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혁신에 대한 경영자 사고의 일반적 오류를 Davila, Hamel & Getz, Sawhney 등의 견해를 바탕으로 들어 설명하시오.
2. (Technology) Invnetion과 Business Innovation의 차별점을 제시하고 Business Innovation을 Sawhney 등의 견해를 인용하여 정의하시오.
3. Tidd & Bessant의 4P 프레임웍을 정의하고, 4P 각각의 혁신 사례를 점진적과 급진적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시오.
4. Killey 등이 제시한 ‘The ten types of innovation’의 구성요소 10가지 요인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혁신이 10가지 요인의 복합적 연계성을 갖는 것을 사례(예: Ford T Model)를 들어 설명하시오.
5. Sawhney의 기업혁신 12가지 유형(혁신 레이더 프레임웍)을 예를 들어 제시하시오.
6. Tukker(2004)의 Product Service System의 8가지 모델을 예를 들어 제시하시오.
7. Customer Benefit Package의 구성 요소를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8. Henderson & Clark의 Architectural 혁신 매트릭스를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9. Bettencourt & Ulwick (2008)의 고객관점혁신지도(Customer centered innovation map)의 구성 요소를 예를 들어 제시하시오.
10. Berry 등 (2006)의 서비스 혁신 모델의 4 가지 유형과 서비스 혁신 모델의 9가지 동인(driver)를 예를 들어 제시하시오.
11. Gourville (2006)이 제시한 9X Effect (9배 효과)를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12. Gourville (2006)이 설명한 Endowment effect와 Status Quo Bias를 설명하고 신제품(서비스)가 이를 극복할 수 있는 6가지 방안을 예를 들어 제시하시오.
13. 오퍼레이션(프로세스) 혁신 사례를 월마트와 프로그레시브 보험 사, Amazon 등을 참조하여 제시시오.
14. Hammer가 제시한 프로세스 혁신 유형을 7가지 아이디어 원칙을 바탕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15. Afuah & Tucci (2001)이 제시한 Business Model 구성요소(component)를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16. Afuah(2014)의 Business Model 설계를 위한 BM Canvas 프레임웍과 수익성 평가 VARIM 프레임웍을 예를 들어 제시하시오.
17. Amit & Zott가 Business Model의 차별화 가치 요인으로 제시한 4가지 요인을 예를 들어 제시하시오.
18. Osterwalder & Pigneur (2010)의 Business Model Canvas 프레임웍의 9 block을 예를 들어 제시하시오.
19.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 성공 요인을 3 가지 차원으로 분리하여 각각 제시하시오.
20. Stage-gate 시스템의 단계를 Idea Vault or Bank를 포함하여 제시하시오
2. (Technology) Invnetion과 Business Innovation의 차별점을 제시하고 Business Innovation을 Sawhney 등의 견해를 인용하여 정의하시오.
3. Tidd & Bessant의 4P 프레임웍을 정의하고, 4P 각각의 혁신 사례를 점진적과 급진적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시오.
4. Killey 등이 제시한 ‘The ten types of innovation’의 구성요소 10가지 요인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혁신이 10가지 요인의 복합적 연계성을 갖는 것을 사례(예: Ford T Model)를 들어 설명하시오.
5. Sawhney의 기업혁신 12가지 유형(혁신 레이더 프레임웍)을 예를 들어 제시하시오.
6. Tukker(2004)의 Product Service System의 8가지 모델을 예를 들어 제시하시오.
7. Customer Benefit Package의 구성 요소를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8. Henderson & Clark의 Architectural 혁신 매트릭스를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9. Bettencourt & Ulwick (2008)의 고객관점혁신지도(Customer centered innovation map)의 구성 요소를 예를 들어 제시하시오.
10. Berry 등 (2006)의 서비스 혁신 모델의 4 가지 유형과 서비스 혁신 모델의 9가지 동인(driver)를 예를 들어 제시하시오.
11. Gourville (2006)이 제시한 9X Effect (9배 효과)를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12. Gourville (2006)이 설명한 Endowment effect와 Status Quo Bias를 설명하고 신제품(서비스)가 이를 극복할 수 있는 6가지 방안을 예를 들어 제시하시오.
13. 오퍼레이션(프로세스) 혁신 사례를 월마트와 프로그레시브 보험 사, Amazon 등을 참조하여 제시시오.
14. Hammer가 제시한 프로세스 혁신 유형을 7가지 아이디어 원칙을 바탕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15. Afuah & Tucci (2001)이 제시한 Business Model 구성요소(component)를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16. Afuah(2014)의 Business Model 설계를 위한 BM Canvas 프레임웍과 수익성 평가 VARIM 프레임웍을 예를 들어 제시하시오.
17. Amit & Zott가 Business Model의 차별화 가치 요인으로 제시한 4가지 요인을 예를 들어 제시하시오.
18. Osterwalder & Pigneur (2010)의 Business Model Canvas 프레임웍의 9 block을 예를 들어 제시하시오.
19.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 성공 요인을 3 가지 차원으로 분리하여 각각 제시하시오.
20. Stage-gate 시스템의 단계를 Idea Vault or Bank를 포함하여 제시하시오
본문내용
구조를 확립하라. 아홉째, 아이디어를 발굴하는 사람과 이를 사업화하는 사람들을 연결시켜라. 열째, 신제품을 더 빨리, 더 저렴하게 개발하는 것도 혁신이다. 열한째, 고객 커뮤니티와 동행하라. 열두째, 창의적인 사람들의 반감을 사지 마라. 이러한 혁신의 대표적인 예시가 스타벅스이다. 스타벅스는 새로운 상품의 창출을 통하여 혁신을 이룬 것이 아니라 고객에게 제3의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고객경험을 창출한다는 혁신을 이루었다. 이는 기존 커피전문점이 가지고 있는 게임의 룰을 달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6. Tukker(2004)는 Product Service System에 대하여 무엇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지에 따라서 세 가지 분류를 하였으며, 그것을 다시 여덟 가지로 세분화하였다. Product Service System은 제품지향서비스, 사용지향서비스, 결과지향서비스의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제품 지향적 서비스는 기존 제품의 판매에서 서비스의 기능을 추가하는 것으로 테슬라에서 자체 보험을 같이 제공하는 것을 예시로 들 수 있다. 세부적으로 첫째, Product related, 둘째, Advice and consultancy가 있다. 사용 지향적 서비스는 다수가 하나의 제품을 공유하는 것으로 우버나 에어비엔비가 대표적 예시이다. 셋째, Product release, 넷째 Product renting/sharing, 다섯째 Product pooling이 있다. 마지막으로 결과 지향적 서비스는 제품을 통해 서비스를 판매하는 것으로 정수기 에어컨 등의 홈케어 서비스가 있다. 여섯째 Activity management, 일곱째 Pay per service unit, 여덟째 Functional result가 있다.
7. Customer Benefit Package는 기본 제품과 함께 추가 상품 및 서비스가 조합된 것을 의미한다. 이때 주요 제품은 고객의 기본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핵심 제품이며, 이 1차 제품에 가치를 더하는 상품 및 서비스가 주변상품 및 서비스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패스트푸드 산업에서 주 음식이 1차 제품이 된다면, 유아용 식사의 일부로 제공될 수 있는 장난감 및 어린이가 놀 수 있는 놀이 공간이 각각 주변 제품과 주변 서비스에 해당한다. A.Tukker, “Eight types of product-service system”, Economics, 2004, 최종접속일 20.12.09.
8. Henderson & Clark은 혁신이 기업에 있어서 부품의 지식 및 구조적인 지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이를 점진적 혁신, 구조적 혁신, 모듈방어 혁신, 급진적 혁신으로 분류하였다. 이때 구조적 혁신은 기존 기술을 기본으로 그 활용을 통해 새로운 시장에서의 혁신을 시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품은 신시장을 개척하기 위하여 이미 가지고 있는 구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캐논에서 복사기를 재설계하여 제품의 안정성을 높이고 카트리지에 높은 가격을 부과한 모델이 예시가 될 수 있다.
9. 고객중심혁신지도는 고객의 수행 작업에 무엇이 필요하고 어떤 제품을 구입해야 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으로 제품의 장단점 및 고객에 대한 지원 기회를 파악하고자 하는 모델을 의미한다. 이는 8가지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각 단계와 예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규 및 리뉴얼 작업을 할 수 있는 “정의”. 둘째, 자금을 확보하고 인테리어 준비를 하는 “배치”, 셋째, 창업 장소를 선택하고 그에 필요한 시설물을 준비하는 “준비”, 넷째, 대외 및 대내의 준비 상태를 점검하는 “점검”, 다섯째, 창업에 대한 작업을 진행하는 “실행”, 여섯째, 작업상태 및 경영자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는 “모니터링”, 일곱째, 비상상황에 대한 조치 및 필요시 재수정을 이루는 “변경”, 마지막으로 샵을 완성시키는 “완료”단계이다.
10. Berry는 서비스 혁신 모델을 서비스가 나누어질 수 있는지, 그리고 그 이익의 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유형으로 선별하였다. 첫째, Felxible solution모델로는 eBay나 CNN이 있으며, 둘째, Controllable Convenience로는 Google, Netflix가 있고, 셋째, Comfortable Gains로 Starbucks가 있으며 마지막 Respectful Access로 Southwest Airlines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모델의 9가지 동인으로는 첫째, 확장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 둘
6. Tukker(2004)는 Product Service System에 대하여 무엇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지에 따라서 세 가지 분류를 하였으며, 그것을 다시 여덟 가지로 세분화하였다. Product Service System은 제품지향서비스, 사용지향서비스, 결과지향서비스의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제품 지향적 서비스는 기존 제품의 판매에서 서비스의 기능을 추가하는 것으로 테슬라에서 자체 보험을 같이 제공하는 것을 예시로 들 수 있다. 세부적으로 첫째, Product related, 둘째, Advice and consultancy가 있다. 사용 지향적 서비스는 다수가 하나의 제품을 공유하는 것으로 우버나 에어비엔비가 대표적 예시이다. 셋째, Product release, 넷째 Product renting/sharing, 다섯째 Product pooling이 있다. 마지막으로 결과 지향적 서비스는 제품을 통해 서비스를 판매하는 것으로 정수기 에어컨 등의 홈케어 서비스가 있다. 여섯째 Activity management, 일곱째 Pay per service unit, 여덟째 Functional result가 있다.
7. Customer Benefit Package는 기본 제품과 함께 추가 상품 및 서비스가 조합된 것을 의미한다. 이때 주요 제품은 고객의 기본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핵심 제품이며, 이 1차 제품에 가치를 더하는 상품 및 서비스가 주변상품 및 서비스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패스트푸드 산업에서 주 음식이 1차 제품이 된다면, 유아용 식사의 일부로 제공될 수 있는 장난감 및 어린이가 놀 수 있는 놀이 공간이 각각 주변 제품과 주변 서비스에 해당한다. A.Tukker, “Eight types of product-service system”, Economics, 2004, 최종접속일 20.12.09.
8. Henderson & Clark은 혁신이 기업에 있어서 부품의 지식 및 구조적인 지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이를 점진적 혁신, 구조적 혁신, 모듈방어 혁신, 급진적 혁신으로 분류하였다. 이때 구조적 혁신은 기존 기술을 기본으로 그 활용을 통해 새로운 시장에서의 혁신을 시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품은 신시장을 개척하기 위하여 이미 가지고 있는 구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캐논에서 복사기를 재설계하여 제품의 안정성을 높이고 카트리지에 높은 가격을 부과한 모델이 예시가 될 수 있다.
9. 고객중심혁신지도는 고객의 수행 작업에 무엇이 필요하고 어떤 제품을 구입해야 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으로 제품의 장단점 및 고객에 대한 지원 기회를 파악하고자 하는 모델을 의미한다. 이는 8가지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각 단계와 예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규 및 리뉴얼 작업을 할 수 있는 “정의”. 둘째, 자금을 확보하고 인테리어 준비를 하는 “배치”, 셋째, 창업 장소를 선택하고 그에 필요한 시설물을 준비하는 “준비”, 넷째, 대외 및 대내의 준비 상태를 점검하는 “점검”, 다섯째, 창업에 대한 작업을 진행하는 “실행”, 여섯째, 작업상태 및 경영자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는 “모니터링”, 일곱째, 비상상황에 대한 조치 및 필요시 재수정을 이루는 “변경”, 마지막으로 샵을 완성시키는 “완료”단계이다.
10. Berry는 서비스 혁신 모델을 서비스가 나누어질 수 있는지, 그리고 그 이익의 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유형으로 선별하였다. 첫째, Felxible solution모델로는 eBay나 CNN이 있으며, 둘째, Controllable Convenience로는 Google, Netflix가 있고, 셋째, Comfortable Gains로 Starbucks가 있으며 마지막 Respectful Access로 Southwest Airlines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모델의 9가지 동인으로는 첫째, 확장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 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