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잠재적 교육과정
1)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 및 의미
2) 잠재적 교육과정의 특징
3) 잠재적 교육과정의 효과
3. 유아교육에서의 적용
4. 결론
5. 출처 및 참고문헌
2. 잠재적 교육과정
1)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 및 의미
2) 잠재적 교육과정의 특징
3) 잠재적 교육과정의 효과
3. 유아교육에서의 적용
4. 결론
5.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학부모님들과 추가로 교육이 아닌 정규 교육 외의 학습을 추가적으로 행해주는 유치원이 존재한다. 그에 따르면 신체 활동 놀이 증진을 통해서 협동을 기를 수 있음을 알려준다. 본 목적은 신체 활동을 통한 체력 증진이지만, 잠재적 교육과정은 협동심 기르기임을 알 수 있다. 양옥승,and 김지현. \"유아교육에서의 잠재적 교육과정 탐구.\" 사회과학연구 10.- (2004): 184-201.
http://www.riss4u.net/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f000868c9c0aec7effe0bdc3ef48d419
위의 교육과정을 통하여 잠재적으로 어쩌면 인간 간의 신뢰 관계를 배우며, 우정의 좋은 방향과 긍정적인 협동심을 기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신체 활동을 통해 ‘체력을 증진함과 동시에 잠재적 교육과정을 활용함으로써 신체 활동을 통해서만 배울 수 있는 협동심’을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를 지닐 수 있는 적용방향이 될 것이다.
4. 결론
공식적 교육과정은 우리에게 총체적인 활동을 하게 함으로써 교육을 통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학습하도록 도와준다. 우리는 이의 틀 안에서 자라왔으며 교육과정의 목표를 차근차근히 이뤄간다. 그러나 학교를 포함한 많은 교육기관은 공식적인 교육과정에서 추구하고 있는 일 뿐만 아니라 더 큰 것을 배워갈 수 있는 공간이자 기회를 제공해준다. 그리고 그와 같이 우리는 교육에서 제공하는 틀에서 벗어나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
이러한 교육에서 배울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 그 밖의 것, 경험으로 배웠다고 기술하기조차도 광범위한 범위의 교육과정을 우리는 잠재적 교육과정이라고 부른다. ‘잠재적 교육과정’이란 표면적 교육과정에서 벗어나 경험을 포함해 학생들을 변화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의 요소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잠재적 교육과정을 통해 우리는 학생들의 내면에 있는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한 가지 간과하고 있는 점은 학생들의 변화가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 확정할 수 없다는 점이다. 이처럼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킬 수도 , 부정적인 변화를 일으킬 수도 있음을 전제로 하여 주의를 기울이며 잠재적 교육과정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우리는 학생이라는 아동부터 청소년기에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닌 유아를 대상으로 잠재적 교육과정을 적용해보았다. 이에 필자는 유아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며 잠재적 교육과정의 적용 방향에 대해 논의를 전개해보았다. 특히 필자는 잠재적 교육방향 중 ‘놀이’라는 이름을 포함한 역할극 놀이 등을 활용해 잠재적 교육과정의 긍정적 측면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주장했다. 또한 신체 활동을 통해 협동심이라는 긍정적 측면을 증진시키는 또 다른 방향이 존재함을 주장했다.
5. 출처 및 참고문헌
김정래. \"\'잠재적 교육과정\'과 교육이론.\" 교육철학연구 17.- (1997): 183-200. A Philosophical Analysis, 잠재적 교육과정 이론의 철학적 분석.
http://www.riss4u.net/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4be578ffd344e8c8
박채형(Chae-Hyeong Park). \"잭슨의 잠재적 교육과정과 그 이후.\" 道德敎育硏究 31.2 (2019): 163-185.
http://www.riss4u.net/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3621703b7eda195f7ecd42904f0c5d65
배지현 ( Ji Hyun Bae ). \"잠재적 교육과정의 재개념화를 위한 잠재적 교육과정 이론에 대한 평가.\" 교육과정연구 31.1 (2013): 1-27.
http://www.riss4u.net/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2491ebb9915f3943ffe0bdc3ef48d419
양옥승,and 김지현. \"유아교육에서의 잠재적 교육과정 탐구.\" 사회과학연구 10.- (2004): 184-201.
http://www.riss4u.net/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f000868c9c0aec7effe0bdc3ef48d419
http://www.riss4u.net/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f000868c9c0aec7effe0bdc3ef48d419
위의 교육과정을 통하여 잠재적으로 어쩌면 인간 간의 신뢰 관계를 배우며, 우정의 좋은 방향과 긍정적인 협동심을 기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신체 활동을 통해 ‘체력을 증진함과 동시에 잠재적 교육과정을 활용함으로써 신체 활동을 통해서만 배울 수 있는 협동심’을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를 지닐 수 있는 적용방향이 될 것이다.
4. 결론
공식적 교육과정은 우리에게 총체적인 활동을 하게 함으로써 교육을 통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학습하도록 도와준다. 우리는 이의 틀 안에서 자라왔으며 교육과정의 목표를 차근차근히 이뤄간다. 그러나 학교를 포함한 많은 교육기관은 공식적인 교육과정에서 추구하고 있는 일 뿐만 아니라 더 큰 것을 배워갈 수 있는 공간이자 기회를 제공해준다. 그리고 그와 같이 우리는 교육에서 제공하는 틀에서 벗어나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
이러한 교육에서 배울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 그 밖의 것, 경험으로 배웠다고 기술하기조차도 광범위한 범위의 교육과정을 우리는 잠재적 교육과정이라고 부른다. ‘잠재적 교육과정’이란 표면적 교육과정에서 벗어나 경험을 포함해 학생들을 변화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의 요소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잠재적 교육과정을 통해 우리는 학생들의 내면에 있는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한 가지 간과하고 있는 점은 학생들의 변화가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 확정할 수 없다는 점이다. 이처럼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킬 수도 , 부정적인 변화를 일으킬 수도 있음을 전제로 하여 주의를 기울이며 잠재적 교육과정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우리는 학생이라는 아동부터 청소년기에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닌 유아를 대상으로 잠재적 교육과정을 적용해보았다. 이에 필자는 유아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며 잠재적 교육과정의 적용 방향에 대해 논의를 전개해보았다. 특히 필자는 잠재적 교육방향 중 ‘놀이’라는 이름을 포함한 역할극 놀이 등을 활용해 잠재적 교육과정의 긍정적 측면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주장했다. 또한 신체 활동을 통해 협동심이라는 긍정적 측면을 증진시키는 또 다른 방향이 존재함을 주장했다.
5. 출처 및 참고문헌
김정래. \"\'잠재적 교육과정\'과 교육이론.\" 교육철학연구 17.- (1997): 183-200. A Philosophical Analysis, 잠재적 교육과정 이론의 철학적 분석.
http://www.riss4u.net/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4be578ffd344e8c8
박채형(Chae-Hyeong Park). \"잭슨의 잠재적 교육과정과 그 이후.\" 道德敎育硏究 31.2 (2019): 163-185.
http://www.riss4u.net/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3621703b7eda195f7ecd42904f0c5d65
배지현 ( Ji Hyun Bae ). \"잠재적 교육과정의 재개념화를 위한 잠재적 교육과정 이론에 대한 평가.\" 교육과정연구 31.1 (2013): 1-27.
http://www.riss4u.net/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2491ebb9915f3943ffe0bdc3ef48d419
양옥승,and 김지현. \"유아교육에서의 잠재적 교육과정 탐구.\" 사회과학연구 10.- (2004): 184-201.
http://www.riss4u.net/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f000868c9c0aec7effe0bdc3ef48d419
추천자료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과 로저스의 인간중심치료이론을 설명하고 인본주의 이론과 사회복지...
[2021 교육과정4A]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과 의미 등을 설명하고 이를 유아교육에 적용하는 ...
[2021 교육과정][4학년A형]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과 의미 등을 설명하고 이를 유아교육에 ...
[교육과정 4학년 A형]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과 의미 등을 설명하고 이를 유아교육에 적용하...
2021년 1학기 교육과정 중간시험과제물 A형(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과 의미)
(교육과정, A형)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과 의미 등을 설명하고 이를 유아교육에 적용하는 방...
교육과정A형 2021 교육과정A형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과 의미 등을 설명하고 이를 유아교육...
[교육과정 A형 2021]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과 의미 등을 설명하고 이를 유아교육에 적용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