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도입
2) 제시
3) 연습
4) 사용
5) 마무리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도입
2) 제시
3) 연습
4) 사용
5) 마무리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바람이 많이 불었어요. 그래서 감기에 걸렸어요
-> 불어서
2. 날씨가 좋아요. 그래서 산책을 했어요
-> 좋아서
3. 저는 빵을 좋아해요. 그리고 떡도 좋아해요
-> 좋아하고,
3) 연습
연습
교수-학습활동
단어카드를 통해 ‘-아서, -어서, -고’에 대해 연습해볼게요
늦다
먹다
춥다
쉽다
많다
덥다
오다
바쁘다
피곤하다
어렵다
늦어서 지각을 했어요.
먹어서 배가 불렀어요
추워서 감기에 걸렸어요
쉬워서 빨리 끝났어요
많아서 힘들었어요
덥고 땀이 났어요
친구가 놀러 와서 같이 놀았어요
바빠서 밥을 굶었어요
피곤해서 집에 일찍 갔어요
어려워서 많이 틀렸어요
4) 사용
사용
교수-학습활동
제시한 문장을 아서 혹은 어서를 활용해 완성해보세요.
(보기) 피곤했어요
-> 피곤해서 일찍 잤어요 -> 일찍 자서 힘이 났어요 -> 힘이 나서 아침에 운동을 했어요 -> 운동을 해서 기분이 좋았어요
1. 아침에 늦게 일어났어요.
->
2. 배가 고팠어요
->
5) 마무리
마무리
교수-학습활동
오늘은 문장을 연결하는 방법에서 순서의 의미로 연결하는
-고, -아/어서를 배웠어요.
아침을 먹고 학교에 갔다.
아침에 일어나 학교에 갔다.
이렇게 쓸 수 있어요.
어려울 수 있지만 연습 문제를 풀어오세요
김치가 맛있어요. 김치를 좋아해요.
->
머리가 아파요. 병원에 갔어요.
->
밥을 많이 먹어요. 배가 불러요.
->
4. 친구와 여행을 갔어요. 기분이 좋았어요.
->
3. 결론
짧은 문장을 하나로 연결하면 전체적인 글의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적절한 연결어미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잘못된 연결어미로 인해 글의 흐름이 부자연스럽거나 글의 내용이 왜곡될 수 있기 때문이다. 사건이 시간의 순서대로 일어나므로 연결어미를 잘못 사용하면 문장의 의미 전체를 잘못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어미에 대해 제대로 이해함으로써 짧은 문장이 잇따라 나올 때 대등하거나 인과관계가 있을 때 한 문장으로 연결해 읽고 이해하기 쉽게 만들 수 있어야 한다.
4. 참고문헌
1) 남기춘(Ki Chun Nam),김현정(Hyun Jeong Kim),박창수(Chang Soo Park),황유미(Yu Mi Whang), 김영태(Young Tae Kim),and 심현섭(Hyun Sub Sim). \"연결어미가 글 이해와 기억에 미치는 효과.\"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9.3 (2004): 51-71.
-> 불어서
2. 날씨가 좋아요. 그래서 산책을 했어요
-> 좋아서
3. 저는 빵을 좋아해요. 그리고 떡도 좋아해요
-> 좋아하고,
3) 연습
연습
교수-학습활동
단어카드를 통해 ‘-아서, -어서, -고’에 대해 연습해볼게요
늦다
먹다
춥다
쉽다
많다
덥다
오다
바쁘다
피곤하다
어렵다
늦어서 지각을 했어요.
먹어서 배가 불렀어요
추워서 감기에 걸렸어요
쉬워서 빨리 끝났어요
많아서 힘들었어요
덥고 땀이 났어요
친구가 놀러 와서 같이 놀았어요
바빠서 밥을 굶었어요
피곤해서 집에 일찍 갔어요
어려워서 많이 틀렸어요
4) 사용
사용
교수-학습활동
제시한 문장을 아서 혹은 어서를 활용해 완성해보세요.
(보기) 피곤했어요
-> 피곤해서 일찍 잤어요 -> 일찍 자서 힘이 났어요 -> 힘이 나서 아침에 운동을 했어요 -> 운동을 해서 기분이 좋았어요
1. 아침에 늦게 일어났어요.
->
2. 배가 고팠어요
->
5) 마무리
마무리
교수-학습활동
오늘은 문장을 연결하는 방법에서 순서의 의미로 연결하는
-고, -아/어서를 배웠어요.
아침을 먹고 학교에 갔다.
아침에 일어나 학교에 갔다.
이렇게 쓸 수 있어요.
어려울 수 있지만 연습 문제를 풀어오세요
김치가 맛있어요. 김치를 좋아해요.
->
머리가 아파요. 병원에 갔어요.
->
밥을 많이 먹어요. 배가 불러요.
->
4. 친구와 여행을 갔어요. 기분이 좋았어요.
->
3. 결론
짧은 문장을 하나로 연결하면 전체적인 글의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적절한 연결어미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잘못된 연결어미로 인해 글의 흐름이 부자연스럽거나 글의 내용이 왜곡될 수 있기 때문이다. 사건이 시간의 순서대로 일어나므로 연결어미를 잘못 사용하면 문장의 의미 전체를 잘못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어미에 대해 제대로 이해함으로써 짧은 문장이 잇따라 나올 때 대등하거나 인과관계가 있을 때 한 문장으로 연결해 읽고 이해하기 쉽게 만들 수 있어야 한다.
4. 참고문헌
1) 남기춘(Ki Chun Nam),김현정(Hyun Jeong Kim),박창수(Chang Soo Park),황유미(Yu Mi Whang), 김영태(Young Tae Kim),and 심현섭(Hyun Sub Sim). \"연결어미가 글 이해와 기억에 미치는 효과.\"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9.3 (2004): 51-71.
추천자료
어휘력 평가의 실제- 어휘력 평가의 목표 체계,어휘력의 내용
한국어문법교육론_ 비격식체 종결어미의 선행 교수
외국어로서의한국어어휘교육론-속담을 한 개 선정하여 중급 학습자에게 교수하는 방안(제시 ...
[한국어 문법 교육론]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연결어미 교수방안 연구 ‘-고’와 ‘-아서-어서’를...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 각 문법 표현에 대해 어떤 의미·형태통사·...
[한국어교육학개론 4학년 공통] 문법 교수 모형 중 PPP 모형과 TTT 모형을 설명하시오
(한국어교육학개론 4) 문법 교수 모형 중 PPP 모형과 TTT 모형을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