뱅크런의 발생 원인과 사례 및 디지털 뱅크런 리스크 관리 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뱅크런의 발생 원인과 사례 및 디지털 뱅크런 리스크 관리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뱅크런 개념과 유래
2. 뱅크런 발생 원인
3. 뱅크런의 특징과 뱅크런 발생시 일어나는 현상
4. 뱅크런 국내외 발생 사례
5. 뱅크런을 막기 위한 장치
6. 전통적 개념의 뱅크런과 디지털 뱅크런의 비교
7. 디지털 뱅크런 리스크 관리 방안

본문내용

크런 리스크 관리 방안
특히 저축은행업권은 예금보험제도로 보호되지 않는 예금이 꾸준히 늘고 있기 때문에 저축은행업권의 디지털 뱅크런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된다. 예보제도로 보호되지 않은 예금은 대규모 뱅크런에 더 취약하다. 실제로 2008년 7월 워싱턴 뮤추얼 뱅크런 사태에서 비보호예금은 13% 인출됐는데, 보호예금은 단 2% 인출됐다. 금액 기준으로도 정체 인출액의 70%가 비보호 예금이었다. 현재 저축은행업권은 전반적인 BIS비율 개선 등의 영향으로 부보예금 중 5천만원 순초과예금이 차지하는 비율이 2012년 약 5%에서 지난해 말 약 13%로 증가했다.
인터넷전문은행도 예금자가 시장정보에 민감하고 군집행위에 취약한 특성이 있어 디지털 뱅크런이 발생할 위험이 크다고 분석된다. 인터넷을 기반으로 24시간 예금 인출이 가능한 특성을 고려하면 항상 디지털 뱅크런에 노출돼있다.
디지털 뱅크런 발생에 대응하기 위한 제도를 마련하는 것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예보제도에 의하여 보호되지 않는 비보호예금의 증가 및 인터넷전문은행의 등장으로 금융회사의 부실이우려될 경우 디지털 뱅크런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디지털뱅크런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관련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뱅크런 발생 시 영업시간 종료 후 인터넷 뱅킹을 통한 자금이체를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금융회사의 부실 징후가 시장에 알려질 경우 불안 심리로 인해 예보제도에 의해 보호되는 소액예금까지 예금자들이 일시에 인출하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고, 불안 심리가 더욱확산되면 건전한 은행의 예금자들까지 예금 인출을 시도할 수 있다. 한 금융회사의 뱅크런이 다른 건전한 금융회사까지 전이되어 금융 시장 전체의시스템 리스크로 확산되는 것이다. 이러한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예금자들이 예금 인출 전 일정 시간을 갖고 합리적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뱅크런 발생 시 은행 영업시간 종료 후 다음 영업 개시까지 인터넷 뱅킹을 통한 예금 인출을 제한하는 방법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 참 고 문 헌 >
\"비대면 금융시대, 더 빠르고 조용한 \'디지털 뱅크런\' 우려\" - 2020.6.16. 이데일리
“은행 안 가요” 지난해 인터넷뱅킹 이용금액 하루 평균 70조원 훌쩍 - 아시아투데이.
금융의 디지털화 확산에 따른 금융회사의 유동성리스크 분석 및 시사점 - 예금보험연구센터 금융리스크리뷰誌 2020년 봄호(제17권 제1호), 이소영

키워드

  • 가격2,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03.30
  • 저작시기202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660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