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Ι. 서론
Ⅱ. 본론
1. 엘리자베스 구빈법 이전의 법
2. 엘리자베스 빈민법
3. 정주법과 작업장법
4. 길버트법과 스핀햄란드법
5. 신빈민법
6.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운동
7. 소수파와 다수파보고서와 그 이후의 복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엘리자베스 구빈법 이전의 법
2. 엘리자베스 빈민법
3. 정주법과 작업장법
4. 길버트법과 스핀햄란드법
5. 신빈민법
6.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운동
7. 소수파와 다수파보고서와 그 이후의 복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받아 영국의 사회복지수준은 엄청나게 올라가게 되었다. 특히 1940년대에 많은 복지법이 생겨나게 되었다. 특히, 1945년 가족수당법, 1946년 국민보건서비스법, 1948년 국민부조법, 아동법이 제정되었다. 이 법이 유지되면서 1970년대에 이르면 영국의 사회복지 지출은 정부 예산의 40%를 넘게 되었다. 이는 영국의 많은 식민지들이 점차 독립하게 되면서 영국의 절대적인 제정이 감소한 것도 하나의 이유라 볼 수 있겠다.
심지어 영국은 1976년에 IMF 구제금융을 받을 정도로 상황이 악화되었다. 그 이후 영국정부는 복지를 축소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다. 2012년 영국은 복지개혁법을 제정하였고 2013년에는 시행하였다. 일을 해야 받을 수 있는 일괄수당을 만들고 복지수당의 총액을 제한하였다.
실제로 2011~2012년 예산의 복지 비율이 23%였는데, 2014~2015년 총 예산이 15%로 낮아질 정도였다. 당연한 말이겠지만, 이러한 정책을 펴게 된다면 정부에 대한 지지율은 떨어질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이미 영국은 40여 년 전에 IMF 금융구제를 받은 적이 있기에, 이에 대해 더욱 민감하게 반응을 하는 것 같다. http://m.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C01&nNewsNumb=002345100012 참조.
Ⅲ. 결론
지금까지 영국의 사회복지사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영국은 분명, 세계최초로 복지를 도입한 나라이다. 필자는 영국이 이러한 복지를 행할 수 있었던 이유가 당대에 가장 잘나가는 국가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해가 지지 않는 나라라고 불렸을 정도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식민지 국가들이 점차 독립을 하고 제2차 세계대전의 여파가 남아있는 영국이 점차 침체기로 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복지정책을 유지하였기 때문에, 위와 같은 재정파탄이 났던 것이다. 우리도 이를 보고 배울 필요가 있다. 증세정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서 복지만 늘리는 것은 잘못하면 국가의 경제를 위협할 수도 있게 될 것이라 생각한다.
앞으로 우리나라의 복지가 크게 증가한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신경쓰고 또 신경써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Ⅳ. 참고문헌
원석조, 2019, 『영국 사회복지의 역사: 빈민법에서 복지국가까지』.
네이버(www.naver.com).
KOSIS 국가통계포털(https://kosis.kr).
주간조선(http://m.weekly.chosun.com).
심지어 영국은 1976년에 IMF 구제금융을 받을 정도로 상황이 악화되었다. 그 이후 영국정부는 복지를 축소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다. 2012년 영국은 복지개혁법을 제정하였고 2013년에는 시행하였다. 일을 해야 받을 수 있는 일괄수당을 만들고 복지수당의 총액을 제한하였다.
실제로 2011~2012년 예산의 복지 비율이 23%였는데, 2014~2015년 총 예산이 15%로 낮아질 정도였다. 당연한 말이겠지만, 이러한 정책을 펴게 된다면 정부에 대한 지지율은 떨어질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이미 영국은 40여 년 전에 IMF 금융구제를 받은 적이 있기에, 이에 대해 더욱 민감하게 반응을 하는 것 같다. http://m.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C01&nNewsNumb=002345100012 참조.
Ⅲ. 결론
지금까지 영국의 사회복지사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영국은 분명, 세계최초로 복지를 도입한 나라이다. 필자는 영국이 이러한 복지를 행할 수 있었던 이유가 당대에 가장 잘나가는 국가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해가 지지 않는 나라라고 불렸을 정도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식민지 국가들이 점차 독립을 하고 제2차 세계대전의 여파가 남아있는 영국이 점차 침체기로 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복지정책을 유지하였기 때문에, 위와 같은 재정파탄이 났던 것이다. 우리도 이를 보고 배울 필요가 있다. 증세정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서 복지만 늘리는 것은 잘못하면 국가의 경제를 위협할 수도 있게 될 것이라 생각한다.
앞으로 우리나라의 복지가 크게 증가한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신경쓰고 또 신경써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Ⅳ. 참고문헌
원석조, 2019, 『영국 사회복지의 역사: 빈민법에서 복지국가까지』.
네이버(www.naver.com).
KOSIS 국가통계포털(https://kosis.kr).
주간조선(http://m.weekly.chosun.c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