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탈원전 정책이 2020년 중/후반기에 경제적으로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전기가격)응 설명하시오.
가정:
1.전기수요와공급은 모두 가격비탄력적임
2.수요곡선과공급곡선은 곡선이 아니고 직선임
목차
서론
본론
결론
참고문헌
가정:
1.전기수요와공급은 모두 가격비탄력적임
2.수요곡선과공급곡선은 곡선이 아니고 직선임
목차
서론
본론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반 후반부에 전기가격을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려고 한다. 이에 대하여 가정은 두 가지인데, 전기수요와 공급은 모두 가격 비탄력적이라는 점과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은 곡선이 아니고 직선이라는 점이다. 문재인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추진하면서, 기존의 저렴한 원자력 전력공급이 축소되고, 이는 전기요금 인상이라는 결과로 귀결되었다.
2017년부터 2022년까지 탈원전이 진행되는 가운데, 중반 정도 위치에 있는 2020년에 소비자는 전기요금을 전보다 더욱 지급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수요가 비탄력성을 띠고 있을 때 총수입은 증가하며, 탄력적이면 총수입은 감소한다. 공급은 탄력성에 있어서 생산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는데, 생산하는 데 있어서 일정한 시일이 소요된다고 가정한다면 공급은 비탄력성을 갖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으며, 농산물이 대표적인 비탄력적 재화이다. 이렇게 수요와 공급이 모두 비탄력적일 경우에는 가격의 상승 폭이 거래량의 감소 폭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다. 탈원전으로 인해서 경상북도 동해안에 있는 원자력 발전소들이 하나둘씩 문을 닫거나 가동을 중단한다면 한국 내부에서 전기 공급량이 일시적으로 감소하는 것은 사실이다. 이를 대체하기 위해서 다른 에너지발전소들이 가동될 가능성이 크나, 이는 원자력 발전소의 저렴성과 규모에 있어서 공급량을 따라가기가 어려울 것이다. 그러기에 전력에 대한 공급이 줄고 수요는 지속해서 증가한다는 가정 아래에, 전기가격은 더욱 오를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에서 곡선은 탄력성을 나타내고, 가격이 오르면 수요가 줄고, 공급이 늘어나며, 가격이 여지면 수요는 증가하나 공급은 감소함을 잘 보여준다. 직선은 가격이 높은 단계에서 변하거나 낮은 단계에서 변할 때도 수요 및 공급량의 증가와 감소가 일정하다는 점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수요곡선 및 공급곡선이 직선일 때 전기가격은 탈원전 정책에서 어떻게 영향을 받는다고 평가할 수 있는지 알아보려고 한다. 가격이 높낮이에 상관없이 변해도 수요 및 공급량의 증감이 일정하다는 점은 생산자가 소비자보다 우위를 갖는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중앙일보. “[틴틴 온라인 교실] 수요·공급은 왜 곡선인가” 2021년 4월 28일 접속. https://news.joins.com/article/193823
특히 에너지가 사회와 산업에 있어서 가장 기초적인 소비재라는 점을 생각한다면 이는 에너지라는 소비재가 갖는 특성
2017년부터 2022년까지 탈원전이 진행되는 가운데, 중반 정도 위치에 있는 2020년에 소비자는 전기요금을 전보다 더욱 지급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수요가 비탄력성을 띠고 있을 때 총수입은 증가하며, 탄력적이면 총수입은 감소한다. 공급은 탄력성에 있어서 생산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는데, 생산하는 데 있어서 일정한 시일이 소요된다고 가정한다면 공급은 비탄력성을 갖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으며, 농산물이 대표적인 비탄력적 재화이다. 이렇게 수요와 공급이 모두 비탄력적일 경우에는 가격의 상승 폭이 거래량의 감소 폭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다. 탈원전으로 인해서 경상북도 동해안에 있는 원자력 발전소들이 하나둘씩 문을 닫거나 가동을 중단한다면 한국 내부에서 전기 공급량이 일시적으로 감소하는 것은 사실이다. 이를 대체하기 위해서 다른 에너지발전소들이 가동될 가능성이 크나, 이는 원자력 발전소의 저렴성과 규모에 있어서 공급량을 따라가기가 어려울 것이다. 그러기에 전력에 대한 공급이 줄고 수요는 지속해서 증가한다는 가정 아래에, 전기가격은 더욱 오를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에서 곡선은 탄력성을 나타내고, 가격이 오르면 수요가 줄고, 공급이 늘어나며, 가격이 여지면 수요는 증가하나 공급은 감소함을 잘 보여준다. 직선은 가격이 높은 단계에서 변하거나 낮은 단계에서 변할 때도 수요 및 공급량의 증가와 감소가 일정하다는 점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수요곡선 및 공급곡선이 직선일 때 전기가격은 탈원전 정책에서 어떻게 영향을 받는다고 평가할 수 있는지 알아보려고 한다. 가격이 높낮이에 상관없이 변해도 수요 및 공급량의 증감이 일정하다는 점은 생산자가 소비자보다 우위를 갖는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중앙일보. “[틴틴 온라인 교실] 수요·공급은 왜 곡선인가” 2021년 4월 28일 접속. https://news.joins.com/article/193823
특히 에너지가 사회와 산업에 있어서 가장 기초적인 소비재라는 점을 생각한다면 이는 에너지라는 소비재가 갖는 특성
추천자료
[제도경제학 공통] 올슨의 집단선택이론이 무엇이고, 그것이 제도 이론의 어떤 쟁점을 설명하...
[생물과학 공통] 1 광합성과 호흡이 왜 작물의 생산성에 중요한지를 설명하고(10점) 지구 온...
코로나19의 특징, 증상, 전파양상, 경제적 피해 상황 및 향후 전망
코로나19의 특징, 증상, 전파양상, 경제적 피해 상황 및 향후 전망
생활속의경제] 세로축을 가격, 가로축을 거래량으로 하는 수요-공급 시장모형을 이용하여 경...
[경제학개론 A+]탈원전정책이 2020년 중후반기 전기요금에 미치는 영향
생활속의경제 ) 세로축을 가격, 가로축을 거래량으로 하는 수요-공급 시장모형을 이용하여 경...
생활속의경제 ) 이 법(전,월세상한제)에 대한 ‘본인의 의견’을 ‘경제적 관점이 최대한 반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