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과대체에너지 ) 다양한 비재생에너지 중 ‘치밀가스’에 대해서 서론, 본론 및 결론으로 나누어 논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환경과대체에너지 ) 다양한 비재생에너지 중 ‘치밀가스’에 대해서 서론, 본론 및 결론으로 나누어 논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치밀 가스의 정의 및 특징
2.2 치밀 가스 저류층의 지질학적 특성
2.3 치밀 가스의 추정 매장량 및 생산
2.3.1 치밀 가스의 추정 매장량
2.3.2 치밀 가스의 생산
3.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고려해서 진행해야만 생산성이 극대화되기 때문이다. 보통 사암층은 수직 절리가 잘 발달하고, 투수율이 매우 낮은 치밀 사암층은 수직 절리가 유체의 이동 특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사암층에서 수직 균열이 발달하는 이유는 사암층 내에 유체의 압력이 증가하면 수압단연이 사암에 먼저 생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치밀 가스의 저류사암 개발을 위해서는 절리 발달에 대한 연구를 먼저 진행해야 하며, 치밀 저류 사암층의 치밀 가스를 개발할 경우에는 수평 시추나 경사 시추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이때 시추는 자연 균열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하여 수평 시추나 경사 시추를 함으로써 치밀 저류층에서의 가스의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경사 시추의 경우 렌즈상이 발달해 있는 저류층의 개발을 할 때 사용하며, 수평 시추의 경우 넓게 발달된 저류층의 개발을 할 때 효과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방법이다.
3. 결론
석탄 가스는 전 세계적으로 많은 편리성을 주었지만, 한정된 매장량과 황, 질소, 이산화탄소 등 사용 중에 발생되는 대기오염 물질로 인해 대체 물질에 대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발전된 것이 천연가스 관련 사업이며, 많은 연구진들은 매장된 천연가스의 발굴에 노력을 가하고 있다.
천연가스는 전통가스와 비전통가스로 구분할 수 있으며, 보통 생산성으로 볼 때 특수 기술이 필요하여 생산성이 좋지 않은 천연가스를 비전통가스라고 구분하고 있으나 이는 현재 많은 기술 발전을 이룩하여 생산성이 증대됨에 따라 가스가 보관되어 있는 위치 특성에 따라 구분하는 방식으로 변경되고 있다. 전통가스는 특정 지역에 조밀하게 분포되어 있다면, 비전통가스는 투수율과 공극률이 낮은 지대에 넓게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암석의 종류에 대한 영향도 받지 않으며, 전 세계적으로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비전통가스 중 치밀 가스는 근원암에서 생성되었던 가스가 치밀한 탄산염암이나 사암으로 1차 이동을 하게 되지만 공극율과 투과율이 매우 낮기 때문에 2차 이동(저류층으로의 이동)을 하지 못하고 생성되는 치밀한 저류층에 존재하는 천연가스를 말하며, 보통 유체 투과도가 0.1 md 이하이고, 공극률이 매우 낮은 저류층에서 존재하는 천연가스를 의미한다.
치밀 가스는 북미와 남미에 36 %의 매장량이 존재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10 % 내외적으로 골고루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저류층의 생성 과정이나 존재하는 형태에 따라 시추 형태를 다르게 하여 개발하는 것이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효율성 있는 개발을 위해서는 치밀 가스 개발 지역의 생성 과정 및 형태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 후 개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핵심이다.
치밀 가스는 기존의 천연가스와는 다르게 심층부에 존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개발 비용이 많이 들고 회수율이 낮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을 것이다. 또한, 특수 기술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쉬운 개발 방식을 찾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치밀 가스의 경우 앞서 언급하였듯이 한 부분에서 발견된다면 넓게 분포하여 있기 때문에 많은 양의 가스를 발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국가적으로 특정 지역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후에 이에 대하여 개발을 하는 방안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고갈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되었던 석탄은 많은 개발 및 사용으로 인해 고갈의 위험에 처해있다. 이처럼 치밀 가스 등의 천연가스도 현재로서 많은 매장량이 존재한다고 판단되어 중요성에 대하여 인지를 하고 있으나 고갈의 위험에 대한 인지는 부족한 실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개발을 하고 이에 대하여 발굴하는 것에 앞서 사용량에 대한 규제 및 부족할 상황에 대한 대처 방안을 마련하고, 매장량에 대한 정확한 파악을 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연구라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손병국, (2008). 치밀가스 저류층의 이해와 탐사 개발, 한국석유지질학회지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22e0696cc7d91a11e9810257f7042666
이수진 외 3인, (2014). 비전통 치밀 가스 학술정보 분석,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06de7d592b001c3ee9810257f7042666
  • 가격3,7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2.08.01
  • 저작시기202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45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