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문학의 배경 및 줄거리
2. 두 작품의 비교
3. 필자의 생각
Ⅲ 결론
Ⅳ 출처 및 참고문헌
Ⅱ 본론
1. 문학의 배경 및 줄거리
2. 두 작품의 비교
3. 필자의 생각
Ⅲ 결론
Ⅳ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함되는 신뢰와 인간관계의 중요성이지 않을까. 만약 내가 친구를 믿어서 돈을 빌려주거나 내가 가능한 만큼 도와주었는데 그 친구가 날 배신한다면? 또는 반대로 친구가 나를 믿고 해준 행동에 등을 돌릴 수 있는지 생각해 보는 부분이었다.
마지막으로 우리가 천국과 지옥을 믿는 사람도 있고 믿지 않는 사람도 있겠지만 이생규장전에서는 단순히 이승과 저승을 나누어 보았지만, 사랑과 영혼에서는 이승과 저승, 그리고 저승을 천국과 지옥으로 나눈다. 그래서 친구에게 죽임을 당했던 샘은 천국으로, 친구를 죽이고 돈과 여자를 차지하려던 샘의 친구는 지옥으로 끌려가는 모습이 있다. 우리나라 문학 중 홍길동과 같은 소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권선징악\"의 모습이 보인다.
3. 필자의 생각
현대에 들어서서 우리는 다양한 사랑 이야기를 접하게 된다. 특히 신분을 뛰어넘는 로맨스라던가 또는 인간이 아닌 다른 존재와 사랑을 나누는 등의 다양한 이야기가 드라마와 소설로 만들어지고 있다. 그래서 이번에 접한 “이생규장전”과 “사랑과 영혼”은 또 색다르게 느껴지는 작품이었다. “사랑과 영혼”은 최근 TV를 통해 접한 경험이 있어 아, 90년대의 영화는 이런 각본을 가지고 보여주기도 하는구나, 영혼이라는 신선한 소재로 재미를 주고, 감동을 주고, 새로운 관점의 영혼의 모습을 보여준다는 것을 알았다. 그러나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한 “이생규장전”은 나에게 충격을 안겨주었다. 조선 시대의 사랑 이야기, 그런데 영혼과 직접 대화까지 하면서 사랑을 할 수 있다는 것이 과연 그 시대에 얼마나 엄청난 일인지. 사람들이 이 이야기를 읽고 얼마나 새로운 관점에서 눈을 떴을까, 라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그래서 이 두 작품을 비교하면서 깨달은 사실이 많았다. 작품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역시 사회적 배경이었고, 두 번째는 그 당시에도 여성의 지위와 적극적인 여성상을 그릴 수 있었다는 점. 여전히 사회에서 여성을 바라보는 시선이나 지위는 노력하는 중이지만, 그 당시에는 얼마나 더 심했을까. 여성의 적극적인 행동과 당당한 모습이 너무도 보기 좋았고, 이런 모습을 지금도 더 많이 작품을 통해 알려, 여전히 여성을 향해 부정적인 국가, 보수적인 틀에 박힌 사람의 인식을 변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Ⅲ 결론
이렇게 이생규장전과 사랑과 영혼의 전반적인 줄거리와 배경, 그리고 두 작품을 비교하면서 필자의 생각과 함께 서술하였다. 작품이 출현한 시기는 조선 시대와 90년대, 동양과 서양이라는 문화의 차이를 모두 가지고 있었지만, 남녀 간의 사랑이라는 공통적인 주제를 가지고 있고, 그 외에도 “사랑”으로 느끼는 감정은 모두 같다고 생각했다. 나는 “사랑”이 사람을 존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본다. 물론 모든 사람이 사랑하는 감정을 가져야 함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이 작품에서 나오는 남녀의 사랑 외에도 다양한 사랑의 종류가 있다는 것이다. 가족을 사랑하는 마음도 하나일 것이고, 친구를 생각하는 마음, 누군가를 소중히 여기고 싶은 마음을 모두 포괄하는 것이 “사랑”이라는 것이 아닐까.
단지 이 사랑의 과정을 표현하는 것에 시대적인 배경과 상황의 어려움, 가치관의 차이가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 과정은 앞으로 나아가는 미래의 모습에 차별이 없고, 평등한 모습으로 우리의 삶에 함께할 것이라고 필자는 생각한다.
Ⅳ 출처 및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사전, 이생규장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4643
안창수, <이생규장전>에 나타난 사랑의 사회적 조건과 작가의식, 2016, vol., no.73, pp. 437-477 (41 pages)
영화 “사랑과 영혼”
마지막으로 우리가 천국과 지옥을 믿는 사람도 있고 믿지 않는 사람도 있겠지만 이생규장전에서는 단순히 이승과 저승을 나누어 보았지만, 사랑과 영혼에서는 이승과 저승, 그리고 저승을 천국과 지옥으로 나눈다. 그래서 친구에게 죽임을 당했던 샘은 천국으로, 친구를 죽이고 돈과 여자를 차지하려던 샘의 친구는 지옥으로 끌려가는 모습이 있다. 우리나라 문학 중 홍길동과 같은 소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권선징악\"의 모습이 보인다.
3. 필자의 생각
현대에 들어서서 우리는 다양한 사랑 이야기를 접하게 된다. 특히 신분을 뛰어넘는 로맨스라던가 또는 인간이 아닌 다른 존재와 사랑을 나누는 등의 다양한 이야기가 드라마와 소설로 만들어지고 있다. 그래서 이번에 접한 “이생규장전”과 “사랑과 영혼”은 또 색다르게 느껴지는 작품이었다. “사랑과 영혼”은 최근 TV를 통해 접한 경험이 있어 아, 90년대의 영화는 이런 각본을 가지고 보여주기도 하는구나, 영혼이라는 신선한 소재로 재미를 주고, 감동을 주고, 새로운 관점의 영혼의 모습을 보여준다는 것을 알았다. 그러나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한 “이생규장전”은 나에게 충격을 안겨주었다. 조선 시대의 사랑 이야기, 그런데 영혼과 직접 대화까지 하면서 사랑을 할 수 있다는 것이 과연 그 시대에 얼마나 엄청난 일인지. 사람들이 이 이야기를 읽고 얼마나 새로운 관점에서 눈을 떴을까, 라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그래서 이 두 작품을 비교하면서 깨달은 사실이 많았다. 작품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역시 사회적 배경이었고, 두 번째는 그 당시에도 여성의 지위와 적극적인 여성상을 그릴 수 있었다는 점. 여전히 사회에서 여성을 바라보는 시선이나 지위는 노력하는 중이지만, 그 당시에는 얼마나 더 심했을까. 여성의 적극적인 행동과 당당한 모습이 너무도 보기 좋았고, 이런 모습을 지금도 더 많이 작품을 통해 알려, 여전히 여성을 향해 부정적인 국가, 보수적인 틀에 박힌 사람의 인식을 변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Ⅲ 결론
이렇게 이생규장전과 사랑과 영혼의 전반적인 줄거리와 배경, 그리고 두 작품을 비교하면서 필자의 생각과 함께 서술하였다. 작품이 출현한 시기는 조선 시대와 90년대, 동양과 서양이라는 문화의 차이를 모두 가지고 있었지만, 남녀 간의 사랑이라는 공통적인 주제를 가지고 있고, 그 외에도 “사랑”으로 느끼는 감정은 모두 같다고 생각했다. 나는 “사랑”이 사람을 존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본다. 물론 모든 사람이 사랑하는 감정을 가져야 함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이 작품에서 나오는 남녀의 사랑 외에도 다양한 사랑의 종류가 있다는 것이다. 가족을 사랑하는 마음도 하나일 것이고, 친구를 생각하는 마음, 누군가를 소중히 여기고 싶은 마음을 모두 포괄하는 것이 “사랑”이라는 것이 아닐까.
단지 이 사랑의 과정을 표현하는 것에 시대적인 배경과 상황의 어려움, 가치관의 차이가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 과정은 앞으로 나아가는 미래의 모습에 차별이 없고, 평등한 모습으로 우리의 삶에 함께할 것이라고 필자는 생각한다.
Ⅳ 출처 및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사전, 이생규장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4643
안창수, <이생규장전>에 나타난 사랑의 사회적 조건과 작가의식, 2016, vol., no.73, pp. 437-477 (41 pages)
영화 “사랑과 영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