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case(인천광역시 중구 A+) / 간호진단, 과정 2가지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사회 case(인천광역시 중구 A+) / 간호진단, 과정 2가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지역사회 사정
1) 지역특성
(1) 지리적 배경
(2) 사회적 배경
(3) 재정적 배경
(4) 지역 건강문제에 지역주민 반응양상
2) 인구학적 특성
(1) 전반적인 인구학적 특성
(2) 권역별 인구 변동 현황
(3) 생애주기별 인구구성 현황
(4) 취약계층 현황
3) 건강상태
(1) 지역의 건강 수준
(2) 건강격차 관련 현황
(3) 권역별 건강 지표 비교
(4) 만성질환 및 건강행태
(5) 정신건강 현황
(6) 감염성 질환
4) 환경특성
(1) 환경보건 문제
5) 지역사회 자원
(1) 보건의료자원
(2) 인적자원
(3) 사회적 자원
(4) 정치자원
(5) 물리적 자원
6) 지역 지도
(1) 보건의료기관 및 주요기관
7) 총정리

Ⅱ 지역사회 건강문제
1) 일차자료수집
2) 건강문제 및 근거
3) 우선순위 설정

Ⅲ 간호계획
1. 만성질환 유병률 증가
2. 자살률 증가

본문내용

증가
부적절한 이용자원
영역
IV. 건강관련 행위
II. 심리사회
II. 심리사회
문제
4. 건강관리 감시
4. 정신건강
4. 지역사회 자원과의 의사소통
수정인자
지역사회
지역사회
지역사회
증상/징후
일상적인 예방/건강관리를 받는 것을 실패
관심/활동참여/자가간호의 감소
자살/살인에 대한 생각 표현
자살/살인 시도
부적절한/이용할 수 없는 자원
치료/서비스/재화에 대한 제한적 접근
Ⅲ 간호계획
고혈압 유병률 증가
장기목표
- 2019년에서 2050년까지 만성질환자의 치료율을 전국 평균인 90%로 높인다.
단기목표
- 2019년에서 2030년까지 만성질환 현 치료 교육 이수율인 20~25%선을 유지한다.
- 2030년에서 2040년까지 치료교육 이수율을 30%이상으로 높인다.
- 2019년에서 2030년까지 흡연/음주율을 3%이상 낮춘다.
계획
1. 고혈압 전 단계 발견 및 관리
- 인구밀집지역에 주기적으로 방문하여 무료건강검진 서비스를 실시하고, 고혈압 전 단계 해당하는 대상자를 발견한다.
- 고혈압 위험자를 보건소 내소를 권유하여 정확한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 고혈압 위험자에게 진행 위험도가 높음을 알리고 관리를 위해 보건소 내 프로그램을 연계한다.
(ex. 금연 프로그램, 절주 프로그램, 만성질환 관리센터, 비만예방프로그램 등)
2. 고혈압 치료지시 불이행 환자 교육 및 관리
- 약물을 복용 중인 고혈압 환자 중 혈압의 수치가 불안정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프로그램을 개설하여 혈압 관리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 위 교육프로그램 참여자들을 2주에 1회씩 꾸준히 모니터링한다.
3. 취약계층 집중 관리
- 취약계층 속 고혈압 대상자를 발견한다.
- 발견된 대상자에게 보건소와 연계된 병원을 소개해주고, 치료에 관한 비용의 지원도 설명한다.
- 취약계층의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3개월에 1회씩 방문간호를 실시한다.
4. 고혈압 유발요인에 노출도가 높은 대상자 교육실시
- 중구 지역 내 100명 이상 규모의 기업에 방문하여 자가진단을 실시한 후 유발요인에 노출도가 높은 대상자를 판별한다.
- 판별된 대상자에게 비만 예방과 금연·절주의 중요성에 대해 집단 교육한다.
5. 30·40대 고혈압 예방 교육실시
- 고혈압의 무서움 인지
- 고혈압 위험자 아니더라도 미리 예방·관리 할 수 있는 운동 및 금연 절주, 식이 프로그램 교육한다.
- 주기적으로 혈압 측정하여 확인한다.
자살률 증가
장기목표
중구 연령표준화 자살률이 2019년 6월 ~ 2024년 12월까지 25.5% 이하로 감소한다.
단기목표
- 2020년 12월까지 중구 내 일반인을 대상으로 자살신호인식교육 이수율을 80%이상 달성한다.
- 2020년 12월까지 중구 내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정신보건사업의 참여율을 90%이상 달성한다.
- 2022년 1월까지 중구 내 자살예방 센터를 2개 이상 확충한다.
계획
1. 중구 내 일반인을 대상으로 생명사랑 지킴이(자살 게이트 키퍼)교육을 실시한다.
- 상황적, 언어적, 행동적 자살위험 신호를 인지하고 전문 관리 기관에 연계 시키는 인재를 양성하는 하는 보건복지부 인증 ‘보고, 듣고, 말하기’ 프로그램을 구 내 중, 고등학교와 보건소에서 연 1회 교육한다.
- 게이트 키퍼 모니터링 단을 구성하여 정기모임을 통해 사례토의를 실시한 다.
- 구내 축제 시 생명사랑 지킴이 부스를 설치한다.
- 생명사랑 밤길 걷기 행사를 주최한다.
2. 중구 내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자살 관련 사례관리를 실시한다.
-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1차-심리검사지, 2차-자살심리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살 위험군을 조기 발견한다.
- 자살 위험군 명단을 수집하여 사례관리를 하고 필요 시 자살예방센터에 연계시킨다.
3. 중구 내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말벗 도우미사업을 확대한다.
- 방문간호를 통해 정서적 지지가 부족한 독거노인을 조사한다.
- 말벗 도우미 자원봉사자를 모집하고 교육시킨다.
4. 중구 내 취약계층별 자조모임 대상으로 전문가가 방문하여 집단상담을 무료로 제공한다. (ex. 경로당, 다문화센터 자조모임)
- 취약계층별 자조모임 명단을 수집하여 모임에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 중구 내 ‘찾아가는 무료 집단상담’을 홍보한다. (홍보 팜플랫)
- 상담내용을 통해 취약계층의 주요 자살 요인을 사정하여 수집한다.
5. 중구 내 구 운영 자살예방센터를 설치한다.
[확충 필요성의 근거] : 중앙자살예방센터의 전국시설 中 중구 내 센터는 1곳이었고 중구 보건소 5층에 위치하여 있음. 따라서 접근성이 부족함
- 중구의 자살률증가 추이와, 청소년의 자살생각 경험율 등을 사정하여 확충 이 필요한 센터 개수를 추정한다.
- 구 내 기존 자살예방센터의 위치를 사정한다.
- 접근용이성이 높은 위치를 조사하여 설치한다.
- 심리적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친근함을 느낄 수 있는 이름으로 작명한다.
(ex. 생명 사랑 지킴이 센터)
- 심리적 접근성을 높이고 자살 예방센터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해 건물 내 연령별 공유공간을 만든다.
(ex.청년 공유 공간(청년 문화지원 공간) - 무중력지대)
- 상담 및 심층상담연계, 정신건강의학병원연계, 스트레스 해소 활동, 지역 사회 내 지지공동체 소개(종교단체, 자조모임 등등)의 역할을 소화한다.
- 학교나 회사에 자살예방센터를 소개하고 연계한다.
-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 주에 1회, 자살예방 부스를 설치한다. 우울 척도 검사 등을 통하여 관리가 필요한 위험군을 찾고, 명단을 수집하고, 문자알림동의를 구한다.
Ⅴ. Reference
KIOSIS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
통계청 (http://kosis.kr)
질병관리본부 (www.cdc.go.kr)
인천광역시 중구청 홈페이지(https://www.icjg.go.kr)
보건의료자원통합신고(https://www.hurb.or.kr)
인천 중구 지역사회 건강통계(2017)
인천 중구 지역사회 건강통계(2018)
2016 응급의료 통계연보(중앙응급의료센터)
인천광역시 중구청 제 30회 중구기본통계연보
2018 인천시 중구 구정백서
인천광역시 중구보건소 제 7기 지역보건 의료계획(안)
중구 주민복지과 자체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38페이지
  • 등록일2022.05.18
  • 저작시기201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692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