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도 갈리기 때문에 더 편하게 많은 재료를 갈 수가 있어요. 이번에는 다듬이가 어떤걸로 바뀌었나요?
C: 다리미요.
C: 두들기지 않고 슥슥 밀기만 해도 되요.
T: 가마솥은 어떻게 변했지요?
C: 밥솥으로 변했어요. 이것도 버튼 눌러서 기다리기만 하면 밥이 완성되요.
T: 주판이랑 옹기는 어떻게 변했을까요?
C: 주판은 계산기로 변하고 옹기는 김치냉장고로 변했어요.
C: 계산기는 숫자만 눌러도 계산이 되고 김치 냉장고는 차갑고 신선하게 해줘요.
T: 이렇게 옛날에 사용하던 도구들이 오늘날에 더 편리한 도구들로 바뀌었어요.
4. 미래에 나올 도구에 대해 이야기 해본다.
T: 그렇다면 더 훗날에는 어떤 도구들이 나올 것 같나요?
C: 미래에는 저희가 말만 해도 뚝딱 밥을 만들어주는 기계가 나올 것 같아요.
C: 스스로 일을 하는 도구가 나올 것 같아요.
T: 친구들이 말한 것처럼 그런 도구가 나올 수도 있고 우리가 생각하지 못했던 도구들이 나올 수도 있겠네요.
마무리
1. 오늘의 활동에 대해 평가한다.
T: 오늘 활동을 하면서 느꼈던 점들이 있으면 한 번 이야기해볼까요?
C: 실제로 도구들을 볼 수 있어서 좋았어요.
T: 실제로 도구들을 보아서 좋았군요.
C: 도구가 점점 변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어 좋았어요.
C: 미래의 도구도 다 같이 이야기해봐서 좋았어요.
C: 저희가 직접 도구들을 만들어보면 조금 더 좋았을 것 같아요.
T: 친구들이 많은 것을 느꼈군요. 그럼 다음에는 우리가 직접 우리만의 도구를 만들어보도록 해요. 모두 자유선택활동을 하러가세요.
활동의
유의점
소외되는 유아가 없도록 주의를 기울인다.
유아들이 도구로 인해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규칙에 대해 이야기한다.
3. 단위활동 계획안
일 시
2020년1월2일 목요일
대 상
만5세
소요시간
20분
생활주제
생활도구
주 제
생활도구
소 주 제
다양한 생활도구
활 동 명
무엇이 필요할까요?
활동유형
새노래부르기
영 역
음률영역
목 표
상황에 맞는 도구에 대해 알아본다.
다양한 방법으로 노래를 불러본다.
누리과정
관련요소
자연탐구>과학적 탐구하기>간단한 도구와 기계 활용하기
예술경험>예술적 표현하기>음악으로 표현하기
활동 자료
가사판, 음원, 피아노, 악보, 실물자료(우산, 이불 등)
활동 방법
도입
1. 노랫말과 관련이 있는 실물자료를 보여주면서 이야기한다.
T: 이 우산은 어떨 때 사용하는 건가요?
C: 비가 올 때 사용해요.
T: 우산은 비올 때 사용하고 이 이불은 언제 사용하나요?
C: 잠잘 때 사용해요.
T: 네 우리 친구들이 말한 대로 우산은 비올 때, 이불은 잠잘 때 사용하지요. 그럼 노래를 한 번 배워보도록 할까요?
C: 네
전개
1. 가사판과 악보를 제시하여 이야기 식으로 들려준다.
T: 지금부터 선생님이 재미있는 이 이야기를 들려줄게요.
(저 판을 보여주며 이야기를 해준다.)
T: 지금 선생님이 들려준 이야기 속 내용을 우리 친구들이 말해볼까요?
C: 비가 올 때는 우산이 필요하고 잠을 잘 때는 이불이 필요해요.
T: 네 맞아요! 이번에는 무엇이 필요 할까요? 노래를 배워보도록 해요.
C: 네
2. 먼저 교사가 불러주는 ‘무엇이 필요 할까요?’노래를 들어본다.
T: 이번에는 선생님이 노래를 불러볼게요 모두 잘 들어보세요!
C: 네
3. 멜로디만 들려준다.
T: 모두 잘 들었나요? 다시 한 번 노래를 들어볼 거예요. 근데 이번에는 멜로디로만 노래를 들어볼거예요.
C: 네
4. 여러 가지 방식으로 교사와 아동이 함께 노래를 불러본다.
허밍으로 부른다.
T: 선생님이 흥얼거린 부분을 친구들이 똑같이 흥얼거리도록 해요.
C: 네
한음절로 부른다.
T: 이번에는 한 음절로만 불러 볼 건데 어떤 음절이면 좋을 것 같나요?
C: ‘라’로 불러요
T: 그럼 다함께 ‘라’로만 불러보도록 해요.
교사가 한소절 부르면 아동이 똑같은 소절을 부른다.
T: 이번에는 선생님이 먼저 노래를 부르면 여러분이 선생님이 부른 부분을 따라 부르면 되는 거예요!
C: 네
T: 주르륵 주르륵 비가 오는날
C: 주르륵 주르륵 비가 오는날
T: 무엇이 무엇이 필요 할까요?
C: 무엇이 무엇이 필요 할까요?
T: 그건 바로 우산
C: 그건 바로 우산
T: 비를 막아주는 고마운 우산 우산
C: 비를 막아주는 고마운 우산 우산
T: 쌔근 쌔근 잠을 잘 때
C: 쌔근 쌔근 잠을 잘 때
T: 무엇이 무엇이 필요 할까요?
C: 무엇이 무엇이 필요 할까요?
T: 그건 바로 이불
C: 그건 바로 이불
T: 포근히 덮어주는 고마운 이불 이불
C: 포근히 덮어주는 고마운 이불 이불
T: 와~우리 친구들 진짜 잘하네요. 이번에는 다르게 불러 볼게요.
C: 네
대답하는 부분(1,2)에 아동을 참여시켜 부르게 한다.
T: 이번에는 선생님이 질문 노래를 부르면 우리 친구들은 대답하는 부분을 불러보도록 해요.
C: 네
T: 주르륵 주르륵 비가 오는 날 무엇이 무엇이 필요할까요?
C: 그건 바로 우산 비를 막아주는 고마운 우산 우산
T: 쌔근 쌔근 잠을 잘 때 무엇이 무엇이 필요 할까요?
C: 그건 바로 이불 포근히 덮어주는 고마운 이불 이불
T: 우리 친구들 진짜 너무 이뻐요. 우리 모두 잘했다고 서로에게 박수~
C: (박수치며)와~
아동들끼리 나누어서 노래를 불러본다.
T: 이번에는 팀으로 나눠서 불러 볼거예요. ○이쪽 팀은 질문 노래를 부르고 ●이쪽 팀은 대답 노래를 불러보아요.
C: 네
(○팀은 질문 부분을 부른다. 대답 부분은●팀이 부른다.)
5. 자유롭게 불러본다.
T: 그럼 이제부터 자유롭게 불러보도록 해요.
C: 네
(자유롭게 부른다.)
마무리
1. 활동에 대한 생각이나 느낌을 이야기한다.
T: 오늘 배운 노래는 어땠나요?
C: 재밌고 신났어요.
T: 가장 재미있었던 부분은 어떤 점이였나요?
C: 친구들과 나눠 부른 점이 정말 즐거웠어요.
T: 그랬구나. 친구들과 나눠 부른 점이 즐거웠군요. 또 다르게 느낀 친구 있을까요?
C: 악기도 연주했으면 좋았을 것 같아요.
T: 그럼 다음시간에는 악기도 연주하면서 즐겁게 활동을 해볼까요?
C: 네
활동의
유의점
억지로 활동에 참여시키지 않도록 주의한다.
원하는 부분을 할 수 있게끔 도와준다.
C: 다리미요.
C: 두들기지 않고 슥슥 밀기만 해도 되요.
T: 가마솥은 어떻게 변했지요?
C: 밥솥으로 변했어요. 이것도 버튼 눌러서 기다리기만 하면 밥이 완성되요.
T: 주판이랑 옹기는 어떻게 변했을까요?
C: 주판은 계산기로 변하고 옹기는 김치냉장고로 변했어요.
C: 계산기는 숫자만 눌러도 계산이 되고 김치 냉장고는 차갑고 신선하게 해줘요.
T: 이렇게 옛날에 사용하던 도구들이 오늘날에 더 편리한 도구들로 바뀌었어요.
4. 미래에 나올 도구에 대해 이야기 해본다.
T: 그렇다면 더 훗날에는 어떤 도구들이 나올 것 같나요?
C: 미래에는 저희가 말만 해도 뚝딱 밥을 만들어주는 기계가 나올 것 같아요.
C: 스스로 일을 하는 도구가 나올 것 같아요.
T: 친구들이 말한 것처럼 그런 도구가 나올 수도 있고 우리가 생각하지 못했던 도구들이 나올 수도 있겠네요.
마무리
1. 오늘의 활동에 대해 평가한다.
T: 오늘 활동을 하면서 느꼈던 점들이 있으면 한 번 이야기해볼까요?
C: 실제로 도구들을 볼 수 있어서 좋았어요.
T: 실제로 도구들을 보아서 좋았군요.
C: 도구가 점점 변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어 좋았어요.
C: 미래의 도구도 다 같이 이야기해봐서 좋았어요.
C: 저희가 직접 도구들을 만들어보면 조금 더 좋았을 것 같아요.
T: 친구들이 많은 것을 느꼈군요. 그럼 다음에는 우리가 직접 우리만의 도구를 만들어보도록 해요. 모두 자유선택활동을 하러가세요.
활동의
유의점
소외되는 유아가 없도록 주의를 기울인다.
유아들이 도구로 인해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규칙에 대해 이야기한다.
3. 단위활동 계획안
일 시
2020년1월2일 목요일
대 상
만5세
소요시간
20분
생활주제
생활도구
주 제
생활도구
소 주 제
다양한 생활도구
활 동 명
무엇이 필요할까요?
활동유형
새노래부르기
영 역
음률영역
목 표
상황에 맞는 도구에 대해 알아본다.
다양한 방법으로 노래를 불러본다.
누리과정
관련요소
자연탐구>과학적 탐구하기>간단한 도구와 기계 활용하기
예술경험>예술적 표현하기>음악으로 표현하기
활동 자료
가사판, 음원, 피아노, 악보, 실물자료(우산, 이불 등)
활동 방법
도입
1. 노랫말과 관련이 있는 실물자료를 보여주면서 이야기한다.
T: 이 우산은 어떨 때 사용하는 건가요?
C: 비가 올 때 사용해요.
T: 우산은 비올 때 사용하고 이 이불은 언제 사용하나요?
C: 잠잘 때 사용해요.
T: 네 우리 친구들이 말한 대로 우산은 비올 때, 이불은 잠잘 때 사용하지요. 그럼 노래를 한 번 배워보도록 할까요?
C: 네
전개
1. 가사판과 악보를 제시하여 이야기 식으로 들려준다.
T: 지금부터 선생님이 재미있는 이 이야기를 들려줄게요.
(저 판을 보여주며 이야기를 해준다.)
T: 지금 선생님이 들려준 이야기 속 내용을 우리 친구들이 말해볼까요?
C: 비가 올 때는 우산이 필요하고 잠을 잘 때는 이불이 필요해요.
T: 네 맞아요! 이번에는 무엇이 필요 할까요? 노래를 배워보도록 해요.
C: 네
2. 먼저 교사가 불러주는 ‘무엇이 필요 할까요?’노래를 들어본다.
T: 이번에는 선생님이 노래를 불러볼게요 모두 잘 들어보세요!
C: 네
3. 멜로디만 들려준다.
T: 모두 잘 들었나요? 다시 한 번 노래를 들어볼 거예요. 근데 이번에는 멜로디로만 노래를 들어볼거예요.
C: 네
4. 여러 가지 방식으로 교사와 아동이 함께 노래를 불러본다.
허밍으로 부른다.
T: 선생님이 흥얼거린 부분을 친구들이 똑같이 흥얼거리도록 해요.
C: 네
한음절로 부른다.
T: 이번에는 한 음절로만 불러 볼 건데 어떤 음절이면 좋을 것 같나요?
C: ‘라’로 불러요
T: 그럼 다함께 ‘라’로만 불러보도록 해요.
교사가 한소절 부르면 아동이 똑같은 소절을 부른다.
T: 이번에는 선생님이 먼저 노래를 부르면 여러분이 선생님이 부른 부분을 따라 부르면 되는 거예요!
C: 네
T: 주르륵 주르륵 비가 오는날
C: 주르륵 주르륵 비가 오는날
T: 무엇이 무엇이 필요 할까요?
C: 무엇이 무엇이 필요 할까요?
T: 그건 바로 우산
C: 그건 바로 우산
T: 비를 막아주는 고마운 우산 우산
C: 비를 막아주는 고마운 우산 우산
T: 쌔근 쌔근 잠을 잘 때
C: 쌔근 쌔근 잠을 잘 때
T: 무엇이 무엇이 필요 할까요?
C: 무엇이 무엇이 필요 할까요?
T: 그건 바로 이불
C: 그건 바로 이불
T: 포근히 덮어주는 고마운 이불 이불
C: 포근히 덮어주는 고마운 이불 이불
T: 와~우리 친구들 진짜 잘하네요. 이번에는 다르게 불러 볼게요.
C: 네
대답하는 부분(1,2)에 아동을 참여시켜 부르게 한다.
T: 이번에는 선생님이 질문 노래를 부르면 우리 친구들은 대답하는 부분을 불러보도록 해요.
C: 네
T: 주르륵 주르륵 비가 오는 날 무엇이 무엇이 필요할까요?
C: 그건 바로 우산 비를 막아주는 고마운 우산 우산
T: 쌔근 쌔근 잠을 잘 때 무엇이 무엇이 필요 할까요?
C: 그건 바로 이불 포근히 덮어주는 고마운 이불 이불
T: 우리 친구들 진짜 너무 이뻐요. 우리 모두 잘했다고 서로에게 박수~
C: (박수치며)와~
아동들끼리 나누어서 노래를 불러본다.
T: 이번에는 팀으로 나눠서 불러 볼거예요. ○이쪽 팀은 질문 노래를 부르고 ●이쪽 팀은 대답 노래를 불러보아요.
C: 네
(○팀은 질문 부분을 부른다. 대답 부분은●팀이 부른다.)
5. 자유롭게 불러본다.
T: 그럼 이제부터 자유롭게 불러보도록 해요.
C: 네
(자유롭게 부른다.)
마무리
1. 활동에 대한 생각이나 느낌을 이야기한다.
T: 오늘 배운 노래는 어땠나요?
C: 재밌고 신났어요.
T: 가장 재미있었던 부분은 어떤 점이였나요?
C: 친구들과 나눠 부른 점이 정말 즐거웠어요.
T: 그랬구나. 친구들과 나눠 부른 점이 즐거웠군요. 또 다르게 느낀 친구 있을까요?
C: 악기도 연주했으면 좋았을 것 같아요.
T: 그럼 다음시간에는 악기도 연주하면서 즐겁게 활동을 해볼까요?
C: 네
활동의
유의점
억지로 활동에 참여시키지 않도록 주의한다.
원하는 부분을 할 수 있게끔 도와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