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많다. 그러나 이를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 비판적으로 그리고 통찰력을 갖고 바라보기 위한 자세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논어에서 말하는 효의 기본조건은 자기보신이다. ‘신체발부를 부모로부터 받았으니 감히 훼손하지 않는 것’이 효의 출발인 것이다. 즉, 효 사상은 나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따라서 논어에 나타난 효 사상을 이해함에 있어 우리는 현대사회에서의 자신의 경험과 안목, 가치관을 바탕으로 할 것이다. 이를 통해 각자가 그리는 효를 실현하고 실천하며 살아가기를 바란다.
출처 및 참고문헌
-김창욱, 「『논어』 \'학이편\'에 나타난 공자의 교학정신」, 한국교육철학회, 1999.
-안희진, 「‘孝’에 대한 유가와 도가의 관점을 논함」, 한국중국문화학회, 2010.
-이동욱, 「맹자 효(孝) 개념의 윤리적 확장성에 대한 연구」,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정함문, 「孔子의 孝사상 연구 :論語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오세은, 「대학 교양수업에서 『논어』의 토론식 읽기 방식 연구」, 한국국학진흥원, 2017.
-조선대, 「유가철학에 나타난 ‘孝’관의 현실적 의의 - 『論語』의 ‘幾諫’관을 중심으로」, 한국유교학회, 2017.
출처 및 참고문헌
-김창욱, 「『논어』 \'학이편\'에 나타난 공자의 교학정신」, 한국교육철학회, 1999.
-안희진, 「‘孝’에 대한 유가와 도가의 관점을 논함」, 한국중국문화학회, 2010.
-이동욱, 「맹자 효(孝) 개념의 윤리적 확장성에 대한 연구」,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1.
-정함문, 「孔子의 孝사상 연구 :論語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오세은, 「대학 교양수업에서 『논어』의 토론식 읽기 방식 연구」, 한국국학진흥원, 2017.
-조선대, 「유가철학에 나타난 ‘孝’관의 현실적 의의 - 『論語』의 ‘幾諫’관을 중심으로」, 한국유교학회, 201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