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정수 시설
(1) 정수장 이름 및 위치 주소
(2) 정수장 처리계통도 및 각 단위공정
① 전오존 고도 접촉지
② 착수정
③ 혼화지
④ 응집·침전지
⑤ 모래 여과지
⑥ 후오존접촉지 및 활성탄흡착지
⑦ 정수지 및 배수지
2) 하(폐)수 처리시설
(1) 하(폐)수 처리시설 이름 및 위치 주소
(2) 하(폐)수 처리계통도 및 단위공정
① 유입펌프장 및 침사지
② 유량 조정조
③ 최조 침전지
④ 생물 반응조(포기조)
⑤ 2차 침전지 및 모래 여과지 ⑥ 자외선 소독 설비
3) 막모듈의 종류 및 특성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정수 시설
(1) 정수장 이름 및 위치 주소
(2) 정수장 처리계통도 및 각 단위공정
① 전오존 고도 접촉지
② 착수정
③ 혼화지
④ 응집·침전지
⑤ 모래 여과지
⑥ 후오존접촉지 및 활성탄흡착지
⑦ 정수지 및 배수지
2) 하(폐)수 처리시설
(1) 하(폐)수 처리시설 이름 및 위치 주소
(2) 하(폐)수 처리계통도 및 단위공정
① 유입펌프장 및 침사지
② 유량 조정조
③ 최조 침전지
④ 생물 반응조(포기조)
⑤ 2차 침전지 및 모래 여과지 ⑥ 자외선 소독 설비
3) 막모듈의 종류 및 특성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용수및하폐수처리
학생들 거주지역에서 운영하고 있는 정수장 및 하(폐)수처리장 각각 한 곳을 직접 방문하여 아래의 내용을 조사 후 다음에 답하라.
용수및하폐수처리
학생들 거주지역에서 운영하고 있는 정수장 및 하(폐)수처리장 각각 한 곳을 직접 방문하여 아래의 내용을 조사 후 다음에 답하라. (단 대상 처리시설의 방문 제한 등으로 직접 방문이 어려운 학생들은 각종 자료를 참고하여 답하라.)
목 차
서론
본론
1) 정수 시설
(1) 정수장 이름 및 위치 주소
(2) 정수장 처리계통도 및 각 단위공정
① 전오존 고도 접촉지
② 착수정
③ 혼화지
④ 응집·침전지
⑤ 모래 여과지
⑥ 후오존접촉지 및 활성탄흡착지
⑦ 정수지 및 배수지
2) 하(폐)수 처리시설
(1) 하(폐)수 처리시설 이름 및 위치 주소
(2) 하(폐)수 처리계통도 및 단위공정
① 유입펌프장 및 침사지
② 유량 조정조
③ 최조 침전지
④ 생물 반응조(포기조)
⑤ 2차 침전지 및 모래 여과지 ⑥ 자외선 소독 설비
3) 막모듈의 종류 및 특성
3. 결론
4, 참고문헌
1. 서론
물은 인간의 의식주 전반에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깨끗한 물을 공급받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오늘날에는 각 지역구에 설치된 정수장을 통해 수원(水源)을 통해 공급받은 물을 적정기준에 맞는 수질을 갖추도록 정화하는 과정을 거쳐 가정에 공급한다. 한편 가정·식당·농지·공장 등에서 사용한 물인 ‘폐수(廢水)’를 하천에 그대로 흘려보낼 경우 심각한 수질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원인이 되므로 이를 정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현대에는 각 지역구 별로 폐수를 폐수처리장에 모은 후, 폐수 내의 유해물질을 가라앉히는 등의 방법을 통해 제거하고 정화하는 과정을 통해 일정 수준 이상의 수질을 갖추도록 개선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 같은 정수장 및 폐수처리장은 환경 기초 시설로 각 지역구에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며, 지역구민이 깨끗한 물을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역할을 끊임없이 수행하고 있다. 본문에서는 실제 정수장 및 하수처리장의 기능과 공정을 확인하기 위하여 경상북도 소재의 정수장 한 곳과 폐수처리장 한 곳을 각각 선정하여 실제 정수과정 및 폐수처리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각 기관의 경우 현재 직접방문이 어려운 상황이므로 본문의 내용 전반은 자료조사를 통해 진행하였다. 이밖에도 물의 정화 과정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인 ‘막모듈’에 대한 종류와 특성에 대해 상세히 서술하여 정수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2. 본론
1) 정수 시설
(1) 정수장 이름 및 위치 주소1)
그림 1. 용상정수장 전경도
이름: 용상정수장
주소지: 경상북도 안동시 숲쟁이길 106
(2) 정수장 처리계통도 및 각 단위공정
그림 2. 용상정수장 정수지 시설1)
용상정수장은 고도정수처리시설을 접목한 정수장으로, 안동시에서 제공한 자료를 바탕으로 재작성한 용상정수장의 처리계통도는 다음과 같다. 수원으로부터 각 과정에 정수를 공급하기까지의 각 공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고자 한다.
그림 3. 용상정수장 처리계통도
① 전오존 고도 접촉지2)
전오존 고도 접촉지는 일반 정수처리과정에서는 볼 수 없는 고도정수처리공정의 하나인 ‘전오존처리’ 공정을 위한 시설이다. ‘전오존처리’란 본 정수과정에 앞서 수원으로부터 끌어온 물(원수)에 오존(O3)을 주입하여 1,4-다이옥산 등 원수에 포함된 다양한 유해물질과 조류를 제거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② 착수정3)
착수정은 전오존처리가 끝난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학생들 거주지역에서 운영하고 있는 정수장 및 하(폐)수처리장 각각 한 곳을 직접 방문하여 아래의 내용을 조사 후 다음에 답하라.
용수및하폐수처리
학생들 거주지역에서 운영하고 있는 정수장 및 하(폐)수처리장 각각 한 곳을 직접 방문하여 아래의 내용을 조사 후 다음에 답하라. (단 대상 처리시설의 방문 제한 등으로 직접 방문이 어려운 학생들은 각종 자료를 참고하여 답하라.)
목 차
서론
본론
1) 정수 시설
(1) 정수장 이름 및 위치 주소
(2) 정수장 처리계통도 및 각 단위공정
① 전오존 고도 접촉지
② 착수정
③ 혼화지
④ 응집·침전지
⑤ 모래 여과지
⑥ 후오존접촉지 및 활성탄흡착지
⑦ 정수지 및 배수지
2) 하(폐)수 처리시설
(1) 하(폐)수 처리시설 이름 및 위치 주소
(2) 하(폐)수 처리계통도 및 단위공정
① 유입펌프장 및 침사지
② 유량 조정조
③ 최조 침전지
④ 생물 반응조(포기조)
⑤ 2차 침전지 및 모래 여과지 ⑥ 자외선 소독 설비
3) 막모듈의 종류 및 특성
3. 결론
4, 참고문헌
1. 서론
물은 인간의 의식주 전반에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깨끗한 물을 공급받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오늘날에는 각 지역구에 설치된 정수장을 통해 수원(水源)을 통해 공급받은 물을 적정기준에 맞는 수질을 갖추도록 정화하는 과정을 거쳐 가정에 공급한다. 한편 가정·식당·농지·공장 등에서 사용한 물인 ‘폐수(廢水)’를 하천에 그대로 흘려보낼 경우 심각한 수질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원인이 되므로 이를 정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현대에는 각 지역구 별로 폐수를 폐수처리장에 모은 후, 폐수 내의 유해물질을 가라앉히는 등의 방법을 통해 제거하고 정화하는 과정을 통해 일정 수준 이상의 수질을 갖추도록 개선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 같은 정수장 및 폐수처리장은 환경 기초 시설로 각 지역구에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며, 지역구민이 깨끗한 물을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역할을 끊임없이 수행하고 있다. 본문에서는 실제 정수장 및 하수처리장의 기능과 공정을 확인하기 위하여 경상북도 소재의 정수장 한 곳과 폐수처리장 한 곳을 각각 선정하여 실제 정수과정 및 폐수처리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각 기관의 경우 현재 직접방문이 어려운 상황이므로 본문의 내용 전반은 자료조사를 통해 진행하였다. 이밖에도 물의 정화 과정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인 ‘막모듈’에 대한 종류와 특성에 대해 상세히 서술하여 정수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2. 본론
1) 정수 시설
(1) 정수장 이름 및 위치 주소1)
그림 1. 용상정수장 전경도
이름: 용상정수장
주소지: 경상북도 안동시 숲쟁이길 106
(2) 정수장 처리계통도 및 각 단위공정
그림 2. 용상정수장 정수지 시설1)
용상정수장은 고도정수처리시설을 접목한 정수장으로, 안동시에서 제공한 자료를 바탕으로 재작성한 용상정수장의 처리계통도는 다음과 같다. 수원으로부터 각 과정에 정수를 공급하기까지의 각 공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고자 한다.
그림 3. 용상정수장 처리계통도
① 전오존 고도 접촉지2)
전오존 고도 접촉지는 일반 정수처리과정에서는 볼 수 없는 고도정수처리공정의 하나인 ‘전오존처리’ 공정을 위한 시설이다. ‘전오존처리’란 본 정수과정에 앞서 수원으로부터 끌어온 물(원수)에 오존(O3)을 주입하여 1,4-다이옥산 등 원수에 포함된 다양한 유해물질과 조류를 제거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② 착수정3)
착수정은 전오존처리가 끝난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추천자료
용수및하폐수처리 b형)학생들 거주지역(광역시 기준)에서 운영되고 있는 대표적인 정수장 및 ...
2019년 2학기 용수및하폐수처리 중간시험과제물 C형(완속모래여과와 급속모래여과)
2019년 2학기 용수및하폐수처리 중간시험과제물 D형(막공정인 MF, UF, NF 등)
2019년 2학기 용수및하폐수처리 중간시험과제물 E형(여과지에서의 역 세척 목적 및 방법)
용수및하폐수처리 ) 학생들 거주지역(광역시 기준)에서 운영되고 있는 정수장 및 하(폐)수처...
용수및하폐수처리C형 ) 학생들 거주지역(광역시 기준)에서 운영되고 있는 정수장 및 하(폐)수...
2020년 2학기 용수및하폐수처리 중간시험과제물 A형(막공정인 MF, UF, NF 등 )
2020년 2학기 용수및하폐수처리 중간시험과제물 E형(완속모래여과와 급속모래여과 비교)
2021년 2학기 용수및하폐수처리 중간시험과제물 C형(완속모래여과와 급속모래여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