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학교폭력의 원인
1) 개인적 요인
2) 환경적 요인
2-1) 가정환경
2-2) 사회환경
(2) 학교폭력의 특성과 양상
1) 학교폭력의 특성
2) 연령과 성별에 따른 양상
(3) 최근 학교폭력과 앞으로의 미래
1) 최근 학교 폭력의 형태
2) 대응 사례 및 예방프로그램
3. 결론
4. 참고문헌 및 출처
2. 본론
(1) 학교폭력의 원인
1) 개인적 요인
2) 환경적 요인
2-1) 가정환경
2-2) 사회환경
(2) 학교폭력의 특성과 양상
1) 학교폭력의 특성
2) 연령과 성별에 따른 양상
(3) 최근 학교폭력과 앞으로의 미래
1) 최근 학교 폭력의 형태
2) 대응 사례 및 예방프로그램
3. 결론
4. 참고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물 이용한 협박, 반라 사진을 촬영한 뒤 유포, SNS에 성적 비방 내용을 작성하는 등 사이버 폭력행위가 큰 지표를 차지했다. 새벽3시 여중생에 음란물 보낸 \'그놈\'...같은 학교 친구였다, 김준희 기자, 중앙일보, 2020년 6월 9일
최근 전주의 모 여중생 두 명은 이와 같은 학교폭력 행위를 당했으나 제대로 가해자에 대한 징계가 내려지지 않아 피해자의 부모가 청원을 올리기도 했다. 이처럼 학교폭력의 모습은 나이와 성별에 따라 그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며, 특정 나이에 더 극심하게 드러났다.
(3) 최근 학교폭력과 앞으로의 미래
1) 최근 학교 폭력의 형태
인터넷과 모바일이 발달하면서 학교폭력은 집단따돌림과 언어폭력의 행위로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사이버폭력으로까지 이어졌다. 사이버폭력의 경우 시공간 제약이 없다. 그렇기 때문에 학교에 한정돼 이루어졌던 기존 학교폭력과는 달리 하루 24시간 폭력을 행사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피해자가 사이버폭력을 당하고 있을지라도 나이가 많은 교사와 학부모 등은 학생들보다 기술에 대한 적응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해당 유형의 피해를 인지하기도 어렵다. 또한, 사이버폭력은 다양한 폭력 유형과 결합해 나타나며 최근 N번방 사태와 같이 범죄 수준에 이르는 상황으로까지 나아가기도 하므로 눈여겨보아야 할 학교폭력의 양상이다.
2) 대응 사례 및 예방프로그램
사이버 폭력의 경우 학교폭력 온라인 지원 시스템 ‘어울림톡’과 같이 SNS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활용은 앞으로 사이버폭력에 대응할 수 있는 커다란 자산으로 보인다.
더불어 현재 운영되고 있는 ‘어울림 프로그램’의 활발한 활동도 주목해볼 만하다. 경북 금장초등학교의 경우 어울림 프로그램을 시행한 이후 학교 폭력이 4건 발생했던 2018년 4월 이후에 단 한 건도 학교폭력이 없었으며, 충남에 있는 선도중학교 역시 폭력 상황이 발생하지 않았다. 경남 외간초등학교는 어울림 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학생들의 소통능력과 감정조절 역량이 각각 0.55점, 0.33점 증가했다. 어울림 프로그램, 학폭 예방효과 컸다, 전호성 기자, 내일신문, 2019년 1월 30일
학교폭력 예방 교육으로 추진하는 어울림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공감과 소통에 나쁘지 않은 성과를 보이는 것이다.
대면으로 이루어지는 교육 프로그램과 학생들이 손쉽게 접할 수 있는 모바일 기술들을 잘 접목한다면 사이버 폭력을 비롯한 학교폭력의 절감을 기대해볼 수 있다고 예측된다.
3. 결론
지난 8월 말, NC 구단의 1차 지명을 받으며 야구계 유망주로 야구선수 김유성이 큰 눈길을 끌었으나 학교폭력 의혹으로 인해 1차 지명을 철회 당하며 나락으로 떨어졌다.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는 김유성에게 1년 자격정지 징계를 내리기도 했다. 가수 박경은 학교폭력으로 인해 큰 질타를 받았고, 가수 잔나비의 유영현은 학교폭력 가해자인 사실이 알려진 후 그룹을 탈퇴했다. 이처럼 학교폭력에 대한 사회적 민감성은 강화되고 있다는 점은 바람직한 점이다. 그러나 학교폭력을 대하는 태도는 점점 나아지고 있으나 학교폭력이 감소하지 않는다면 의미가 없을 것이다. 사람들의 인식변화만큼 중요한 것은 제도의 개선이다. 앞서 우리는 학교폭력에 관한 요인과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요인과 양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개인의 인식과 학교와 사회의 변화가 필요하다. 사람들의 점차 도덕적인 인식이 높아지는 만큼 학교의 사회의 제도적인 모습도 발전한다면 더 나은 사회 안에서 폭력의 위험 없이 나의 아이가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4. 참고문헌 및 출처
1) “학교폭력 가해자가 경찰관 된다니”…靑 국민청원, 김승욱 기자, 연합뉴스, 2020년 10월 18일
https://www.yna.co.kr/view/AKR20201017035900004?input=1195m
2018년 9월 27일~10월 26일 한국교육개발원 학교폭력 실태 표본조사
언어폭력·집단 따돌림·사이버폭력…변화하는 \'학폭\', 대응은?, 이천종 기자, 2019년 8월 28일
http://www.segye.com/newsView/20190827512392?OutUrl=naver
새벽3시 여중생에 음란물 보낸 \'그놈\'...같은 학교 친구였다, 김준희 기자, 중앙일보, 2020년 6월 9일 https://news.joins.com/article/23796904
어울림 프로그램, 학폭 예방효과 컸다, 전호성 기자, 내일신문, 2019년 1월 30일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302903
최근 전주의 모 여중생 두 명은 이와 같은 학교폭력 행위를 당했으나 제대로 가해자에 대한 징계가 내려지지 않아 피해자의 부모가 청원을 올리기도 했다. 이처럼 학교폭력의 모습은 나이와 성별에 따라 그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며, 특정 나이에 더 극심하게 드러났다.
(3) 최근 학교폭력과 앞으로의 미래
1) 최근 학교 폭력의 형태
인터넷과 모바일이 발달하면서 학교폭력은 집단따돌림과 언어폭력의 행위로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사이버폭력으로까지 이어졌다. 사이버폭력의 경우 시공간 제약이 없다. 그렇기 때문에 학교에 한정돼 이루어졌던 기존 학교폭력과는 달리 하루 24시간 폭력을 행사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피해자가 사이버폭력을 당하고 있을지라도 나이가 많은 교사와 학부모 등은 학생들보다 기술에 대한 적응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해당 유형의 피해를 인지하기도 어렵다. 또한, 사이버폭력은 다양한 폭력 유형과 결합해 나타나며 최근 N번방 사태와 같이 범죄 수준에 이르는 상황으로까지 나아가기도 하므로 눈여겨보아야 할 학교폭력의 양상이다.
2) 대응 사례 및 예방프로그램
사이버 폭력의 경우 학교폭력 온라인 지원 시스템 ‘어울림톡’과 같이 SNS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활용은 앞으로 사이버폭력에 대응할 수 있는 커다란 자산으로 보인다.
더불어 현재 운영되고 있는 ‘어울림 프로그램’의 활발한 활동도 주목해볼 만하다. 경북 금장초등학교의 경우 어울림 프로그램을 시행한 이후 학교 폭력이 4건 발생했던 2018년 4월 이후에 단 한 건도 학교폭력이 없었으며, 충남에 있는 선도중학교 역시 폭력 상황이 발생하지 않았다. 경남 외간초등학교는 어울림 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학생들의 소통능력과 감정조절 역량이 각각 0.55점, 0.33점 증가했다. 어울림 프로그램, 학폭 예방효과 컸다, 전호성 기자, 내일신문, 2019년 1월 30일
학교폭력 예방 교육으로 추진하는 어울림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공감과 소통에 나쁘지 않은 성과를 보이는 것이다.
대면으로 이루어지는 교육 프로그램과 학생들이 손쉽게 접할 수 있는 모바일 기술들을 잘 접목한다면 사이버 폭력을 비롯한 학교폭력의 절감을 기대해볼 수 있다고 예측된다.
3. 결론
지난 8월 말, NC 구단의 1차 지명을 받으며 야구계 유망주로 야구선수 김유성이 큰 눈길을 끌었으나 학교폭력 의혹으로 인해 1차 지명을 철회 당하며 나락으로 떨어졌다.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는 김유성에게 1년 자격정지 징계를 내리기도 했다. 가수 박경은 학교폭력으로 인해 큰 질타를 받았고, 가수 잔나비의 유영현은 학교폭력 가해자인 사실이 알려진 후 그룹을 탈퇴했다. 이처럼 학교폭력에 대한 사회적 민감성은 강화되고 있다는 점은 바람직한 점이다. 그러나 학교폭력을 대하는 태도는 점점 나아지고 있으나 학교폭력이 감소하지 않는다면 의미가 없을 것이다. 사람들의 인식변화만큼 중요한 것은 제도의 개선이다. 앞서 우리는 학교폭력에 관한 요인과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요인과 양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개인의 인식과 학교와 사회의 변화가 필요하다. 사람들의 점차 도덕적인 인식이 높아지는 만큼 학교의 사회의 제도적인 모습도 발전한다면 더 나은 사회 안에서 폭력의 위험 없이 나의 아이가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4. 참고문헌 및 출처
1) “학교폭력 가해자가 경찰관 된다니”…靑 국민청원, 김승욱 기자, 연합뉴스, 2020년 10월 18일
https://www.yna.co.kr/view/AKR20201017035900004?input=1195m
2018년 9월 27일~10월 26일 한국교육개발원 학교폭력 실태 표본조사
언어폭력·집단 따돌림·사이버폭력…변화하는 \'학폭\', 대응은?, 이천종 기자, 2019년 8월 28일
http://www.segye.com/newsView/20190827512392?OutUrl=naver
새벽3시 여중생에 음란물 보낸 \'그놈\'...같은 학교 친구였다, 김준희 기자, 중앙일보, 2020년 6월 9일 https://news.joins.com/article/23796904
어울림 프로그램, 학폭 예방효과 컸다, 전호성 기자, 내일신문, 2019년 1월 30일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302903
추천자료
- [2017 학교폭력예방및학생의이해2공통] 1. 학교폭력의 특성 및 원인과 결과에 대해 분석하고 ...
- [2017 학교폭력예방 및 학생의이해] 1) 학교폭력의 특성 및 원인과 결과에 대해 분석하고 서...
- [학교폭력예방및학생의이해 2학년] 1. 학교폭력의 원인을 다양한 요인별로 분석하고, 그 결과...
- 학교폭력예방및학생의이해 기말] 1. 학교폭력의 원인을 다양한 요인별로 분석하고, 그 결과 2...
- 학교폭력예방및학생의이해 기말] 1.학교폭력의 양상, 학교폭력의 요인 및 조기감지 2.학교폭...
- 학교폭력 예방 및 학생의 이해 ) 1학교폭력의 원인을 다양한 요인별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
- 학교폭력예방및학생의이해 ) 최근 학교폭력 양상을 분석하고, 대처할 수 있는 방안으로 대응...
- 학교폭력예방및학생의이해 ) 최근 학교폭력 양상을 분석하고, 대처할 수 있는 방안으로 대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