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육학개론 ) 한국내외 한국어교육 기관의 홈페이지를 통해 어떤 교육과정이 운영되는지를 살펴보고, 교육과정의 특성(장점 혹은 단점)을 분석해 봅시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어교육학개론 ) 한국내외 한국어교육 기관의 홈페이지를 통해 어떤 교육과정이 운영되는지를 살펴보고, 교육과정의 특성(장점 혹은 단점)을 분석해 봅시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한국어교육과정의 구성체계 및 특징
3. 한국어교육과정의 장점
-언어학과 접목된 능력 평가 중심의 강의
-한국문화와의 접목
4. 한국어교육과정의 단점
-실습 중심의 강의 확보
-현대한국언어/문화와 관련된 강의 확보
5. 맺음말

본문내용

ducation: Focused on YouTube‘Korean English man’”, 광주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p3.
K-POP 뮤직비디오를 보며 자신의 반응을 직접 녹화해 영상 콘텐츠로 만드는 외국인 크리에이터들의 경우만 봐도, 한국어 교육 학습을 자발적으로 실습해보는 과정을 통해 영상을 제작하는 사람과 영상을 구독하는 사람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아 서로를 교육해 나가며 연쇄반응을 일으키며 지대한 학습효과가 발생할 수 있어 보였다.
두 번째 단점은 현대 한국 언어, 현대 한국 문화와 관련된 강의에 대한 비중과 관련된 부분은 추가적으로 고민이 필요한 지점이 된다.
최근, 안녕(ANNYEONG), 친구(CHINGU), 대박(DAEBAK), 왜 안돼?(WAE NOT?), 네 친구랑 데이트 할 거야(I WILL DATE YOUR CHINGU) 등과 같은 새로운 단어가 기사화되고 있다. 실제 한국어 교육을 받고 싶어 하는 외국인들이 애용하고 있다고 하는 한영어들로, 위 단어와 문장은 실제 K팝을 사랑하는 팬들 사이에서 사용되고 있는 언어다. 한영어韓英語란 한국어 발음을 영어로 옮긴 것 오윤아 특파원, 김수경 기자, “Oppa is jinjja cute! BTS 덕에 \'한영어\' 대유행”, 조선일보
이다. 일각에서는 세계 공통어로 한영어를 사용해야만 한다는 반응도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일상 언어 강의가 난해한 경우에는 교육하지 안 하니만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음을 경계해야 한다. 중요한 것은 한국어 교육의 단계를 나누어, 기초적 단계에서 습득 가능할 어휘와 문맥을 충분히 교육한 후에 고급 단계에서 기초에 기반한 어휘를 활용하여 한국어 교육에 흥미를 가지고 있는 교육생들에게 2020년 한국어에 대한 다양한 감정과 사상을 표현할 수 있는 활동으로 부분적으로 확대 교육해 나가는 방향도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학습효과 향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국내 및 국외에서 한국어를 접하게 될 사용자들에게 한국어 교육의 방향이 어떻게 설정돼 있는지 한국어 교육의 방향에 대한 시의적인 접근을 반영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5. 맺음말
본 주제는 현재 한국어 교육의 방향은 어느 목적 지점을 향해 설정되어 있는가에 대해 구체적인 고민을 해 보기 위해 출발된 주제였다. 자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문화부, 교육부에서 한국어 교육을 체계적으로 진행해 가고 있는 사업들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일부 교육기관과 연구기관에서도 상업성의 지원을 받으며 한국어 교육과 연구활동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실제적인 연구와 한국인들의 직접적인 참여를 유발해 한국어 교육의 문화를 일궈내기까지에는 부족한 부분에 엿보였으며, 교양 있는 한국학을 연구하는 전문가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한 상황들이 많이 확인됐다. 2020년은 대한민국의 저력을 담은 한국어의 전파력을 실감할 수 있었던 한 해나 다름없었다.
빌보드 차트 상위권을 독점하며 한국어로 노래를 부르기 위해 2년을 바치는 BTS 팬들 아미, 해외에서만 약 170여개의 트로피를 품은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 뉴스핌, ‘칸부터 아카데미까지, \'기생충\'이 쓴 기록들’
, 총 조회 수 3억을 돌파하며 35개국 시민들에게 열광적인 반응을 끌어낸 이날치 밴드의 판소리 음악까지. 대한민국은 문화국가로서 자질과 능력이 충분한 자격을 갖췄다. 한류는 이제 우리 경제를 이끌어 가는 핵심 동력이 되었다. 뉴시스, \'한국어, 세계를 잇다\'…문체부, 한국어 확산 계획 시동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의 위상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한국어 확산 계획(2020~2022)을 통해 3대 추진전략 9대 과제를 제시했는데, 한국어 확산의 전문화와 체계적, 맞춤형 한국어 경험 지원, 한글의 대외 노출 기획 확대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밝혔다. 문체부에서 발표한 보도자료 <신한류 한국어 확산 계획 발표>에 따르면 2020년 한국어를 제1언어로 사용하고 있는 인구는 전 세계적으로 약 8천여만 명에 이른다.
코로나19 확산에도 한국어 학습의 열기는 식지 않은 상황을 온라인 세종학당 과정의 총방문자 수로 확인해 보여줬다. 온라인 세종학당 과정 수는 2019년 60개국 180개소에서 2020년 76개국 213개소로 누적해 증가했다. 한국경제, 베트남, 내년 \'한국어\' 제1외국어 정식 교과로 채택할 듯
베트남에서는 내년부터 초등학교 3학년부터 가르치는 외국어인 한국어 교육 과정 설계를 지도하는 교육과정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제1외국어로 이에 발맞춰서 한국어교육방식에도 한국어 학습자들의 학습욕구에 발맞춘 추가 구성 강의에 대해 고민이 필요한 실정임을 고민해 본다. 한국어에 담긴 우리 국민의 자긍심과 한국 문화의 아름다운 정서를 전 세계에 적극적으로 알려 나갈 수 있을 기회를 잡을 때가 왔다.
참고자료 및 참고문헌
-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원 교육기관 자료
https://kteacher.korean.go.kr/noti6/noti61/_/D_list.do
-민현식, “한국어교육을 위한 문법 기반 언어 기능의 통합 교육과정 구조화 방법론 연구
A Study on the Methodology of Design for the grammar-based skill-integrated curriculum in KSL”,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8, p263~268.
-윤여탁, “문학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법”,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999, p240~242.
-김윤숙, “한국어 문화교육에서의 미디어의 유용성과 활용 방안 연구 : 유튜브 \'영국남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sefulness and utilization of media in Korean culture education: Focused on YouTube‘Korean English man’”, 광주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p3, p44.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한국어, ‘신한류’로 세계에 확산한다’
https://www.mcst.go.kr/kor/s_notice/press/pressView.jsp?pSeq=18256
  • 가격3,7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2.08.08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64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