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체의 상호 용해도 A+ 예비레포트 건국대학교 물리화학실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액체의 상호 용해도 A+ 예비레포트 건국대학교 물리화학실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실험 이론
3. 실험 기구 및 시약
4. 참고문헌

본문내용

20분 이상 흐르는 물로 씻어낸다
②피부접촉 : 물질과 접촉시 즉시 20분 이상 흐르는 물에 피부를 씻어낸다. 화상의 경우 즉시 찬물로 가능
한 오래 해당부위를 식히고, 피부에 들러붙은 옷은 제거하지 않는다.
③응급처치 : 호흡이 멈추면, 119 또는 구급차를 부르고, 인공호흡을 실시한다.
② 빙초산(아세트산)
살균 능력이 있어 대장균이나 포도상구균과 같이 식중독을 일으키는 세균을 죽임으로써 음식의 부패가 진행되는 것을 막아 준다. 중요한 카르복시산의 하나이다.
화학식 CH3COOH. 식초에서 나는 신맛이 아세트산에 의한 것으로, 식초에는 아세트산이 약 4%가량 포함되어 있다. 식초의 원료로 쓰이고 있어 아세트산을 초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순도가 높은 아세트산은 상온에서 고체로 존재하는데, 이를 얼어 있는 초산이라는 의미로 빙초산이라 부른다. 빙초산은 독성이 강해 피부에 닿으면 염증을 일으키므로 주의해야 한다.
아세트산은 발효를 이용해 만들 수 있다.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포도당에 효모를 넣어 주면 알코올발효가 일어나 에탄올이 만들어진다. 이 에탄올에, 산소가 있는 상태에서 아세트산균을 넣어 주면 아세트산균에 의해 에탄올이 분해되어 물과 아세트산이 만들어진다. 이를 아세트산발효라고 하며, 식용식초를 만들 때 자주 사용하는 방법이다. 식초는 오래 전부터 조미료로 많이 사용되어 온 물질로, 그 성분인 아세트산이 약산성을 띠고 있어 신맛을 낼 뿐 아니라 음식물의 부패를 막아 주고 냄새를 없애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주의사항
-가열시 분해하여 자극성 흄을 방출한다. 일산화탄소, 자극성, 독성 흄과 가스, 이산화타노 방출
-NFPA규격
청색: 3, 적색: 2, 황색: 2
-인체에 미치는 영향 및 증상
피부 접촉 시에는 피부화상을 일으키고 흡입 시에는 목의통증, 기침, 두통, 호흡곤란, 메스꺼움과 구토 유발, 섭취는 사망을 야기하는 심각한 손상을 유발. 인후염, 구토, 설사 유발
-응급처치요령
①눈접촉 : 눈을 20~30분간 씻어준다. 홍반이나 자극과 같은 증상이 없더라도, 눈을 씻어낸 후, 즉시 병원으로 피해자를 옮긴다. 눈을 비비거나, 계속 감고있지 않는다.
②피부접촉 : 즉각 다량의 물로 노출된 피부를 씻는다.
③흡입 : 신선한 공기로 호흡하게 한다. 기침이나. 호흡 곤란, 입, 후두나 가슴이 타는 듯한 느낌 등과 같은 증상이 있으면 즉시 환자를 옮긴다.
③ 증류수
물을 가열했을 때 발생하는 수증기를 냉각시켜 정제된 물을 말한다.
보통의 물, 즉 수돗물이나 우물물 등은 각종 유기물과 무기물을 함유하기 때문에 순수하지 못하다. 또 완전히 순수한 물의 pH는 7이어야 하지만, 물이 공기 중에 방치되어 있으면 이산화탄소가 녹아 pH 5.7 정도(약한 산성)가 된다. 그런데 각종 화학반응에 있어 순수한 물이 필요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 증류수를 사용한다. 증류수는 수돗물이나 우물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고, 만들어진 수증기를 냉각시켜 얻을 수 있다.
C. 실험방법
① 실험은 두가지의 온도 조건에서 진행된다.
항온조에서 첫 번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2.03.15
  • 저작시기201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648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