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의의와 필요성
2) 문헌고찰
Ⅱ. 본론
1) 자료조사 - 대상자 자료수집(Assessment)
2) 간호과정
Ⅲ. 결론
1) 연구 결과의 총정리
2) 실습하면서 느낀 점 - 제언
3) 참고문헌
1) 연구의 의의와 필요성
2) 문헌고찰
Ⅱ. 본론
1) 자료조사 - 대상자 자료수집(Assessment)
2) 간호과정
Ⅲ. 결론
1) 연구 결과의 총정리
2) 실습하면서 느낀 점 - 제언
3) 참고문헌
본문내용
0으로 정상으로 돌아왔고, 그 후에도 정상을 유지하였으며, 다음날 부터는 대상자가 어지러움을 호소하지 않고 편안히 휴식을 취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2. 매시간 마다 혈압을 측정한다.
2-1 혈압은 대상자의 체액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알기에 기초가 된다.
2-1 매시간 마다 대상자의 혈압을 측정하였다.
(1300i - 90/60
1400i - 100/60
1500i - 110/60
1600i - 110/70)
3. 수술 후 출혈과 관련된 체액부족
3. 수액요법으로 대상자의 체액을 보충한다. (필요시 수혈)
3-1 수액(HS 1L)으로 대상자의 체액을 보충해 주었다.
(HS 1L를 IV로 주었다.)
3-1 인간의 체액과 가장 유사한 수액을 제공함으로써 대상자의 부족한 체액을 보충할 수 있다.
4. 대상자의 구강건조를 없앤다.
4-1 대상자의 입에 물을 적신 거즈를 물려주었다.
4-1 물을 적신 거즈를 대상자에게 물려주면 구강 내 건조증에 도움이 된다.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⑤“수술이 성공적으로 잘되겠죠?”
⑦“정확히 어떤 수술이에요?,”
초조하고 불안해하는 모습이 관찰됨.
수술에 대해 질문을 많이 함.
수술과 관련된 불안
단기 목표
: 대상자는 수술 전까지 불안감이 사라지고 안정될 것이다.
장기 목표
: 대상자는 퇴원 후에도 수술로 인해 불안해하지 않고 자신에 상태에 대해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1. 대상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제공한다.
1-1 대상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제공했다.
(대상자의 불안호소에 경청하고 공감하며, 손을 잡아 주었다.)
1-1 대상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제공함으로써 대상자의 불안을 해소시킬 수 있다.
대상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제공함으로써 대상자는 더 이상 불안해하지 않고 편안한 모습을 보였다.
대상자에게 질병과 수술에 대한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대상자는 수술 후 자신이 해야 할 일을 이해하고 불안해하지 않았다.
2. 수술에 대한 대상자의 이해정도를 사정한다.
2. 대상자에게 복강경낭종절제술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 함께 이야기 하였다.
(대상자는 수술에 대해 확실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다.)
2-1 대상자의 수준에 맞는 교육을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효율적인 교육을 할 수 있다
4. 수술과 관련된 불안
3.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질환과 수술에 대해 설명한다.
3-1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난소낭종에 대해 설명하였다.
(난소낭종에 대해 되도록 쉬운 말을 사용하여 교육함.)
3-1,2 대상자는 자신의 질환과 수술에 대해 이해하게 되어 불안이 감소 할 수 있고, 쉬운 말을 사용함으로써 대상자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3-2 대상자에게 복강경낭종절제술을 받아야하는 이유, 수술의 장점과 위험성, 수술 하지 않을 경우의 문제점을 설명한다.
(복강경낭종절제술에 대해 되도록 쉬운 말을 사용하여 교육함.)
4. 대상자에게 수술 전 알아야 할 정보를 교육한다.
4-1 수술 전 의식이 분명할 때 미리 설명함으로써 교육 효과가 더 확실해 진다.
4-1 심호흡 및 객담 배출법, 체위변경, 조기이상, 사지운동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시범을 보인 후 연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상자가 연습하는 모습이 관찰됐다.
Ⅲ. 결론
1) 연구 결과의 총정리
상기 환자는 53세 여자환자로 2개월 전 소변보기가 불편해서 마산LMC에서 진료를 봤는데, 방광과 자궁에는 문제가 엇으나 우측 난소 쪽에 문제가 있어서 2개월 뒤에 F/U했는데 10/21일에 마산 LMC에서 우측 난소낭종이라는 진단을 받고 수술하자 했으나, 환자가 큰 병원을 원하여 본원 산부인과 진료 후 수술 위해 입원한 상태이다.
첫 번째 진단으로는 수술과 관련된 통증에 대해 간호수행으로 통증 양상을 사정하고, PCA에 대해 교육하였으며, 이완요법과 대체요법에 대해서 교육하였는데, 그 결과 대상자는 더 이상 통증을 호소하지 않고 편안한 모습이 관찰되었다.
두 번째 진단으로는 수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으로 정상범위의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우선 활력징후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였고 수술부위의 감염여부를 사정하고, 간호행위 시에 무균법을 시행하여 대상자는 감염이 발생하지 않았다.
세 번째 진단으로는 수술 후 출혈과 관련된 체액부족인데, 그에 따른 간호수행으로 감염위험성과 마찬가지로 활력징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였으며, 투여되는 약물에 대한 부작용을 교육하고 처방된 수액을 제공한 결과 대상자의 체액이 정상치를 유지하여 체액부족에 대한 증상을 더 이상 호소하지 않았다.
네 번째 진단으로는 수술과 관련된 불안인데 우선 환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여 심리적 안정을 취하게 하였고, 환자가 수술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수술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시키고자 수술에 대한 교육에 덧붙여 질병에 대한 설명도 환자의 수준에 맞춰 알아듣기 쉽게 설명을 하였다. 또, 수술 후에 환자가 해야 할 것들을 의식이 명료할 때 교육함으로써 효과를 높였다. 이러한 간호수행으로 인해 환자는 더 이상 수술에 대해 불안을 호소하지 않았으며 편안한 마음으로 수술을 받았다.
2) 실습하면서 느낀 점 - 제언
우선 모성간호학이라는 것에 아직까지 남자가 개입하기엔 힘든 환경이었고 환자를 한번 둘러보는 것조차 힘든 것이 현실이었다. 그래서 우리 남자가 산부인과 병동에서 할 수 있는 것이라곤 Bed making과 약타오는 것, 단순한 심부름뿐이었다. 그리고 액팅선생님께서 환자에게 뭔가를 처치할 때도 무조건 커튼을 쳐야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관찰하는 것도 힘들었다. 하지만 그건 본인 생각하기 나름인 것 같다. 난 거기서 내가 할 수 있는 것에 최선을 다했으며, 최대한 관찰하려고 노력을 했고, 남자가 실습하기 어려운 환경에서도 많은 것을 배운 것 같다. 하루빨리 인식이 바뀌어서 남자간호사가 산부인과 병동에서 근무하는 모습을 보았으면 좋겠다.
3) 참고문헌
배지흠 외 (2005) 수술 전 난소종양의 악성 위험도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 부인 종양, 콜포스코피학회지
이진교 외(2005) 난소종양의 임상 및 조직병리학적 고찰, 대한산부인과학회지
모성간호학 교재
www.druninfo.co.kr 드러그인포
www.naver.com 네이버
2. 매시간 마다 혈압을 측정한다.
2-1 혈압은 대상자의 체액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알기에 기초가 된다.
2-1 매시간 마다 대상자의 혈압을 측정하였다.
(1300i - 90/60
1400i - 100/60
1500i - 110/60
1600i - 110/70)
3. 수술 후 출혈과 관련된 체액부족
3. 수액요법으로 대상자의 체액을 보충한다. (필요시 수혈)
3-1 수액(HS 1L)으로 대상자의 체액을 보충해 주었다.
(HS 1L를 IV로 주었다.)
3-1 인간의 체액과 가장 유사한 수액을 제공함으로써 대상자의 부족한 체액을 보충할 수 있다.
4. 대상자의 구강건조를 없앤다.
4-1 대상자의 입에 물을 적신 거즈를 물려주었다.
4-1 물을 적신 거즈를 대상자에게 물려주면 구강 내 건조증에 도움이 된다.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⑤“수술이 성공적으로 잘되겠죠?”
⑦“정확히 어떤 수술이에요?,”
초조하고 불안해하는 모습이 관찰됨.
수술에 대해 질문을 많이 함.
수술과 관련된 불안
단기 목표
: 대상자는 수술 전까지 불안감이 사라지고 안정될 것이다.
장기 목표
: 대상자는 퇴원 후에도 수술로 인해 불안해하지 않고 자신에 상태에 대해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1. 대상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제공한다.
1-1 대상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제공했다.
(대상자의 불안호소에 경청하고 공감하며, 손을 잡아 주었다.)
1-1 대상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제공함으로써 대상자의 불안을 해소시킬 수 있다.
대상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제공함으로써 대상자는 더 이상 불안해하지 않고 편안한 모습을 보였다.
대상자에게 질병과 수술에 대한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대상자는 수술 후 자신이 해야 할 일을 이해하고 불안해하지 않았다.
2. 수술에 대한 대상자의 이해정도를 사정한다.
2. 대상자에게 복강경낭종절제술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 함께 이야기 하였다.
(대상자는 수술에 대해 확실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다.)
2-1 대상자의 수준에 맞는 교육을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효율적인 교육을 할 수 있다
4. 수술과 관련된 불안
3.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질환과 수술에 대해 설명한다.
3-1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난소낭종에 대해 설명하였다.
(난소낭종에 대해 되도록 쉬운 말을 사용하여 교육함.)
3-1,2 대상자는 자신의 질환과 수술에 대해 이해하게 되어 불안이 감소 할 수 있고, 쉬운 말을 사용함으로써 대상자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3-2 대상자에게 복강경낭종절제술을 받아야하는 이유, 수술의 장점과 위험성, 수술 하지 않을 경우의 문제점을 설명한다.
(복강경낭종절제술에 대해 되도록 쉬운 말을 사용하여 교육함.)
4. 대상자에게 수술 전 알아야 할 정보를 교육한다.
4-1 수술 전 의식이 분명할 때 미리 설명함으로써 교육 효과가 더 확실해 진다.
4-1 심호흡 및 객담 배출법, 체위변경, 조기이상, 사지운동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시범을 보인 후 연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상자가 연습하는 모습이 관찰됐다.
Ⅲ. 결론
1) 연구 결과의 총정리
상기 환자는 53세 여자환자로 2개월 전 소변보기가 불편해서 마산LMC에서 진료를 봤는데, 방광과 자궁에는 문제가 엇으나 우측 난소 쪽에 문제가 있어서 2개월 뒤에 F/U했는데 10/21일에 마산 LMC에서 우측 난소낭종이라는 진단을 받고 수술하자 했으나, 환자가 큰 병원을 원하여 본원 산부인과 진료 후 수술 위해 입원한 상태이다.
첫 번째 진단으로는 수술과 관련된 통증에 대해 간호수행으로 통증 양상을 사정하고, PCA에 대해 교육하였으며, 이완요법과 대체요법에 대해서 교육하였는데, 그 결과 대상자는 더 이상 통증을 호소하지 않고 편안한 모습이 관찰되었다.
두 번째 진단으로는 수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으로 정상범위의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우선 활력징후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였고 수술부위의 감염여부를 사정하고, 간호행위 시에 무균법을 시행하여 대상자는 감염이 발생하지 않았다.
세 번째 진단으로는 수술 후 출혈과 관련된 체액부족인데, 그에 따른 간호수행으로 감염위험성과 마찬가지로 활력징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였으며, 투여되는 약물에 대한 부작용을 교육하고 처방된 수액을 제공한 결과 대상자의 체액이 정상치를 유지하여 체액부족에 대한 증상을 더 이상 호소하지 않았다.
네 번째 진단으로는 수술과 관련된 불안인데 우선 환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여 심리적 안정을 취하게 하였고, 환자가 수술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수술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시키고자 수술에 대한 교육에 덧붙여 질병에 대한 설명도 환자의 수준에 맞춰 알아듣기 쉽게 설명을 하였다. 또, 수술 후에 환자가 해야 할 것들을 의식이 명료할 때 교육함으로써 효과를 높였다. 이러한 간호수행으로 인해 환자는 더 이상 수술에 대해 불안을 호소하지 않았으며 편안한 마음으로 수술을 받았다.
2) 실습하면서 느낀 점 - 제언
우선 모성간호학이라는 것에 아직까지 남자가 개입하기엔 힘든 환경이었고 환자를 한번 둘러보는 것조차 힘든 것이 현실이었다. 그래서 우리 남자가 산부인과 병동에서 할 수 있는 것이라곤 Bed making과 약타오는 것, 단순한 심부름뿐이었다. 그리고 액팅선생님께서 환자에게 뭔가를 처치할 때도 무조건 커튼을 쳐야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관찰하는 것도 힘들었다. 하지만 그건 본인 생각하기 나름인 것 같다. 난 거기서 내가 할 수 있는 것에 최선을 다했으며, 최대한 관찰하려고 노력을 했고, 남자가 실습하기 어려운 환경에서도 많은 것을 배운 것 같다. 하루빨리 인식이 바뀌어서 남자간호사가 산부인과 병동에서 근무하는 모습을 보았으면 좋겠다.
3) 참고문헌
배지흠 외 (2005) 수술 전 난소종양의 악성 위험도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 부인 종양, 콜포스코피학회지
이진교 외(2005) 난소종양의 임상 및 조직병리학적 고찰, 대한산부인과학회지
모성간호학 교재
www.druninfo.co.kr 드러그인포
www.naver.com 네이버
추천자료
아동간호학 실습 case study-담관낭종
난소낭종 케이스 스터디
부인과 간호과정 자료입니다 -- 난소낭종 case study ( A+ 받았습니다.)
난소낭종(Ovarian cyst) 케이스 스터디
간호,case study,여성(병동), 난소 낭종(ovarian cystic tumor)
여성건강간호학실습 - 난소낭종 케이스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5개]
여성간호학실습 난소낭종 케이스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5개]
여성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난소낭종)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개]
여성간호실습 난소 낭종(Ovarian cyst) 케이스스터디(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