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가족교육 프로그램
II. 가족친목
III. 가족치료
* 참고문헌
II. 가족친목
III. 가족치료
* 참고문헌
본문내용
알코올중독자라는 사실을 받아들이지 않는 방어적 부인은 중독자를 치료에 참여시키는 데 큰 장애물이다. 따라서 실제 상담센터를 찾아오는 이들은 알코올중독자 자신보다는 가족들의 경우가 대부분이고 알코올중독자 당사자들은 회복 프로그램에 비협조적이라고 볼 수 있다.
우선 센터에 찾아온 배우자를 위한 가족치료 프로그램이 시행되게 되는데, 배우자부터 일방적 가족치료를 시행하는 것은 알코올중독자가 회복하도록 동기화시키는데 가족의 영향력을 활용하기 위해서이다. 중독자 배우자나 그 가족은 중독자에게 의미 있는 사회적 망으로서 알코올중독자가 회복을 시도하고 이를 고수하도록 할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진 존재이며, 초기 단계에서부터 가족을 관여시키는 이 치료는 가족 구성원을 회복과정에 끌어들이는 기회를 제공하고 그럼으로써 알코올중독자의 회복과 가족의 회복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는 기본 전제를 가지고 있다.
* 참고문헌
한국의 사회문제 : 김영재, 신미애 저, 윤성사, 2019
사회문제의 경제학 : 헨리 조지 저, 전강수 역, 돌배게, 2013
사회문제의 핵심 : 루돌프 슈터이너 저, 최혜경 역, 밝은누리, 2010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세계화와 사회문제, 김정규 저, 에듀컨텐츠휴피아, 2017
사회문제의 이해 : 정현주 저, 대왕사, 2014
현대사회문제 이론과 실제 : 이철우 저, 학지사, 2017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우선 센터에 찾아온 배우자를 위한 가족치료 프로그램이 시행되게 되는데, 배우자부터 일방적 가족치료를 시행하는 것은 알코올중독자가 회복하도록 동기화시키는데 가족의 영향력을 활용하기 위해서이다. 중독자 배우자나 그 가족은 중독자에게 의미 있는 사회적 망으로서 알코올중독자가 회복을 시도하고 이를 고수하도록 할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진 존재이며, 초기 단계에서부터 가족을 관여시키는 이 치료는 가족 구성원을 회복과정에 끌어들이는 기회를 제공하고 그럼으로써 알코올중독자의 회복과 가족의 회복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는 기본 전제를 가지고 있다.
* 참고문헌
한국의 사회문제 : 김영재, 신미애 저, 윤성사, 2019
사회문제의 경제학 : 헨리 조지 저, 전강수 역, 돌배게, 2013
사회문제의 핵심 : 루돌프 슈터이너 저, 최혜경 역, 밝은누리, 2010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세계화와 사회문제, 김정규 저, 에듀컨텐츠휴피아, 2017
사회문제의 이해 : 정현주 저, 대왕사, 2014
현대사회문제 이론과 실제 : 이철우 저, 학지사, 2017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