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학 ) 치료도우미동물 육성 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물학 ) 치료도우미동물 육성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육성할 동물 선택 및 특징
① 푸들
② 진돗개
③ 말티즈
➃ 시츄
⑤ 요크셔 테리어
➅ 치와와
➆ 삽살개
➇ 시베리아허스키
(2) 사전 계획 및 교육 커리큘럼 작성
(3) 교육장 마련 및 훈련강사 선별
(4) 실제 교육 진행 및 수혜자 혜택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넓은 것이 좋을 것이다. 반려견들의 훈련을 진행하는 곳이기에 여러 가지를 검토해봐야 한다.
일반 사설 학원 교육장과 달리 개의 경우는 많이 짓는 편이기에 어느 정도 독립된 위치에 있는 교육장이 좋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개가 활동할 수 있는 충분한 넓이의 면적이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개가 배설할 경우를 대비해서 이를 즉각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청소도구 등도 구비해놔야 한다. 그 외 훈련에 사용되는 장비, 혹시 모를 사고에 대비한 구급약품을 준비해놓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치료도우미동물 육성의 교육을 담당할 훈련강사를 선별해야 할 것이다. 훈련강사의 선별 조건은 다소 차이가 있으나. 동물 육성과 관련된 교육 이수 및 해당 실무에서 최소 경력 3년 이상인 자를 말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살아 움직이는 동물을 대상으로 훈련하는 것이기에 훈련강사의 자격 조건은 꼼꼼히 따져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이유는 혹시 모를 사고에 대비하기 위함이라 할 수 있다. 동물 육성과정과는 다르지만 최근 자격조건이 되지 않는 훈련 강사들의 교육진행으로 인해 많은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치료도우미동물육성과 관련된 교육의 경우 더 사전 예방의 차원에서도 더욱 강화된 훈련강사 선별이 필요할 것이다.
(4) 실제 교육 진행 및 수혜자 혜택
교육장 마련, 강사확보, 반려 견 확보가 되었다면 이제는 실제 교육을 진행하여야 한다. 실제 교육은 커리큘럼에 맞춰서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관련된 교육을 이수한 반려 견은 현장에 투입되어야 할 것이다. 대상자는 독거노인, 정서적으로 고통 받는 이들, 시각장애인 등 다양한 이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결론
반려 견을 치료도우미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어떤 품종을 선택 하느냐가 중요하지만 교육장소, 훈련강사 또한 철저하게 검증되어야 할 것이다. 살아 움직이는 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에는 무엇보다도 관련 경력이 있는 강사가 진행하여야 하며, 안전사고예방을 철저히 하여야 한다.
단순히 개를 대상으로 한 훈련 견 육성으로만 끝나는 것이 아닌 실제 현장에 투입되어 도움이 필요한 이들에게 자원봉사 형태로 유용하게 쓰여야 할 것이다. 계속해서 무인화되는 시대에 치료도우미동물 육성 교육으로 배출된 반려견은 독거노인들과 같이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한 이들뿐 아니라 현대인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및 참고문헌
-이은숙, 강아지기르기, 김영사, 2004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dc19c4f951ba8c4a
-(사)한국애견협회
http://kkc.or.kr/main/main.html
-고구레 노리오, 강현정, (내 강아지를 위한) 질병 사전, 해든아침 작은책방, 2014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180af3f85188bce8ffe0bdc3ef48d419
  • 가격3,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2.08.03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52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