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대_21학년도1학기 기말시험)_소리와발음(공통)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송대_21학년도1학기 기말시험)_소리와발음(공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조음 방법에 따라 현대국어의 자음을 분류하시오.
2. 현대국어 표준어 모음의 예를 들어 단모음과 이중모음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4. 현대국어의 음절 구조 유형을 아홉으로 나누고 예를 들어서 각각의 유형을 설명하시오.
6. 현대국어의 예를 들어 비음화 현상에 대해 설명하시오.

본문내용

장애음이 비음 앞에 올 경우 이것을 잘 발음하지 못하는데 이로 인해 비음 앞에 있는 자음을 인위적으로 비음으로 바꾸어줌으로써 발음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있다.
한국어의 비음화는 피동화음과 동화음이 직접 연속되어 있는 경우 일어나기 때문에 직접동화이며, 동화음이 피동화음보다 뒤에 있는 경우에 일어나기 때문에 역행동화이다. 다만 비음화에서는 장애음이 그와 조음 위치를 함께하는 비음을 바뀐다는 점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치조음 ‘ㄷ’은 치조비음 ‘ㄴ’으로 비음화하고 연구개음 ‘ㄱ’은 연구개비음 ‘ㅇ’으로 비음화하며 ‘ㄴ’, ‘ㅂ’과 같은 양순음과 양순비음은 ‘ㅁ’으로 비음화한다. 예를 들어, ‘먹는’은 비음화로 인해 ‘멍는’으로 발음하며 ‘닫는’은 ‘단는’으로 ‘잡는’은 ‘잠는’으로 발음한다. ‘ㄱ, ㄷ, ㅂ’과 같이 자음군단순화를 겪는 두 자음 중 하나가 줄어들어서 만들어진 자음의 경우에는 평폐쇄음화를 겪어 비음 앞에서는 비음으로 바뀐다. 예를 들어, ‘흙먼지’는 ‘흑먼지’에서 ‘흥먼지’로 비음화되고 ‘없네’는 ‘업네’에서 ‘엄네’로 바뀌어 발음된다. 외래어의 경우에도 장애음 ‘ㄱ, ㄷ, ㅂ’가 비음의 앞에 연결될 경우 비음화된다. 예를 들어, ‘핫뉴스’는 ‘
  • 가격3,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22.01.10
  • 저작시기202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618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