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우리나라 문학의 전통적 주제의식과 화자의 태도
2. 즐거운 편지의 주제의식에 대한 비평
3. 가시리의 재해석
2. 즐거운 편지의 주제의식에 대한 비평
3. 가시리의 재해석
본문내용
사랑하는 것인지 의문이 든다.
3. 가시리의 재해석
가시리에서 여인은 자신을 떠나는 임을 원망하는 마음을 가지고 이를 표현하고 싶지만, 자신의 마음을 표현하면 임이 영영 자신을 떠날까 마음을 절제하고 인내하는 자기희생적 태도를 보이는 고려가요이다.
이를 개인적인 관점에서 재해석한다면 임을 떠나보내는 여인의 슬픈 마음을 표현한 것이라는 점에서 기존의 해석에 동의하지만, 자신의 슬픈 마음을 절제하고 인내했다는 것에서는 다른 해석을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다른 해석은 여인이 떠나는 임에게 죄책감을 들게 하려고 자기희생적인 태도를 더 적극적으로 취했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떠나는 임에게 철저하게 버림받은 여인의 모습을 하여 임이 죄책감을 느끼고 자신을 떠나지 못 하게 하려는 마음으로 여인이 자신의 슬픔을 극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떠나는 임을 잡을 수 있음에 잡지 않고 서운하면 다시 내게 돌아오지 않냐는 말을 했다고 해석한다. 이러한 해석은 “셜온 님”이라는 모호한 표현이 서러워하는 임보다는 나를 서럽게 하는 임이라고 해석하여 보면 임에게 죄책감과 책임감을 부여하는 여인의 모습이 그려질 것이다.
다른 시각에서 가시리를 재해석한 것을 종합하여 보면 어떠한 이유에서 자신을 떠나는 임에게 이별을 고했다는 죄책감과 여인을 버리고 떠나 부양하지 않는다는 책임감을 느끼게 하여 결국에는 임이 자신을 떠나지 못하게 만들려고 노력한 여인의 노래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해석은 전통적인 자기희생적 태도를 가진 여인과는 거리가 먼 태도로 해석되는 것이지만 여인의 한이 잘 표현되는 또 다른 재해석이라 생각한다.
3. 가시리의 재해석
가시리에서 여인은 자신을 떠나는 임을 원망하는 마음을 가지고 이를 표현하고 싶지만, 자신의 마음을 표현하면 임이 영영 자신을 떠날까 마음을 절제하고 인내하는 자기희생적 태도를 보이는 고려가요이다.
이를 개인적인 관점에서 재해석한다면 임을 떠나보내는 여인의 슬픈 마음을 표현한 것이라는 점에서 기존의 해석에 동의하지만, 자신의 슬픈 마음을 절제하고 인내했다는 것에서는 다른 해석을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다른 해석은 여인이 떠나는 임에게 죄책감을 들게 하려고 자기희생적인 태도를 더 적극적으로 취했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떠나는 임에게 철저하게 버림받은 여인의 모습을 하여 임이 죄책감을 느끼고 자신을 떠나지 못 하게 하려는 마음으로 여인이 자신의 슬픔을 극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떠나는 임을 잡을 수 있음에 잡지 않고 서운하면 다시 내게 돌아오지 않냐는 말을 했다고 해석한다. 이러한 해석은 “셜온 님”이라는 모호한 표현이 서러워하는 임보다는 나를 서럽게 하는 임이라고 해석하여 보면 임에게 죄책감과 책임감을 부여하는 여인의 모습이 그려질 것이다.
다른 시각에서 가시리를 재해석한 것을 종합하여 보면 어떠한 이유에서 자신을 떠나는 임에게 이별을 고했다는 죄책감과 여인을 버리고 떠나 부양하지 않는다는 책임감을 느끼게 하여 결국에는 임이 자신을 떠나지 못하게 만들려고 노력한 여인의 노래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해석은 전통적인 자기희생적 태도를 가진 여인과는 거리가 먼 태도로 해석되는 것이지만 여인의 한이 잘 표현되는 또 다른 재해석이라 생각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