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평가a ) 확률적 표집 개념과 방법을 설명 유아교육에서 실제로 반영 사례 1가지를 riss4u.net에서 찾아 그 제목을 참고문헌에 제시하고 확률적 표집이 실시된 내용(표집대상, 표집과정(혹은 절차) 등)을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평가a ) 확률적 표집 개념과 방법을 설명 유아교육에서 실제로 반영 사례 1가지를 riss4u.net에서 찾아 그 제목을 참고문헌에 제시하고 확률적 표집이 실시된 내용(표집대상, 표집과정(혹은 절차) 등)을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확률적 표집의 개념과 방법
2) 유아교육에서 실제 반영된 사례
3) 실제 사례 중 확률적 표집 대상, 표집과정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각각 조사됐다. 담임교사의 경우도 연령과 학력 그리고 경력을 조사했다.
연구대상 유아의 알반적 배경, 부모의 일반적 배경, 교사의 일반적 배경은 아래와 같다.
구분
빈도
백분율
유아
성별

149
49.3

153
50.7
출생순위
외동아
47
15.5
첫째아
102
33.8
둘째아
119
39.4
셋째아 이상
34
11.3
기관유형
유치원
159
52.7
어린이집
143
47.3
월령
평균
66.76
구분
빈도
백분율
어머니
연령
20-30세
17
5.6
31-40세
211
69.9
41세-50세
74
24.5
취업상태
전업주부
126
41.7
시간제
52
17.2
전일제
124
41.1
아버지
연령
20-30세
4
1.3
31-40세
153
50.7
41세-50세
135
44.7
50세 이상
10
3.3
취업상태
전일제
283
93.7
시간제
18
6.0
무직
1
0.3
구분
빈도
백분율
교사
연령
20-30세
13
46.4
31-40세
7
25.0
41세-50세
7
25.0
50세 이상
1
3.6
학력
2(3)년제 대졸
10
35.7
4년제 대졸
15
53.6
대학원졸
3
10.7
경력
3년 미만
3
10.7
3년이상-5년 미만
10
35.7
5년이상-10미만
6
21.4
10년 이상
9
32.2
302명의 설문지를 대상으로 유아에서 남자는 149명, 여자는 153명이고 출생순위는 둘째아, 첫째아, 외동아, 셋째아 이상이 각각 119명, 102명 47명, 34명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교육기관의 유형도 유치원이 159명 어린이집이 143명으로 각각 나타났으며 평균 월령이 66.76개월이다.
부모의 연령은 20세-30세가 17명, 31세-40세는 211명, 41세-50명은 74명이었고, 전일제 근무가 124명, 시간제는 52명이었다. 아버지는 20세-30세가 4명, 31세-40세는 153명, 41세-50세는 135명, 50세 이상은 10명으로 전일제 근무가 283명, 시간제 근무 18명, 무직 1명이었다.
교사의 경우 연령이 20-30세가 13명, 31세-40명 7명, 41세-50세 7명, 50세 이상은 1명으로 나타났으며 학력에서는 2(3)년제 졸업자가 10명, 4년제 대졸업자는 15명, 대학원 졸업자는 3명이었다. 경력에서는 3년 미만이 3명, 3년이상-5년미만이 10명, 5년이상-10년미만이 6명, 10년 이상은 9명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표집 대상이 특별한 선정 기준에 의해 선정되지 않고 무작위로 표집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3. 결론
우리가 많은 연구에서 표본조사를 선호하는 것은 인적, 물적 자원의 절감으로 상대적으로 경제적일 수 있다는 것과 신속하면서 정확하게 조사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전체 조사 시에 오랫동안 연구가 진행되면서 연구 대상에 타 요인의 개입의 여지가 커지지만 표본 조사는 전수 조사에 비해서도 양질의 자료를 얻기에 유용한 방법이다. 이러한 표본조사의 경우 표집 절차에 따라 적절한 표집의 유형을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표집을 위해 표본 오차가 적은 표본을 선택해야하고, 대표성이 높은 표집을 활용하여 연구에 적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표집과 관련한 다양한 유형 중 확률표집은 확률 이론에 근거를 두고 표본을 선발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표집 방법이 존재한다. 어떤 방법이 모집단을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선정함으로써 연구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상을 선택할 때 체계적이며 구조화되어 대상의 선택 기회는 동일하게 만들고,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임으로써 연구 결과가 일반화될 수 있도록 한다.
유아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연구들에서는 이러한 확률적 표집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연구자가 원하는 결과를 객관적인 증거로 보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잘못된 표집방법을 적용할 경우 표본 오차가 크게 벌어지거나, 잘못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으므로 가장 적합한 방법을 찾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추출된 표본이 적합하지 않으면 표집방법이 아무리 이론적으로 훌륭하다고 하더라도, 결과적으로는 소용없는 것이 될 수 있으므로 표집법의 적합성을 볼 때 표본의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는지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
4. 참고문헌
1) 김진영. \"유아의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광주
http://www.riss.kr/link?id=T15511405
  • 가격3,7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2.08.11
  • 저작시기2022.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78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