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논문 선택의 이유와 인터뷰를 통한 결과정리
2) 논문을 통해 알게 된 것
3) 환자와 그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의료사회복지의 직무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논문 선택의 이유와 인터뷰를 통한 결과정리
2) 논문을 통해 알게 된 것
3) 환자와 그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의료사회복지의 직무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갈 곳이 마땅치 않은 환자를 위해서는 지역사회 복지기관과의 협력이 절대적이다. 지역사회의 복지기관과 함께 환자의 앞으로의 계획을 수립하고 필요한 의학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퇴원이 후 사후지도에 대해서도 의료복지기관이 필요하다. 퇴원 후 환자가 가정과 지역사회에서 잘 적응하고 있는지, 사회에 스며들어 사회인으로서 생활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필요한 서비스가 있다면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병원에서 지역사회로 생활반경이 변한 환자의 건강 상태와 회복상태, 필요한 건강 요구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2) 환자의 가족을 위한 의료사회복지의 직무 김명주, 위의 논문, 23-24쪽 참고
환자의 가족은 환자가 실질적으로 겪고 있는 질병과 그 질병에 따른 고통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 이에 환자의 신체적, 정서적인 고통과 그에 따른 요구를 가족이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도와주어야 한다. 또한 이후 환자가 가정에 돌아갈 경우를 대비하고 계획을 함께 세우고 이를 가족이 받아들이고 책임감을 느끼고 환자와 가족이 함께
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더불어 환자로 인해서 일어날 수 있는 가족의 신체적, 정신적,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퇴원 후에 환자가 무리 없이 가정 생활과 지역사회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의 자원을 활용하여 환자와 그 가족들을 돕는다.
3. 결론
우리는 지금까지 ‘중년기 암 진단 후 생존한 사람들의 투병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에 관한 논문을 읽고 암을 극복한 사람들이 어떻게 극복을 했으며, 이를 통해 알게 된 것을 글로 써보았다. 또한 암 환자와 그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의료사회복지의 직무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암의 극복은 분명 어렵고도 험한 길이다. 그러나 앞서 읽은 논문의 환자들처럼 자신을 믿고 마음가짐을 이전과 새롭게 먹어본다면 그 험하고 힘든 길도 한결 가볍게 걸어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과 그 가족들의 의료사회복지가 지금보다 더 넓은 영역으로 확대되고 질 높은 서비스가 되길 바라본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박지숭 ( Park Jisung ). \"중년기에 암 진단을 받은 후 생존한 사람들의 투병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保健社會硏究 VOL.37 NO.2 (2017):525-561
김명주. \"의료사회복지사의 직무에 관한 연구\" VOL.- NO.- (2002), 원광대학교
퇴원이 후 사후지도에 대해서도 의료복지기관이 필요하다. 퇴원 후 환자가 가정과 지역사회에서 잘 적응하고 있는지, 사회에 스며들어 사회인으로서 생활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필요한 서비스가 있다면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병원에서 지역사회로 생활반경이 변한 환자의 건강 상태와 회복상태, 필요한 건강 요구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2) 환자의 가족을 위한 의료사회복지의 직무 김명주, 위의 논문, 23-24쪽 참고
환자의 가족은 환자가 실질적으로 겪고 있는 질병과 그 질병에 따른 고통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 이에 환자의 신체적, 정서적인 고통과 그에 따른 요구를 가족이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도와주어야 한다. 또한 이후 환자가 가정에 돌아갈 경우를 대비하고 계획을 함께 세우고 이를 가족이 받아들이고 책임감을 느끼고 환자와 가족이 함께
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더불어 환자로 인해서 일어날 수 있는 가족의 신체적, 정신적,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퇴원 후에 환자가 무리 없이 가정 생활과 지역사회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의 자원을 활용하여 환자와 그 가족들을 돕는다.
3. 결론
우리는 지금까지 ‘중년기 암 진단 후 생존한 사람들의 투병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에 관한 논문을 읽고 암을 극복한 사람들이 어떻게 극복을 했으며, 이를 통해 알게 된 것을 글로 써보았다. 또한 암 환자와 그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의료사회복지의 직무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암의 극복은 분명 어렵고도 험한 길이다. 그러나 앞서 읽은 논문의 환자들처럼 자신을 믿고 마음가짐을 이전과 새롭게 먹어본다면 그 험하고 힘든 길도 한결 가볍게 걸어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과 그 가족들의 의료사회복지가 지금보다 더 넓은 영역으로 확대되고 질 높은 서비스가 되길 바라본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박지숭 ( Park Jisung ). \"중년기에 암 진단을 받은 후 생존한 사람들의 투병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保健社會硏究 VOL.37 NO.2 (2017):525-561
김명주. \"의료사회복지사의 직무에 관한 연구\" VOL.- NO.- (2002), 원광대학교
키워드
추천자료
장애인가족
노인복지론 면담 보고서
실습기관의 대상자와 관련된 복지법과 기관설립의 법적 근거 - 노인복지법 필요성, 목적, 주...
[노인복지론 공통] 노인돌봄을 수행하고 있는 가족 수발자를 인터뷰하고, 사례를 통해 현재 ...
[노인복지론 공통] 치매노인의 가족 수발자를 인터뷰하고 잔여적 복지가 어떻게 노인돌봄에 ...
[교육학과 공통] 가족교육의 학습자가 될 수 있는 사람을 한 명 선정하여 인터뷰를 통해 가족...
(노인복지론 공통) 치매노인의 가족 수발자를 인터뷰하고 잔여적 복지가 어떻게 노인돌봄에 ...
(가족교육론 공통) 가족교육의 학습자가 될 수 있는 사람을 한 명 선정하여 인터뷰를 통해 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