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 생물계란?
■ 생물군계의 특성
■ 개체군 분산형태
1. 자원에 의한 개체군 분산형태
2. 분포양상에 의한 개체군 분산형태
3. 환경요인에 의한 개체군 분산형태
■ 종다양성과 섬생물지리학 -맥아더(MacArthur)와 윌슨(Wilson)의 섬생물지리학
■ 참고문헌
■ 생물계란?
■ 생물군계의 특성
■ 개체군 분산형태
1. 자원에 의한 개체군 분산형태
2. 분포양상에 의한 개체군 분산형태
3. 환경요인에 의한 개체군 분산형태
■ 종다양성과 섬생물지리학 -맥아더(MacArthur)와 윌슨(Wilson)의 섬생물지리학
■ 참고문헌
본문내용
균일하고 개체 간에 치열한 경쟁이 일어나는 개체군으로,
자연상태에서 극히 드물게 나타난다.
임의형
생존경쟁이 치열하지 않고, 환경조건이 균일하지 않은 곳에서 볼 수 있다.
괴상형
환경이 고르지 못하고 생식이나 먹이를 구하는 개체군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이렇게 뭉쳐서 생활하면 영양분, 공간, 빛 등에 대한 각 개체 간의 경쟁은 커지지만, 그 대신 얻어지는 이익도 적지 않은 경우 나타나는 분산 형태이다.
[그림3] 개체군 분산 형태
종다양성과 섬생물지리학 -맥아더(MacArthur)와 윌슨(Wilson)의 섬생물지리학
특정 생태계에 서식하는 종수는 무한대일 수 없다. 따라서 생태계마다 나타나는 종수는 제한적인데, 이는 서식공간의 활용과 크기, 이용가능한 물질의 수준과 생물 간 상호관계등 여러 가지가 작용하여 나타나는 결과이기도 하다. 이러한 문제들의 상관성에 대한 분석을 최초로 시도한 학자는 맥아더와 윌슨이다. 이들은 섬이 육지와 격리되어 있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어떻게 섬에 생존하는 종수가 결정되는가에 대한 원리를 연구하여 ‘섬생물지리학’이라는 이론을 1960년대에 제창했다.
[그림 4] 섬생물지리학에 따른 종다양성의 결정 이론
이 이론에 따르면, 섬에 존재하는 종수는 새롭게 섬으로 들어오는 종의 변화율과 섬에서 도태되는 종의 변화율에 따라 조절되는 하나의 평형점에서 결정된다는 것이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입율은 종수가 증가하면서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고, 유출률은 종수가 늘어남에 따라 증가한다. 이러한 두 곡선이 만나는 곳에서 새로운 종의 유입과 기존에 서식하던 종의 유출이 평형하게 되며, 이 교점이 만나는 때의 종수가 그 섬에서의 안정적인 종수가 된다. 또한 이들의 연구에서 유입률의 변화는 섬과 육지의 떨어진 거리와 상관성이 있고, 유출률은 섬의 크기에 영향을 받는다는 결과를 기초로 하여 일반적인 결정이론 모형을 도출할 수 있다. 기원이 되는 육지인 대륙과 거리가 가까우면 서식하는 종의 수가 적은 초기에는 매우 높은 비율로 새로운 종이 유입될 것이며, 거리가 멀면 새로 유입되는 종이 적으므로 유입률은 낮게 될 것이다. 그 후 유입률은 두 경우 모두 감소하는 형태로 [그림 4(a)]와 같이 변화한다. 유출률은 섬이 클수록 곡선이 완만하게 증가한다. 섬의 면적이 클수록 다양한 서식지가 있어 보다 다양한 종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섬이 작으면 제한된 서식지와 먹이원을 놓고 경쟁이 치열해 지기
자연상태에서 극히 드물게 나타난다.
임의형
생존경쟁이 치열하지 않고, 환경조건이 균일하지 않은 곳에서 볼 수 있다.
괴상형
환경이 고르지 못하고 생식이나 먹이를 구하는 개체군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이렇게 뭉쳐서 생활하면 영양분, 공간, 빛 등에 대한 각 개체 간의 경쟁은 커지지만, 그 대신 얻어지는 이익도 적지 않은 경우 나타나는 분산 형태이다.
[그림3] 개체군 분산 형태
종다양성과 섬생물지리학 -맥아더(MacArthur)와 윌슨(Wilson)의 섬생물지리학
특정 생태계에 서식하는 종수는 무한대일 수 없다. 따라서 생태계마다 나타나는 종수는 제한적인데, 이는 서식공간의 활용과 크기, 이용가능한 물질의 수준과 생물 간 상호관계등 여러 가지가 작용하여 나타나는 결과이기도 하다. 이러한 문제들의 상관성에 대한 분석을 최초로 시도한 학자는 맥아더와 윌슨이다. 이들은 섬이 육지와 격리되어 있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어떻게 섬에 생존하는 종수가 결정되는가에 대한 원리를 연구하여 ‘섬생물지리학’이라는 이론을 1960년대에 제창했다.
[그림 4] 섬생물지리학에 따른 종다양성의 결정 이론
이 이론에 따르면, 섬에 존재하는 종수는 새롭게 섬으로 들어오는 종의 변화율과 섬에서 도태되는 종의 변화율에 따라 조절되는 하나의 평형점에서 결정된다는 것이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입율은 종수가 증가하면서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고, 유출률은 종수가 늘어남에 따라 증가한다. 이러한 두 곡선이 만나는 곳에서 새로운 종의 유입과 기존에 서식하던 종의 유출이 평형하게 되며, 이 교점이 만나는 때의 종수가 그 섬에서의 안정적인 종수가 된다. 또한 이들의 연구에서 유입률의 변화는 섬과 육지의 떨어진 거리와 상관성이 있고, 유출률은 섬의 크기에 영향을 받는다는 결과를 기초로 하여 일반적인 결정이론 모형을 도출할 수 있다. 기원이 되는 육지인 대륙과 거리가 가까우면 서식하는 종의 수가 적은 초기에는 매우 높은 비율로 새로운 종이 유입될 것이며, 거리가 멀면 새로 유입되는 종이 적으므로 유입률은 낮게 될 것이다. 그 후 유입률은 두 경우 모두 감소하는 형태로 [그림 4(a)]와 같이 변화한다. 유출률은 섬이 클수록 곡선이 완만하게 증가한다. 섬의 면적이 클수록 다양한 서식지가 있어 보다 다양한 종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섬이 작으면 제한된 서식지와 먹이원을 놓고 경쟁이 치열해 지기
추천자료
[환경보건윤리]생태중심주의 윤리 및 사회생태주의 윤리의 특성과 한계
기후온난화가 농업생산에 미치는 영향
[공중보건학] 봄철 불청객 황사에 대하여
[숲과 삶 A형] 도시에서 숲(도시 산림 포함한 녹지공간)이 점차 감소와 훼손 진행되어 도시생...
환경보건 = 지구환경생태학 = 생태계의 생물은 크게 5가지 계(kingdom)로 구분된다 생물계를 ...
보건환경 = 지구환경생태학 = 생물군집을 구성하는 많은 종류의 생물은 개체군 사이에 여러 ...
[방통대 농학과 1학년 숲과 삶 B형] 도시에서 숲(도시의 산림을 포함한 녹지공간으로 교재에...
[방통대 농학과 1학년 숲과 삶 B형] 도시에서 숲(도시의 산림을 포함한 녹지공간으로 교재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