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참나무과
2) 자작나무과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참나무과
2) 자작나무과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낮은 산지에서 자라는 낙엽교목이며 신갈나무에 비해 잎의 양면에 털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열매의 각두가 침상의 인편으로 덮여 있는 점이 다르다. 갈참나무는 전국 산지에 많이 분포하는 낙엽 교목이며 엽병이 뚜렷하며 잎이 대형이며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결각이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졸참나무도 전국 산지에 많이 분포하는 낙엽교목이며 갈참나무에 비해 잎이 소형이며 가장자리 안으로 굽은 큰 톱니가 있는 것이 다르다.
상록성 참나무류는 자생 참나무류 중 붉가시나무, 종가시나무, 가시나무 등 5종이 있으며 열매 각두의 인편은 링 모양으로 압착되어 있다. 붉가시나무는 제주도나 서남해 도서지방 산지에 자라는 상록 교목이며 잎이 10-20cm로 크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는 특징을 갖고 있다. 종가시나무도 자라는 지역이 비슷한 상록 교목으로 잎의 길이는 5-15cm이면서 톱니는 가장자리 상반부에만 존재한다.
개가시나무는 제주도 일부 산지에서 매우 드물게 자라는 상록 교목으로 어린 가지와 엽병, 잎의 뒷면에 황갈색 털이 밀생한다. 가시나무는 남해 도서지방의 산지에서 매우 드물게 자라는 상록 교목으로 잎 뒷면이 회녹색이면서 톱니는 둔하고 열매는 1년 만에 결실하게 된다. 참가시나무는 제주도 및 서남해 도서지방의 산지에서 자라는 상록 교목으로 잎 뒷면이 분백색이면서 톱니가 뾰족한 특징을 갖고 있으며 열매는 2년 만에 결실 한다.
밤나무속은 가시에 싸인 견과인 밤이 열리는데 낙엽교목성 수종으로 원산지가 이상, 유럽, 북아메리카, 북아프리카 등 4개 대륙에 걸쳐있고 북반구 온대지역의 야산에 널리 분포 및 자생한다. 밤나무 종류는 학자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약 10여종이며 이 중 재배상 중요한 것은 일본밤, 중국밤, 유럽밤, 미국밤이다. 일본밤은 수고가 10m 내외로 밤크기가 4개종 중 가장 크며 식용으로 사용하며 내피를 벗기기 어렵고 맛은 보통이다. 중국밤은 수고 15m까지 자라며 내피가 잘 벗겨지고 맛이 좋고, 식용으로 사용한다. 유럽밤은 수고 20mRk지 자라면서 밤 크기는 중간이고 내피가 잘 벗겨지며 마찬가지로 식용으로 사용한다. 미국밤은 수고 30m 까지 자라는데 밤크기가 가장 작으며 내피가 잘 벗겨지고 맛이 가장 좋다고 알려져있다. 식용을 포함해 관상, 조경수, 목재용, 탄닌채취용으로도 사용한다.
모밀잣밤나무속은 구실잣밤나무보다 열매가 조금 작고 둥근 것으로 몸속의 각종 결석을 녹이고 관상용, 건축재, 기구재, 기계재, 상자재, 물감원료, 표고재배용, 열매를 식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록활엽 교목이며 바닷가의 산지에서 자라고 높이가 15m, 지름은 1m 정도로 나무껍질은 회흑색이다. 잎이 어긋나고 2줄로 배열해 넓은 바소꼴 혹은 타원상 바소꼴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윗부분에 톱니가 있다. 잎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지만 연한 갈색인 것도 있고 잔 인모로 덮이기도 한다. 암수가 한그루며 잎에 톱니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으며 잎 뒷면도 흰빛에서 연한 갈색 혹은 금색으로 변이가 심하다. 꽃은 5-6월에 피고 녹색의 암꽃은 가지
상록성 참나무류는 자생 참나무류 중 붉가시나무, 종가시나무, 가시나무 등 5종이 있으며 열매 각두의 인편은 링 모양으로 압착되어 있다. 붉가시나무는 제주도나 서남해 도서지방 산지에 자라는 상록 교목이며 잎이 10-20cm로 크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는 특징을 갖고 있다. 종가시나무도 자라는 지역이 비슷한 상록 교목으로 잎의 길이는 5-15cm이면서 톱니는 가장자리 상반부에만 존재한다.
개가시나무는 제주도 일부 산지에서 매우 드물게 자라는 상록 교목으로 어린 가지와 엽병, 잎의 뒷면에 황갈색 털이 밀생한다. 가시나무는 남해 도서지방의 산지에서 매우 드물게 자라는 상록 교목으로 잎 뒷면이 회녹색이면서 톱니는 둔하고 열매는 1년 만에 결실하게 된다. 참가시나무는 제주도 및 서남해 도서지방의 산지에서 자라는 상록 교목으로 잎 뒷면이 분백색이면서 톱니가 뾰족한 특징을 갖고 있으며 열매는 2년 만에 결실 한다.
밤나무속은 가시에 싸인 견과인 밤이 열리는데 낙엽교목성 수종으로 원산지가 이상, 유럽, 북아메리카, 북아프리카 등 4개 대륙에 걸쳐있고 북반구 온대지역의 야산에 널리 분포 및 자생한다. 밤나무 종류는 학자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약 10여종이며 이 중 재배상 중요한 것은 일본밤, 중국밤, 유럽밤, 미국밤이다. 일본밤은 수고가 10m 내외로 밤크기가 4개종 중 가장 크며 식용으로 사용하며 내피를 벗기기 어렵고 맛은 보통이다. 중국밤은 수고 15m까지 자라며 내피가 잘 벗겨지고 맛이 좋고, 식용으로 사용한다. 유럽밤은 수고 20mRk지 자라면서 밤 크기는 중간이고 내피가 잘 벗겨지며 마찬가지로 식용으로 사용한다. 미국밤은 수고 30m 까지 자라는데 밤크기가 가장 작으며 내피가 잘 벗겨지고 맛이 가장 좋다고 알려져있다. 식용을 포함해 관상, 조경수, 목재용, 탄닌채취용으로도 사용한다.
모밀잣밤나무속은 구실잣밤나무보다 열매가 조금 작고 둥근 것으로 몸속의 각종 결석을 녹이고 관상용, 건축재, 기구재, 기계재, 상자재, 물감원료, 표고재배용, 열매를 식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록활엽 교목이며 바닷가의 산지에서 자라고 높이가 15m, 지름은 1m 정도로 나무껍질은 회흑색이다. 잎이 어긋나고 2줄로 배열해 넓은 바소꼴 혹은 타원상 바소꼴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윗부분에 톱니가 있다. 잎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지만 연한 갈색인 것도 있고 잔 인모로 덮이기도 한다. 암수가 한그루며 잎에 톱니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으며 잎 뒷면도 흰빛에서 연한 갈색 혹은 금색으로 변이가 심하다. 꽃은 5-6월에 피고 녹색의 암꽃은 가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