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유념하고 전문가에게 조언을 받으며 실행해야 한다.
3. 결론
서론에서 언급하였듯이 지역사회에는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모여서 하나의 지역사회를 구성하였기에 다양한 문제가 발생한다.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지역사회 주민 간의 갈등, 사업 간의 문제, 부정부패, 주민의 안전과 실질적인 문제 등등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방법과 접근을 달리해야 하는 여러 형태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여러 문제에 적절한 방식으로 대처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실천모형 외에도 여러 방법을 알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있으면 어떠한 계층이나 기관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독단적으로 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지역사회의 권력과 힘이 한 곳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다양한 지역사회의 구성원이 평등하고 공평한 문화를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가장 좋은 방법으로는 지역사회에 문제가 최소한으로 줄어들 수 있도록 예방하고 방지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지역사회의 문제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공기관의 투명한 운영과 지역사회를 면밀히 살필 수 있는 관심이 필요하고 지역주민들의 시민의식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지역사회가 건강하고 올바르게 구성되어 공기관의 노력과 시민들의 노력이 균형 있게 유지되었을 때 문제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위에 언급한 것처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잘 알고 있는 것과 시민의식을 향상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공기관은 사회 복지를 전공하는 사람과 기타 관련 업종 종사자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도 알 수 있도록 쉽고 재미있는 교육방식을 개발하고 많은 지역주민이 이를 학습하여 자발적으로 지역사회를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4. 참고문헌
1) 지역사회복지론. 정성배. 조선대학교. 2017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2db2effbc5804a39&control_no=3c938fface8acb69
2) 지역사회복지실천론. 강철희, 정무성, 나남출판. 2006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054955def2ba4f8cffe0bdc3ef48d419
3. 결론
서론에서 언급하였듯이 지역사회에는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모여서 하나의 지역사회를 구성하였기에 다양한 문제가 발생한다.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지역사회 주민 간의 갈등, 사업 간의 문제, 부정부패, 주민의 안전과 실질적인 문제 등등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방법과 접근을 달리해야 하는 여러 형태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여러 문제에 적절한 방식으로 대처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실천모형 외에도 여러 방법을 알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있으면 어떠한 계층이나 기관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독단적으로 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지역사회의 권력과 힘이 한 곳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다양한 지역사회의 구성원이 평등하고 공평한 문화를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가장 좋은 방법으로는 지역사회에 문제가 최소한으로 줄어들 수 있도록 예방하고 방지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지역사회의 문제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공기관의 투명한 운영과 지역사회를 면밀히 살필 수 있는 관심이 필요하고 지역주민들의 시민의식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지역사회가 건강하고 올바르게 구성되어 공기관의 노력과 시민들의 노력이 균형 있게 유지되었을 때 문제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위에 언급한 것처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잘 알고 있는 것과 시민의식을 향상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공기관은 사회 복지를 전공하는 사람과 기타 관련 업종 종사자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도 알 수 있도록 쉽고 재미있는 교육방식을 개발하고 많은 지역주민이 이를 학습하여 자발적으로 지역사회를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4. 참고문헌
1) 지역사회복지론. 정성배. 조선대학교. 2017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2db2effbc5804a39&control_no=3c938fface8acb69
2) 지역사회복지실천론. 강철희, 정무성, 나남출판. 2006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054955def2ba4f8cffe0bdc3ef48d419
추천자료
로스만(Rothman)의 지역사회실천 모델에 해당하는 실제 예(3가지 모델 전부)를 찾아서 정리하...
로스만(Rothman)의 전통적 3가지 모형의 한계점을 설명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의 유형과 발전...
로스만의 모델을 설명하고 실제적으로 적용된 지역사회복지현장에서의 로스만의 혼합모델에 ...
로스만(Rothman)의 지역복지실천모델의 3유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실제 국내 및 해외에서 예...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의 발전과정과 유형을 기술하고, 로스만의 전통적 3가지 모형의 한계점...
[지역사회복지론]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의 유형중 로스만의 3가지 모델에 대해 설명하고 이 중...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의 유형 중 로스만의 3가지 모델에 대해 설명하고 이...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의 유형 중 로스만의 3가지 모델에 대해 설명하고 이 ...
지역사회복지론 )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 분석 -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의 유형중 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