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법교육 도표정리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문법교육 도표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언어와 국어
1. 언어의 본질
2. 언어와 인간
3. 국어와 한글

Ⅱ. 말소리
1. 음운과 음운 체계
2. 음운의 변동

Ⅲ. 단어
1. 단어의 형성
2. 품사

Ⅳ. 어휘
1. 어휘의 체계
2. 어휘의 양상

Ⅴ. 문장
1. 문장의 성분
2. 문장의 짜임
3. 문법 요소

Ⅵ. 이야기
1. 이야기의 개념
2. 이야기의 요소
3. 이야기의 짜임

Ⅷ. 국어의 규범
1. 표준어와 표준 발음
2. 한글 맞춤법
3. 외래어 표기법 외래어를 우리말로 적는 규정
4. 로마자 표기법
5. 표기방식

본문내용

큰 나무, 밤나무, 잣나무, 소나무, 작은 나무 → ‘나무’라는 추상화
복잡성의 원리 : 개념의 복잡성 정도가 언어적 재료의 양과 비례 아이:아이들, 규칙:불규칙, 붉다:붉어지다
나 먼저 원리 : 자아중심적 요소에 일차적인 주의를 환기 이곳저곳, 오늘내일, 안팎, 국내외, 남북, 엊그제
현저성의 원리 : 현저하거나 적극적인 요소에 일차적인 주의를 환기 장단, 고저, 처첩, 군신, 주종, 부모, 남녀
(2) 언어와 사회
의사소통의 도구
한 사회에서 누구나 공유
사회의 이념이나 고정관념, 편견 등을 담고 있음 성 역할에 대한 사회적 편견이 언어에 반영 : 여류시인, 여순경, 여교사
표지
지역방언
지역에 따라 사용하는 말의 양상이 다름
사회방언
연령, 성별, 직업, 사회적 신분이나 지위, 학력, 경제력 등에 따라 사용하는 말의 양상이 다름
(3) 언어와 문화
특징
학습활동
민족의 독특하고 고유한 문화를 반영
우리의 고유문화를 반영하고 있는 언어 자료 설명하기
언어 그 자체가 문화적 산물
우리의 고유문화를 반영하고 있는 언어 자료 외국어로 번역하기
문화 활동(창조, 보존, 전달)의 수단
신체 언어, 호칭어, 친족어, 높임 표현을 중심으로 각국 언어 문화의 차이점 알기
3. 국어와 한글
(1) 국어의 특질
언어의 계통 분류
언어의 기원과 역사에 근거하는 기준
언어의 유형 분류
언어의 구조적 특징에 근거하는 기준
음운의 특질
예사소리:된소리:거센소리의 음운 대립 → 삼지적 상관속
마찰음의 수가 적음 → 영어는 9개임에 반해, 국어는 ‘ㅅ, ㅆ, ㅎ’ 3개 뿐
음절 끝 파열음의 미파화(내파와, 중화)
어두자음군 제약
둘 이상의 자음이 오지 못함
두음법칙(ㄹ,ㄴ의 제약) → ‘ㄹ‘은 무조건 ‘ㄴ’으로 바뀜. 첫 음절의 ‘냐,녀,뇨,뉴,니’는 ‘야,여,요,유,이’로 바뀜
모음조화 현상
영남방언에서는 /ㅅ,ㅆ//ㅔ,ㅐ//ㅡ,ㅓ/가 구분되지 않음
자음동화현상 : 언제나 환경이 정해지면 적용되는 절대적 변동 현상
어휘의 특질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의 삼중 체계 → ‘소젖-우유-밀크’와 같이 유의어의 위상적 대립 형성
친족 어휘의 발달
고유어 : 감각어, 의성어, 의태어. 상징어의 발달
배의성 : 형태소가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가 만들어지는 것을 쉽게 배려하는 특징 눈+물>눈물
문법의 특질
첨가어(교착어 : 문법요소의 기능이 단일하여 형태와 기능이 일대일로 대응되는 언어) : 조사와 어미의 발달
근간성분의 생략이 용이 : 주어와 목적어가 잘 생략되는 특성
단어형성법 발달 → ‘배의성’의 결과
SOV의 어순 : 어순 교체가 비교적 자유로움 → ‘수식어-피수식어’의 순서, ‘서술어’의 위치는 제약
높임 표현의 발달
좌분지 언어 : 수식어는 피수식어 앞에 오고, 가장 중심이 되는 서술어가 문장의 맨 끝에 오는 점
명사에 성의 구별과 수의 개념이 불분명
관계대명사가 없음
형용사에 비교급, 최상급이 없음
(2) 위대한 문화유산, 한글
한글의 독창성
독창적 원리(발음기관/천지인 상형)로 세종대왕이 직접 만듦
창제자와 창제시기가 정확히 알려짐
한글의 과학성
(제자원리)
글자의 수는 적지만, 표음성이 뛰어남 (그림문자 → 상형문자 → 표의문자 → 표음문자
→ 음절문자 → 음운문자 → 음운자질문자)
조음위치
기본자
가획 한 번
가획 두 번
이체자
아음



설음




순음



치음




후음



발음기관을 본떠 만든 자음들은 기본 글자에 획을 더하여 음운보다 작은 음성자질까지 드러낼 수 있는 글자
제자 원리
기본자 : 상형
가획/병서/연서/합용의 원리
종성부용초성
정보화시대 : 컴퓨터나 휴대 전화에 입·출력이 자유로움(정보처리 및 전달속도가 빠름)
Ⅱ. 말소리
1. 음운과 음운 체계
(1) 음성과 발음 기관
음향
자연에서 존재하는 대부분의 소리
음성
발음기관을 통하여 나오는 말소리
말을 만드는 데 활용되는 분절적인 소리
음성
물리적인 상태의 말소리
음운
모국어 화자가 심리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말소리
발음기관
발동부
허파
발성부
목청떨림
유성음
비음(ㄴ,ㅁ,ㅇ), 유음(ㄹ), 모음
무성음
ㄱ,ㄷ,ㅂ,ㅈ,ㅎ 등
조음부
고정부
윗입술, 윗니, 윗잇몸, 입천장
능동부
아랫입술, 아랫니, 혀, 목청(발성부‘ㅎ’와 조음부의 역할을 함께 수행)
(2) 국어의 음운 체계
음운
음소(분절음운)
운소(비분절음운)
모음
공기나 목 안이나 입 안에서 별다른 장애를 받지 않고 나는 소리
자음
공기가 목 안이나 입 안에서 장애를 받으면서 나는 소리
소리의 길이, 높이, 세기, 억양
음운
모국어 화자가 심리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말소리
말의 의미 차이를 가져오는(단어의 의미 변별적 기능) 소리의 최소 단위 물,불,풀/발,벌,볼,불/박,밖,반,발,밤,방,밭
최소대립
둘 이상의 단어가 같은 위치에 있는 하나의 음운 따문에 의미의 차이를 보이는 경우
물,불,풀/발,벌,볼,불/박,밖,반,발,밤,방,밭 → 최소대립쌍
변이음
하나의 음운이 그 환경에 따라 여러 소리로 실현되는 것
/ㄱ/ : 어두에서 무성음[k](가난), 유성음 사이에서는 유성음[g](아가), 어말에서는 닫음소리[k\']로 실현
→ 상보적 분포, 배타적 분포
모음
단모음
10개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모음
원순모음
평순모음
원순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공깃길의 모양을 바꾸지 않고 내는 소리
학습
활동
1. 발음이 어려운 모음
전설평순중모음‘ㅐ’와 전설평순저모음‘ㅔ’의 구별
단모음 ‘ㅚ’‘ㅟ’와 이중모음 ‘ㅞ’‘ㅟ’의 구별
방언에서 ‘ㅡ’를 ‘ㅓ’로 발음
중부방언에서 2음절 이하에 오는 ‘ㅗ’를 ‘ㅜ’로 발음 삼촌>삼춘, 사돈>사둔, 부조>부주
2. 국어의 현실적인 단모음 체계 : 표준발음법에서 ‘ㅚ’‘ㅟ’를 단모음으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이중모음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
3. 이중모음 ‘ㅢ’에 대해 탐구하기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발음
단어의 첫 음절 이외의 ‘의’는 [ㅣ]로, 조사 ‘의’는 [ㅔ]로 발음함도 허용‘ㅢ’로 적는 이유
‘띄어, 씌어, 틔어’ 등은 ‘ㅡㅣ’가 줄어진 형태이므로
‘희다, 희떱다, 희뜩거리다’ 등은 관용에 따라
‘늴리리,
  • 가격5,0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21.12.20
  • 저작시기202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601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