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 -게 하다
Ⅰ. 의미
Ⅱ. 형태 통사
Ⅲ. 활용과 유사문법과의 차이
Ⅳ. 교수방법
[B] -(으)ㄹ 테니까
Ⅰ. 의미
Ⅱ. 형태 통사
Ⅲ. 화용 정보
Ⅳ. 교수방법
Ⅰ. 의미
Ⅱ. 형태 통사
Ⅲ. 활용과 유사문법과의 차이
Ⅳ. 교수방법
[B] -(으)ㄹ 테니까
Ⅰ. 의미
Ⅱ. 형태 통사
Ⅲ. 화용 정보
Ⅳ. 교수방법
본문내용
금 이자 부담이 늘어날거야.
→ 올해는 기준금리가 상승할 테니까 대출금 이자 부담이 늘어날거야. (이자 부담이 늘어나는 것에 대한 원인(조건)으로서 기준금리가 상승할 거라는 강한 추측을 하고 있다.)
(주의) 강한 추측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말하는 사람이 주어로 쓰일 수 없다. 뒤에 나오는 내용에는 주로 듣는 사람에게 어떻게 하자고 권유하는 내용이 나온다.
c3) 내일은 눈이 올 테니까 제설장비를 준비해야 할거야.
3. 활용의 제약
① 선행절이 의지/계획을 나타내는 경우 주어는 1인칭만 가능하다. (추측을 나타내는 경우는, 1,2,3 인칭 모두 주어로 쓸수 있다.)
- 나는 떡을 썰 테니까 너는 글을 쓰거라. (O)
- 당신은 떡을 썰 테니까 우리는 글을 쓰겠다. (X)
② 의지/계획의 경우 과거표현과 함께 쓸 수 없다.
- 내가 공부를 열심히 했을 테니까 나를 믿어다오. (X)
단, 강한 추측의 경우는 과거표현과 함께 쓸 수 있다.
- 부동산 경기가 계속 안좋았을 테니까 건설업체들도 적자를 봤을거야. (O)
4. ‘-는 바람에’와 비교
‘-는 바람에’는 앞의 상황이 뒤 상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전혀 예상치 못한 결과를 도출시킬 때 쓰는 표현이다. ‘테니까’의 의미활용 중 ①계획/의지를 표현하는 것과는 쉽게 구분되지만 ②추측을 나타내는 경우는 선행절과 후행절이 원인과 결과로 연결되는 것으로 판단해서 ‘-는 바람에’와 ‘테니까’를 혼용해서 쓸 수 있다고 착각할 수 있다.
a) 비가 올 테니까 우산을 준비해.
b) 비가 오는 바람에 바지가 젖었다.
a)와 b) 모두 원인과 결과로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a)는 미래의 일에 대한 추측을 나타내고 있는데 반해 b)는 과거에 일어난 일을 기술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Ⅳ. 교수방법
① 의미 정보 구분학습과, ② 형태 정보 구분학습을 병행한다. 두 개의 문장을 제시하고, 동사의 받침 유무에 따라 ‘ㄹ 테니까’와 ‘을 테니까’로 구분됨을 학습하고, 계획/의지와 추측의 의미 구분 학습을 시행한다.
a) “밑줄 친 동사를 가지고 빈칸을 완성하시오.”
나는 짬뽕을 먹는다. 당신은 볶음밥을 드세요.
→ 나는 짬뽕을 [ 먹을 테니까 ] 당신은 볶음밥을 드세요.
b) ‘는 바람에’와 ‘테니까’ 이용해서 문장을 연결하시오.
내일은 태풍이 올 것이다. 선박을 부두에 잘 묶어둬야 한다.
→ 내일은 태풍이 [ 오는 바람에 / 올 테니까 ] 선박을 부두에 잘 묶어둬야 한다.
→ 올해는 기준금리가 상승할 테니까 대출금 이자 부담이 늘어날거야. (이자 부담이 늘어나는 것에 대한 원인(조건)으로서 기준금리가 상승할 거라는 강한 추측을 하고 있다.)
(주의) 강한 추측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말하는 사람이 주어로 쓰일 수 없다. 뒤에 나오는 내용에는 주로 듣는 사람에게 어떻게 하자고 권유하는 내용이 나온다.
c3) 내일은 눈이 올 테니까 제설장비를 준비해야 할거야.
3. 활용의 제약
① 선행절이 의지/계획을 나타내는 경우 주어는 1인칭만 가능하다. (추측을 나타내는 경우는, 1,2,3 인칭 모두 주어로 쓸수 있다.)
- 나는 떡을 썰 테니까 너는 글을 쓰거라. (O)
- 당신은 떡을 썰 테니까 우리는 글을 쓰겠다. (X)
② 의지/계획의 경우 과거표현과 함께 쓸 수 없다.
- 내가 공부를 열심히 했을 테니까 나를 믿어다오. (X)
단, 강한 추측의 경우는 과거표현과 함께 쓸 수 있다.
- 부동산 경기가 계속 안좋았을 테니까 건설업체들도 적자를 봤을거야. (O)
4. ‘-는 바람에’와 비교
‘-는 바람에’는 앞의 상황이 뒤 상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전혀 예상치 못한 결과를 도출시킬 때 쓰는 표현이다. ‘테니까’의 의미활용 중 ①계획/의지를 표현하는 것과는 쉽게 구분되지만 ②추측을 나타내는 경우는 선행절과 후행절이 원인과 결과로 연결되는 것으로 판단해서 ‘-는 바람에’와 ‘테니까’를 혼용해서 쓸 수 있다고 착각할 수 있다.
a) 비가 올 테니까 우산을 준비해.
b) 비가 오는 바람에 바지가 젖었다.
a)와 b) 모두 원인과 결과로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a)는 미래의 일에 대한 추측을 나타내고 있는데 반해 b)는 과거에 일어난 일을 기술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Ⅳ. 교수방법
① 의미 정보 구분학습과, ② 형태 정보 구분학습을 병행한다. 두 개의 문장을 제시하고, 동사의 받침 유무에 따라 ‘ㄹ 테니까’와 ‘을 테니까’로 구분됨을 학습하고, 계획/의지와 추측의 의미 구분 학습을 시행한다.
a) “밑줄 친 동사를 가지고 빈칸을 완성하시오.”
나는 짬뽕을 먹는다. 당신은 볶음밥을 드세요.
→ 나는 짬뽕을 [ 먹을 테니까 ] 당신은 볶음밥을 드세요.
b) ‘는 바람에’와 ‘테니까’ 이용해서 문장을 연결하시오.
내일은 태풍이 올 것이다. 선박을 부두에 잘 묶어둬야 한다.
→ 내일은 태풍이 [ 오는 바람에 / 올 테니까 ] 선박을 부두에 잘 묶어둬야 한다.
추천자료
외국어로서의한국어문법교육론 )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 각 문법 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론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 각 문법 표현에 대해 어떤 의미•형태통사•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교육론 )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 각 문법...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 각 문법 표현에 대해 어떤 의미·형태통사·...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 각 문법 표현에 대해 어떤 의미·형태통사·...
배론원격평생교육원 한국어 교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교육 레포트 과제
《과제주제》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 각 문법 표현에 대해 어떤 의...
[성적 A+]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 각 문법 표현에 대해 어떤 의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