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성음식의 특징
2. 대표 음식 3가지
(1) 교자(餃子), 편수
(2) 보쌈김치
(3) 떡
출처
2. 대표 음식 3가지
(1) 교자(餃子), 편수
(2) 보쌈김치
(3) 떡
출처
본문내용
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며 언뜻 보기에 팥죽에 든 새알심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주악이라는 이름의 떡은, 현재까지는 잘 전해져 내려오지 않는 전통음식의 일종이지만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대추, 밤, 팥 등의 다양한 소를 넣고 송편 모양으로 빚은 다음 기름에 지져 먹는 음식이다. 막걸리로 반죽한 후 도넛처럼 가운데에 동그랗게 구멍을 뚫는데 완성된 모습이 화과자처럼 동그랗고 예쁜 것이 특징이다. 꿀이나 조청을 발라 마무리하여 매우 단 맛이 나며, 큰 의식 상을 차릴 때 시루떡과 같은 단조로운 떡 위에 얹어서 사용하는 웃기떡으로 이용되었다. 개성 지방에서 주로 만들어 먹었기 때문에 개성 주악이라고 불리며, 귀한 손님이 왔을 때나 폐백, 이바지 음식 등으로 만들어 사용했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장떡이 있다. 장떡은 된장이나 고추장 종류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떡’과는 결이 다른 지점이 있지만 동글납작하게 빚어 찌거나 기름에 지져 먹기 때문에 떡 종류로 분류해도 무리가 없을 듯 하다. 1984년에 정리되어 발간된 ‘한국민속종합조사 보고서’에서는 향토음식편에서 장떡을 개성의 향토음식으로 소개하였는데, 개성 지방에서는 장떡을 ‘장땡이’라는 이름으로 부른다. 된장, 고추장에 찹쌀가루와 다진 소고기 등을 넣어 버무린 반죽을 지져 먹는다. 이는 현재 한반도 남쪽의 여러 식당에서도 맛볼 수 있는 음식인데, 밑반찬으로 많이 나오며 김치전과 비슷한 색과 모양을 띤다. 개성 풍습 중에는 봄에 장을 담가 40일이 지나면 메주를 건져내고, 소금을 섞지 않은 상태로 따로 덜어 장땡이를 만드는 풍습이 있다고 한다.
주악이라는 이름의 떡은, 현재까지는 잘 전해져 내려오지 않는 전통음식의 일종이지만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대추, 밤, 팥 등의 다양한 소를 넣고 송편 모양으로 빚은 다음 기름에 지져 먹는 음식이다. 막걸리로 반죽한 후 도넛처럼 가운데에 동그랗게 구멍을 뚫는데 완성된 모습이 화과자처럼 동그랗고 예쁜 것이 특징이다. 꿀이나 조청을 발라 마무리하여 매우 단 맛이 나며, 큰 의식 상을 차릴 때 시루떡과 같은 단조로운 떡 위에 얹어서 사용하는 웃기떡으로 이용되었다. 개성 지방에서 주로 만들어 먹었기 때문에 개성 주악이라고 불리며, 귀한 손님이 왔을 때나 폐백, 이바지 음식 등으로 만들어 사용했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장떡이 있다. 장떡은 된장이나 고추장 종류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떡’과는 결이 다른 지점이 있지만 동글납작하게 빚어 찌거나 기름에 지져 먹기 때문에 떡 종류로 분류해도 무리가 없을 듯 하다. 1984년에 정리되어 발간된 ‘한국민속종합조사 보고서’에서는 향토음식편에서 장떡을 개성의 향토음식으로 소개하였는데, 개성 지방에서는 장떡을 ‘장땡이’라는 이름으로 부른다. 된장, 고추장에 찹쌀가루와 다진 소고기 등을 넣어 버무린 반죽을 지져 먹는다. 이는 현재 한반도 남쪽의 여러 식당에서도 맛볼 수 있는 음식인데, 밑반찬으로 많이 나오며 김치전과 비슷한 색과 모양을 띤다. 개성 풍습 중에는 봄에 장을 담가 40일이 지나면 메주를 건져내고, 소금을 섞지 않은 상태로 따로 덜어 장땡이를 만드는 풍습이 있다고 한다.
추천자료
HMR의 개념적 이해와 환경 분석
전통음식과 향토음식의 육성 및 보전을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북한의 음식문화
[제과제빵][제과제빵산업][빵][제과제빵산업의 과제][제과제빵산업의 미래]제과제빵, 빵의 역...
한식(韓食)의 세계화 과제와 사례 분석
세계의음식․음식의세계 1. 인간의 ‘식습관 형성 과정’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2. ...
(세계의음식, 음식의세계 공통) 1. 자신의 식사습관 중에서 대표적인 것 3가지를 제시하고 각...
[방통대 문화교양학과 3학년 예술경영과예술행정 공통] 교재 1장 5쪽에 보면 “문화는 자연적...
[세계의음식·음식의세계 3학년] 1. 자신의 고향 대표 음식 3가지를 들어 어떤 음식인지 해당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