모음의 교육 방안과 활동 유형
본문내용
치조 또는 치경이라 함)과 혀끝 사이에서 장애가 일어나서 발음되는 소리
- 혀의 끝부분이 치조에 닿거나 가까이 밀착하여 공기의 흐름에 장애를 일으킴
- 영어의 /t, d, s, z, n, r, l/와 같은 소리도 치조음
③ 경구개음(센입천장소리) : /ㅈ, ㅉ, ㅊ/
- 치조보다 조금 더 안쪽인 딱딱한 입천장과 혀의 앞부분 사이에서 장애가 일어나서 발음되는 소리
- 해당 부분에서 장애를 일으킬 때 혀의 끝부분은 치조에 닿는 경우가 많으며 이런 이유로 경구개음은 치조음과 비슷한 음운 현상을 일으키기도 함
예) 영어의 \'send, hint, sense, lens, bench, hinge\'에서는 /n/ 다음에 다른 자음이 올 때 치조음이나 경구개음이 옴. 한국어에서 \'낮, 낯\'과 같은 말의 받침은 치조음인 [ㄷ]로 발음됨
④ 연구개음(여린입천장소리) : /ㄱ, ㅋ, ㄲ, ㅇ/
- 경구개보다 조금 안쪽의 부드러운 입천장과 혀의 뒷부분 사이에서 장애가 일어나서 발음되는 소리
예) 영어의 \'finger, bingo, sink, bank\'에서 /k, g/ 앞에서 /n/가 [ŋ]으로 발음됨.
한국어의 \'번개, 흔쾌히, 만끽\' 등은 일상 구어에서는 [벙개, 흥쾌히, 망끽] 등과 같이 발음됨
⑤ 후음(목청소리) : /ㅎ/, /h/
- 목청에서 나는 소리 성대 사이의 공간에서 공기 흐름에 장애가 일어남
- 한국어에는 영어의 \'think, father\'에서 볼 수 있는 /θ, o/, \'flower, victory\'에서 볼 수 있는 순치음 /f, v/와 같은 소리가 없으며, 중국어에서 볼 수 있는 권설음, 아랍어 등에서 많이 나타나는 목젖음이나 인두음이 없음
(2) 조음방법에 따른 자음의 분류
- 자음은 장애를 일으키는 방법, 즉 조음방법에 따라서도 다른 소리가 남
- 예를 들어 /ㄷ, ㄸ, ㅌ/와 /ㅅ, ㅆ/의 차이는 혀를 입천장에 붙이느냐 안 붙이느냐에 있음
- 조음방법은 일차적으로 장애음과 공명자음(비장애음)으로 나눔
① 공명자음
- 장애음과 공명자음의 공통점은 장애를 일으킨다는 것인데, 공명자음은 장애와 비장애가 동시에 일어나는 소리임
예) /ㅁ, ㄴ, ㅇ/와 같은 비음은 입 안에서는 장애가 일어나지만, 또 다른 공깃길인 코에서는 아무런 장애가 일어나지 않음.
/ㄹ(l,r)/와 같은 유음은 혀끝과 치조 사이에서 장애가 일어나지만 혀의 양쪽 측면으로는 공기가 아무런 장애 없이 빠져나감
- 장애음은 순수 자음인 반면, 비음과 유음과 같은 공명자음은 자음이면서도 모음의 성질을 갖는 비순수 자음이며 따라서 비음과 유음은 모음과 마찬가지로 유성음임
- 공명자음의 이러한 특징 때문에 영어에서는 /m, n, l, r/ 등도 모음처럼 음절을 형성함
예) bottom, kitten, bottle, apple, hammer, sabre
② 장애음
- 장애음은 코를 공깃길로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비음과 다르고, 공기를 혀 옆으로 내보내지 않는다는 점에서 유음과 다름
- 장애음은 입 안에 공기를 가득 채운 후 내보내면서 발음하며 입 안에 든 공기를 내보내는 방법에는 세 가지가 있음
㉠ 막았던 지점을 크게 벌려 한꺼번에 터뜨리듯이 내보내는 방법.
/ㅂ, ㅃ, ㅍ/ - 이와 같은 소리들을 파열음(폐쇄음)이라고 함
㉡ 공기를 차단하는 지점을 완전히 막지는 않고 작은 틈을 두어 그 틈 사이로 공기가 빠져 나가게 하는 방법. /ㅅ, ㅆ/ - 이러한 소리들을 마찰음이라고 함
㉢ 파열음(폐쇄음)과 마찰음을 발음하는 방법을 합친 것이며 어느 지점을 완전히 막아 공기를 차단하였다가 뗄 때에는 조금만 떼어 마찰이 일어나게 하여 소리나게 하는 방법.
/ㅈ, ㅉ, ㅊ/ - 이러한 소리들을 파찰음이라고 함
조음위치
조음방법
양순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후음
장애음
파열음
ㅂㅃㅍ
ㄷㄸㅌ
ㄱ ㄲ ㅋ
마찰음
ㅅㅆ
ㅎ
파찰음
ㅈ ㅉ ㅊ
공명음
비음
ㅁ
ㄴ
ㅇ
유음
ㄹ
(3) 기의 세기에 따른 자음의 분류
- 조음위치와 조음방법에 따라 자음을 분류하는 방법은 언어 일반적인 자음의 분류 방법임
- 한국어 장애음은 이러한 방법 외에도 공기를 내뿜는 정도(기의 세기)에 따라 평음(예사소리), 경음(된소리), 격음(거센소리)으로 재분류되며 이런 특징은 다른 언어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는 한국어의 고유한 특징 중의 하나임
조음위치
기의세기
조음방법
양순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후음
장애음
파열음
평음
ㅂ[p]
ㄷ[t]
ㄱ[k]
경음
ㅃ[p\']
ㄸ[t\']
ㄲ[k\']
격음
ㅍ[ph]
ㅌ[th]
ㅋ[kh]
마찰음
평음
ㅅ[s]
경음
ㅆ[s\']
격음
ㅎ[h]
파찰음
평음
ㅈ[]
경음
ㅉ[\']
격음
ㅊ[h]
공명음
비음
ㅁ[m]
ㄴ[n]
ㅇ[ŋ]
유음
ㄹ[l/r]
- 한국의 자음을 기의 세기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은 다른 언어와 비교해 볼 때 두 가지 면에서 차이가 있음
① 대립되는 소리의 수적인 차이이며 다른 언어는 장애음이 대개 두 종류로 분류되는데, 한국어는 세 종류로 분류됨
예) 영어, 일본어 : /p/와 /b/, 한국어 : /ㅂ/, /ㅃ/, /ㅍ/
② 대립되는 소리의 질적인 차이이며 영어와 일본어, 프랑스어 등 대부분의 언어에서는 무성음과 유성음이 대립하며 한국어의 경우 평음, 경음, 격음이 대립
2. 한국어 단모음과 이중모음
1) 표준 발음법 규정
제3항 표준어의 모음은 다음 21개로 한다.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제4항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는 단모음으로 발음한다.
[붙임] ‘ㅚ ㅟ’는 이중모음으로 발음할 수 있다. 제5항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는 이중모음으로 발음한다. 다만 1.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가지어 → 가져[가저] 찌어 → 쪄[쩌] 다치어 → 다쳐[다처]
다만 2. ‘예, 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한다.
계집 [계:집/게:집] 계시다 [계:시다/게:시다]
시계 [시계/시게] 연계 [연계/연게]
몌별 [몌별/메별] 개폐 [개폐/개페]
혜택 [혜:택/헤:택] 지혜 [지혜/지헤]
다만 3.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발음한다.
늴리리
- 혀의 끝부분이 치조에 닿거나 가까이 밀착하여 공기의 흐름에 장애를 일으킴
- 영어의 /t, d, s, z, n, r, l/와 같은 소리도 치조음
③ 경구개음(센입천장소리) : /ㅈ, ㅉ, ㅊ/
- 치조보다 조금 더 안쪽인 딱딱한 입천장과 혀의 앞부분 사이에서 장애가 일어나서 발음되는 소리
- 해당 부분에서 장애를 일으킬 때 혀의 끝부분은 치조에 닿는 경우가 많으며 이런 이유로 경구개음은 치조음과 비슷한 음운 현상을 일으키기도 함
예) 영어의 \'send, hint, sense, lens, bench, hinge\'에서는 /n/ 다음에 다른 자음이 올 때 치조음이나 경구개음이 옴. 한국어에서 \'낮, 낯\'과 같은 말의 받침은 치조음인 [ㄷ]로 발음됨
④ 연구개음(여린입천장소리) : /ㄱ, ㅋ, ㄲ, ㅇ/
- 경구개보다 조금 안쪽의 부드러운 입천장과 혀의 뒷부분 사이에서 장애가 일어나서 발음되는 소리
예) 영어의 \'finger, bingo, sink, bank\'에서 /k, g/ 앞에서 /n/가 [ŋ]으로 발음됨.
한국어의 \'번개, 흔쾌히, 만끽\' 등은 일상 구어에서는 [벙개, 흥쾌히, 망끽] 등과 같이 발음됨
⑤ 후음(목청소리) : /ㅎ/, /h/
- 목청에서 나는 소리 성대 사이의 공간에서 공기 흐름에 장애가 일어남
- 한국어에는 영어의 \'think, father\'에서 볼 수 있는 /θ, o/, \'flower, victory\'에서 볼 수 있는 순치음 /f, v/와 같은 소리가 없으며, 중국어에서 볼 수 있는 권설음, 아랍어 등에서 많이 나타나는 목젖음이나 인두음이 없음
(2) 조음방법에 따른 자음의 분류
- 자음은 장애를 일으키는 방법, 즉 조음방법에 따라서도 다른 소리가 남
- 예를 들어 /ㄷ, ㄸ, ㅌ/와 /ㅅ, ㅆ/의 차이는 혀를 입천장에 붙이느냐 안 붙이느냐에 있음
- 조음방법은 일차적으로 장애음과 공명자음(비장애음)으로 나눔
① 공명자음
- 장애음과 공명자음의 공통점은 장애를 일으킨다는 것인데, 공명자음은 장애와 비장애가 동시에 일어나는 소리임
예) /ㅁ, ㄴ, ㅇ/와 같은 비음은 입 안에서는 장애가 일어나지만, 또 다른 공깃길인 코에서는 아무런 장애가 일어나지 않음.
/ㄹ(l,r)/와 같은 유음은 혀끝과 치조 사이에서 장애가 일어나지만 혀의 양쪽 측면으로는 공기가 아무런 장애 없이 빠져나감
- 장애음은 순수 자음인 반면, 비음과 유음과 같은 공명자음은 자음이면서도 모음의 성질을 갖는 비순수 자음이며 따라서 비음과 유음은 모음과 마찬가지로 유성음임
- 공명자음의 이러한 특징 때문에 영어에서는 /m, n, l, r/ 등도 모음처럼 음절을 형성함
예) bottom, kitten, bottle, apple, hammer, sabre
② 장애음
- 장애음은 코를 공깃길로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비음과 다르고, 공기를 혀 옆으로 내보내지 않는다는 점에서 유음과 다름
- 장애음은 입 안에 공기를 가득 채운 후 내보내면서 발음하며 입 안에 든 공기를 내보내는 방법에는 세 가지가 있음
㉠ 막았던 지점을 크게 벌려 한꺼번에 터뜨리듯이 내보내는 방법.
/ㅂ, ㅃ, ㅍ/ - 이와 같은 소리들을 파열음(폐쇄음)이라고 함
㉡ 공기를 차단하는 지점을 완전히 막지는 않고 작은 틈을 두어 그 틈 사이로 공기가 빠져 나가게 하는 방법. /ㅅ, ㅆ/ - 이러한 소리들을 마찰음이라고 함
㉢ 파열음(폐쇄음)과 마찰음을 발음하는 방법을 합친 것이며 어느 지점을 완전히 막아 공기를 차단하였다가 뗄 때에는 조금만 떼어 마찰이 일어나게 하여 소리나게 하는 방법.
/ㅈ, ㅉ, ㅊ/ - 이러한 소리들을 파찰음이라고 함
조음위치
조음방법
양순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후음
장애음
파열음
ㅂㅃㅍ
ㄷㄸㅌ
ㄱ ㄲ ㅋ
마찰음
ㅅㅆ
ㅎ
파찰음
ㅈ ㅉ ㅊ
공명음
비음
ㅁ
ㄴ
ㅇ
유음
ㄹ
(3) 기의 세기에 따른 자음의 분류
- 조음위치와 조음방법에 따라 자음을 분류하는 방법은 언어 일반적인 자음의 분류 방법임
- 한국어 장애음은 이러한 방법 외에도 공기를 내뿜는 정도(기의 세기)에 따라 평음(예사소리), 경음(된소리), 격음(거센소리)으로 재분류되며 이런 특징은 다른 언어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는 한국어의 고유한 특징 중의 하나임
조음위치
기의세기
조음방법
양순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후음
장애음
파열음
평음
ㅂ[p]
ㄷ[t]
ㄱ[k]
경음
ㅃ[p\']
ㄸ[t\']
ㄲ[k\']
격음
ㅍ[ph]
ㅌ[th]
ㅋ[kh]
마찰음
평음
ㅅ[s]
경음
ㅆ[s\']
격음
ㅎ[h]
파찰음
평음
ㅈ[]
경음
ㅉ[\']
격음
ㅊ[h]
공명음
비음
ㅁ[m]
ㄴ[n]
ㅇ[ŋ]
유음
ㄹ[l/r]
- 한국의 자음을 기의 세기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은 다른 언어와 비교해 볼 때 두 가지 면에서 차이가 있음
① 대립되는 소리의 수적인 차이이며 다른 언어는 장애음이 대개 두 종류로 분류되는데, 한국어는 세 종류로 분류됨
예) 영어, 일본어 : /p/와 /b/, 한국어 : /ㅂ/, /ㅃ/, /ㅍ/
② 대립되는 소리의 질적인 차이이며 영어와 일본어, 프랑스어 등 대부분의 언어에서는 무성음과 유성음이 대립하며 한국어의 경우 평음, 경음, 격음이 대립
2. 한국어 단모음과 이중모음
1) 표준 발음법 규정
제3항 표준어의 모음은 다음 21개로 한다.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제4항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는 단모음으로 발음한다.
[붙임] ‘ㅚ ㅟ’는 이중모음으로 발음할 수 있다. 제5항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는 이중모음으로 발음한다. 다만 1.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가지어 → 가져[가저] 찌어 → 쪄[쩌] 다치어 → 다쳐[다처]
다만 2. ‘예, 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한다.
계집 [계:집/게:집] 계시다 [계:시다/게:시다]
시계 [시계/시게] 연계 [연계/연게]
몌별 [몌별/메별] 개폐 [개폐/개페]
혜택 [혜:택/헤:택] 지혜 [지혜/지헤]
다만 3.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발음한다.
늴리리
추천자료
[한어][중국어][상고한어][상고중국어]한어(중국어)의 특징, 한어(중국어)의 실사와 실형태소...
[외국인을위한 한국어 교육방법론] 언어교수법의 역사
(프랑스어발음연습 A형) 프랑스어 자모음의 발음 특징을 한국어의 발음과 비교하시오 - 자음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한국어의 어문 규범 중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표준발음, 외래어 ...
[한국어 교육론] 국내 국외 교재 분석
한국어 교수 학습 방법론의 현황 및 과제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한국어의 자음과 모음 각 소리가 어떤 방식으로 발음되는지를 알아...
교수요목설계 ) 과제 중심 교수요목의 정의를 정리하고 과제 중심 교수요목의 장점과 한계점...
읽기 텍스트 유형을 2개 이상 선정하여 그 유형에 해당하는 텍스트 예시 1개씩을 제시하고 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