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2019년의 개정누리과정에 대해서
2. 예시의 놀리의 누리과정의 적절성에 대한 분석
1. 관심의 시작, 장식된 반짝이 끈 발견.
2. 놀이 - 반짝이 끈 탐색하기.
3. 놀이 – 반짝이 끈으로 보물찾기 놀이하기
4. 놀이 - 반짝이 끈으로 상상놀이하기
5. 활동 – 놀이 공간에 대해서 이야기 나누기
참고문헌
2. 예시의 놀리의 누리과정의 적절성에 대한 분석
1. 관심의 시작, 장식된 반짝이 끈 발견.
2. 놀이 - 반짝이 끈 탐색하기.
3. 놀이 – 반짝이 끈으로 보물찾기 놀이하기
4. 놀이 - 반짝이 끈으로 상상놀이하기
5. 활동 – 놀이 공간에 대해서 이야기 나누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유아들과 지속적으로 상호작용을 하면서 언어적인 표형과 바른 언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도하였다. 유아들은 상상을 통해서 창의성과 상상한 내용을 표현하는 능력에 대해서 습득하고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적절한 상호작용으로 놀이의 심화를 유도하여 상상력의 성장시켰다.
5. 활동 놀이 공간에 대해서 이야기 나누기
유아들의 반짝이 끈에 대한 관심도와 집중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이 되었다. 반짝이 끈 놀이를 계속 진행하고 싶은 유아와 다른 놀이를 하고 싶은 유아의 의견이 나누어졌기 때문에 공간을 나누어서 문제를 해결하고 활동을 하도록 하였다. 교사는 문제에 대해서 파악하고, 유아의 의견을 수긍하면서 문제의 해결을 유아가 직접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구역을 함께 나누고 상호작용 하면서 유아는 타인과 나의 차이에 대해서 인식하고 배려, 질서와 같은 기본생활습관과 바른 인성을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
6. 마무리와 새로운 관심의 시작 - 반짝이 끈 놀이 정리와 반짝이 끈 공놀이하기
실내에서 진행하는 반짝이 끈 놀이를 마무리하고, 반짝이 끈을 봉지에 담아 공처럼 만든 다음에 실외에서 반짝이 끈 공놀이를 하도록 하였다. 유아는 서로 다름 공의 크기에 대해서 탐구하고 공의 날아가는 모습, 공 안의 반짝이 끈의 모습 등을 관찰하고 탐구하였고, 그 과정에서 수학적 과학적인 탐구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
해당 놀이에서는 반짝이 끈을 탐구하는 놀이과정과 마무리 단계에서 진행하는 실외활동을 통해서 누리과정에서 목표로 하고 있는 기본 운동능력과 건강하고 안정한 생활 습관 기르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놀이 과정에서 유아의 의견을 수긍하고 함께 이야기 나누면서 일상생활에서 의사소통과 바른 언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자신을 존중하고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는 목표에도 적합하였다. 놀이의 수준이 3세의 연령에 적합한 수준과 시간으로 구성이 되어 있었고 5개의 영역에서 신체운동과 건강, 의사소통, 예술경험, 사회관계, 자연탐구 모두 부합했다고 생각한다.
정리하면, 해당 놀이는 누리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운영방침과 목표에도 적절하였으며, 유아의 전인적인 발달을 유도하는 내용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유치원 교육과정 고시문(2019 개정 누리과정)』 (교육부, 2019)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실행자료』(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유아교육과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편집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4
또한 적절한 상호작용으로 놀이의 심화를 유도하여 상상력의 성장시켰다.
5. 활동 놀이 공간에 대해서 이야기 나누기
유아들의 반짝이 끈에 대한 관심도와 집중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이 되었다. 반짝이 끈 놀이를 계속 진행하고 싶은 유아와 다른 놀이를 하고 싶은 유아의 의견이 나누어졌기 때문에 공간을 나누어서 문제를 해결하고 활동을 하도록 하였다. 교사는 문제에 대해서 파악하고, 유아의 의견을 수긍하면서 문제의 해결을 유아가 직접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구역을 함께 나누고 상호작용 하면서 유아는 타인과 나의 차이에 대해서 인식하고 배려, 질서와 같은 기본생활습관과 바른 인성을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
6. 마무리와 새로운 관심의 시작 - 반짝이 끈 놀이 정리와 반짝이 끈 공놀이하기
실내에서 진행하는 반짝이 끈 놀이를 마무리하고, 반짝이 끈을 봉지에 담아 공처럼 만든 다음에 실외에서 반짝이 끈 공놀이를 하도록 하였다. 유아는 서로 다름 공의 크기에 대해서 탐구하고 공의 날아가는 모습, 공 안의 반짝이 끈의 모습 등을 관찰하고 탐구하였고, 그 과정에서 수학적 과학적인 탐구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
해당 놀이에서는 반짝이 끈을 탐구하는 놀이과정과 마무리 단계에서 진행하는 실외활동을 통해서 누리과정에서 목표로 하고 있는 기본 운동능력과 건강하고 안정한 생활 습관 기르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놀이 과정에서 유아의 의견을 수긍하고 함께 이야기 나누면서 일상생활에서 의사소통과 바른 언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자신을 존중하고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는 목표에도 적합하였다. 놀이의 수준이 3세의 연령에 적합한 수준과 시간으로 구성이 되어 있었고 5개의 영역에서 신체운동과 건강, 의사소통, 예술경험, 사회관계, 자연탐구 모두 부합했다고 생각한다.
정리하면, 해당 놀이는 누리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운영방침과 목표에도 적절하였으며, 유아의 전인적인 발달을 유도하는 내용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유치원 교육과정 고시문(2019 개정 누리과정)』 (교육부, 2019)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실행자료』(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유아교육과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편집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4
추천자료
2020개정 누리과정인 놀이중심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은 무엇이며 놀이중심의 교육과정...
[2020 유아교육과정4공통][출처표기]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추구하는 인간상, 목적과 목표, ...
2020년 2학기 유아교육과정 중간시험과제물 공통(2019 개정 누리과정 등)
유아교육과정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추구하는 인간상, 목적과 목표, 운영방침, 영역별 목표...
[2020 유아교육과정][기말시험][출처표기] 1.우리나라 영유아교육ㆍ보육기관인 유치원과 어린...
2020년 2학기 유아교육과정 출석수업대체시험 과제물(2019 개정 누리과정 등)
[2021 유아교육과정4공통] (1)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교육과정 운영의 특성을 5가...
[유아교육과정 4학년 공통] (1)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교육과정 운영의 특성을 5...
유아교육과정 )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추구하는 인간상, 목적과 목표, 운영방침, 영역별 목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