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생애주기영양학
1, 2번 문항 모두에 대해 답안을 작성하시오.
1.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 설정된 나트륨의 목표섭취량(intake goal)에 대해 설명하고 ‘2019 국민건강통계’를 참고하여 최근 (2019년) 만 9세 이상에서의 ‘나트륨 목표섭취량 이상 섭취자 분율’을 생애주기 시기별로 나누어 제시하시오.
2.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 설정된 ‘만성질환 위험감소를 위한 섭취기준(CDRR, Chronic Disease Risk Reduction intake)’이 무엇인지 설명하고 나트륨의 ‘만성질환위험감소섭취량‘을 생애주기 시기별로 나누어 제시하시오.
1. 나트륨의 목표섭취량과 생애주기별 나트륨 목표섭취량 이상 섭취자 분율
2. 만성질환 위험감소를 위한 섭취기준과 생애주기별 나트륨의 만성질환 위험감소 섭취량
1, 2번 문항 모두에 대해 답안을 작성하시오.
1.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 설정된 나트륨의 목표섭취량(intake goal)에 대해 설명하고 ‘2019 국민건강통계’를 참고하여 최근 (2019년) 만 9세 이상에서의 ‘나트륨 목표섭취량 이상 섭취자 분율’을 생애주기 시기별로 나누어 제시하시오.
2.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 설정된 ‘만성질환 위험감소를 위한 섭취기준(CDRR, Chronic Disease Risk Reduction intake)’이 무엇인지 설명하고 나트륨의 ‘만성질환위험감소섭취량‘을 생애주기 시기별로 나누어 제시하시오.
1. 나트륨의 목표섭취량과 생애주기별 나트륨 목표섭취량 이상 섭취자 분율
2. 만성질환 위험감소를 위한 섭취기준과 생애주기별 나트륨의 만성질환 위험감소 섭취량
본문내용
볼 수 있다.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는 9-11세의 아동의 평균 나트륨 섭취량에서 만성질환 위험감소를 위한 섭취기준 이상으로 섭취하는 비율이 남자 68.7%, 여자 56.6%로 나타났고, 12-14세 남자 80.3%, 여자 60.7%, 15-18세 남자 77.4%, 여자 59.5%의 비율로 섭취기준 이상으로 섭취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한다. 대부분의 성인 역시 섭취기준 이상으로 나트륨을 섭취하고 있었다. 남녀 각각 19-29세 82.6%와 61.0%, 30-49세 89.5%와 70.5%, 50-64세 85.4%와 61.4%의 만성질환 위험감소를 위한 섭취기준 이상으로 섭취하는 분율을 보였다. 이러한 섭취기준 이상 분율은 노년기에서도 마찬가지인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노년기 65-74세 남녀는 82.2%와 63.6%의 분율을 보였고, 75세 이상에서 79.6%와 56.5%의 분율을 보이며 기존의 나트륨 목표섭취량처럼 높은 분율의 만성질환 위험감소를 위한 섭취기준 이상 섭취 분율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2020년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는 나트륨에 대한 목표섭취량을 제시하지 않고 있는데 이는 만성질환 위험감소를 위한 섭취기준이 기존의 목표섭취량의 개념과 유사한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WHO에서 제공하는 일일 나트륨 권고량 2,000mg의 나트륨 목표섭취량은 우리나라에서 현실적으로 실현하기 매우 어려운 기준이며, 인구집단별 식습관과 식문화를 고려한 새로운 기준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있었으며, 이에 우리나라의 식습관과 현실을 고려하여 한국인의 나트륨 섭취기준으로 만성질환 위험감소를 위한 나트륨 섭취기준은 형성하였다고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2020년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무기질). 보건복지부. 한국영양학회
http://www.kns.or.kr/FileRoom/FileRoom_view.asp?idx=108&BoardID=Kdr
2019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1차년도. 보건복지부. 질병관리청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3.do?classType=7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37356&page=1
참고문헌 항목에 제공된 자료 참고
2020년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는 나트륨에 대한 목표섭취량을 제시하지 않고 있는데 이는 만성질환 위험감소를 위한 섭취기준이 기존의 목표섭취량의 개념과 유사한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WHO에서 제공하는 일일 나트륨 권고량 2,000mg의 나트륨 목표섭취량은 우리나라에서 현실적으로 실현하기 매우 어려운 기준이며, 인구집단별 식습관과 식문화를 고려한 새로운 기준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있었으며, 이에 우리나라의 식습관과 현실을 고려하여 한국인의 나트륨 섭취기준으로 만성질환 위험감소를 위한 나트륨 섭취기준은 형성하였다고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2020년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무기질). 보건복지부. 한국영양학회
http://www.kns.or.kr/FileRoom/FileRoom_view.asp?idx=108&BoardID=Kdr
2019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1차년도. 보건복지부. 질병관리청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3.do?classType=7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37356&page=1
참고문헌 항목에 제공된 자료 참고
추천자료
요가운동이 정신과 입원환자의 변비완화에 미치는 효과
미숙아 자료, RDS , HMD
마음 챙김에 근거한 스트레스 감소 MBSR 과 당뇨병
(방송통신대 생애주기영양학 출처표기)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 설정된 나트륨의 목표...
2021년 1학기 생애주기영양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나트륨의 목표섭취량 등)
생애주기영양학 1, 2번 문항 모두에 대해 답안을 작성하시오
[방송통신대학교 2021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생애주기영양학(공통)
생애주기영양학 )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 설정된 나트륨의 목표섭취량(intake goal)...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