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자료
2. 본론
3. 결론
4. 참고자료
본문내용
이 광고에서는 안정환이 숲속에서 캐논 카메라로 사진을 찍으면서 “자연은 우리의 친구”라고 말한다. 이 역시 여러 광고에서 잘 쓰이는 문구와 화면을 차용하여 만든 것이다. 하지만 바로 다음 장면에서 안정환의 앞에 곰이 나타나며, 그 다음 장면에서는 마치 영정 사진과 같은 안정환의 사진이 나타나 안정환이 곰에게 사망하였음을 암시한다. 이 역시 일반적인 광고 상황에 반전을 주어 소비자의 흥미를 유도하는 광고 전개라 할 수 있다.
즉, ‘돌고래 유괴단’의 캐논 광고를 통해 ‘돌고래 유괴단’의 광고가 성공한 요인 중 하나는 일반적인 예상을 뛰어넘는 전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돌고래 유괴단’은 광고에 자주 사용되는 문구, 전개, 화면, 영상미 등 소위 클리셰를 비틀어 소비자의 예상을 배신하는 방식을 자주 사용한다. 이러한 반전 기법은 영화 ‘식스 센스(The sixth sense)’ 등 반전 영화가 인기를 끌었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듯 관객의 흥미를 끄는 데에 매우 효과적인 기법이다. 문제는 이러한 기대의 배신을 적절하게 사용하지 못한다면, 오히려 관객에게 부정적인 경험을 주기 쉽다는 것이다. 앞서 말한 ‘식스 센스’의 감독이 그 후의 커리어에서 자주 고배를 마신 것도 이러한 반전의 위험성 때문이었다. 그러한 의미에서 ‘돌고래 유괴단’은 이러한 반전 기법을 매우 적절히 사용한 예시라고 할 수 있다.
(4) ‘돌고래 유람단’의 광고 2-‘브롤 스타즈’ 광고
‘돌고래 유괴단’이 만든 광고 중 가장 큰 성공을 거둔 광고 중 하나인 ‘브롤 스타즈‘ 광고는 이병헌을 중심으로 한 일종의 옴니버스 식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병헌은 서부의 총잡이로 분장하여 현상금을 사냥하는 역할인데, 한 술집에서 현상금의 대상이 된 자들을 기다리고 있다. 곧 대상이 등장하고, 이병헌은 서부극에서 흔히 나오는 대사를 읊으며 뒤로 돌아선다. 그런데 현상금의 대상은 사실 한 명이 아니라 세 명이었고, 이병헌은 수에 밀려 지고 만다. 이와 함께 3:3 전투를 중심으로 하는 게임이라는 ‘브롤 스타즈’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광고 문구가 지나가고, 이병헌이 다른 2명을 데려오면서 광고는 끝이 난다. ‘브롤 스타즈’ 광고 영상
이 광고에서 ‘돌고래 유람단’은 앞서 사용했던 반전 기법과 더불어 패러디와 오마주 기법을 적극적으로 사용한다. 이병헌이 맡은 역할과 주변 배경 자체가 서부극에 대한 오마주이며, 현상금 대상은 당시에 유행하던 이종격투기 선수, 꽃보다 할배 출연자들 등과 더불어 이병헌이 출연했던 영화 ‘달콤한 인생’과 드라마 ‘야인시대’에 출연했던 김영철, 심지어는 삼국지의 유비, 관우, 장비 삼형제까지 모두 오마주와 패러디로 가득 차 있다. ‘돌고래 유괴단’이 사용하는 이 오마주와 패러디 기법이 특별한 것은 이러한 오마주와 패러디가 온라인 커뮤니티와 소셜 미디어에서 유행하는 소위 ‘밈’을 적극적으로 사용했다는 점이다.
밈은 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가 처음 제시한 개념으로, 원래는 문화적 요소도 생물학적 유전자와 유사한 행동 양태를 보인다는 이론이었다. 정보라. \"유튜브 이용자들의 밈(meme) 확산활동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13. 서울, p.3
그러나 이 정의에서 의미의 외연이 계속 넓어지면서, 현재 온라인에서밈의 의미는 인터넷에서 유행하는 짧은 이미지나 영상, 문구 등을 총칭하는 것이 되었다.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처음 유행하여 레거시 미디어(legacy media)까지 전달된 ‘4달러’나 ‘타짜’의 ‘강철용’과 같은 것이 밈의 좋은 예시라고 할 수 있다.
‘돌고래 유괴단’은 이러한 밈을 넓게 차용한 패러디와 오마주로 해당 밈을 알고 있는 소비자들에게 친숙함과 재미를 동시에 느낄 수 있도록 만든다. 앞서 말한 ‘야인시대’의 김영철 배우나 삼국지의 유비, 관우, 장비 삼형제 등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큰 인기를 끌던 밈으로, ‘돌고래 유괴단’은 이러한 밈들을 새로운 배경이나 상황 속에 가져다 놓는 방법으로 패러디와 오마주의 재미를 이끌어냈다. 사실 광고의 주연인 이병헌이 맡은 역할도 이병헌이 예전에 출연했던 영화인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을 비롯한 여러 영화에서 생산된 밈에 대한 오마주이기도 하다. 결국 ‘돌고래 유괴단‘은 자신이 선택한 유튜브라는 플랫폼에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소비자들에게 재미와 친숙함을 줬다고 말할 수 있겠다.
(5) ‘돌고래 유괴단’의 광고 3-SSG 광고
‘돌고래 유괴단‘이 신세계 그룹에서 운영하는 모바일 쇼핑 어플리케이션 SSG을 광고할
즉, ‘돌고래 유괴단’의 캐논 광고를 통해 ‘돌고래 유괴단’의 광고가 성공한 요인 중 하나는 일반적인 예상을 뛰어넘는 전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돌고래 유괴단’은 광고에 자주 사용되는 문구, 전개, 화면, 영상미 등 소위 클리셰를 비틀어 소비자의 예상을 배신하는 방식을 자주 사용한다. 이러한 반전 기법은 영화 ‘식스 센스(The sixth sense)’ 등 반전 영화가 인기를 끌었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듯 관객의 흥미를 끄는 데에 매우 효과적인 기법이다. 문제는 이러한 기대의 배신을 적절하게 사용하지 못한다면, 오히려 관객에게 부정적인 경험을 주기 쉽다는 것이다. 앞서 말한 ‘식스 센스’의 감독이 그 후의 커리어에서 자주 고배를 마신 것도 이러한 반전의 위험성 때문이었다. 그러한 의미에서 ‘돌고래 유괴단’은 이러한 반전 기법을 매우 적절히 사용한 예시라고 할 수 있다.
(4) ‘돌고래 유람단’의 광고 2-‘브롤 스타즈’ 광고
‘돌고래 유괴단’이 만든 광고 중 가장 큰 성공을 거둔 광고 중 하나인 ‘브롤 스타즈‘ 광고는 이병헌을 중심으로 한 일종의 옴니버스 식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병헌은 서부의 총잡이로 분장하여 현상금을 사냥하는 역할인데, 한 술집에서 현상금의 대상이 된 자들을 기다리고 있다. 곧 대상이 등장하고, 이병헌은 서부극에서 흔히 나오는 대사를 읊으며 뒤로 돌아선다. 그런데 현상금의 대상은 사실 한 명이 아니라 세 명이었고, 이병헌은 수에 밀려 지고 만다. 이와 함께 3:3 전투를 중심으로 하는 게임이라는 ‘브롤 스타즈’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광고 문구가 지나가고, 이병헌이 다른 2명을 데려오면서 광고는 끝이 난다. ‘브롤 스타즈’ 광고 영상
이 광고에서 ‘돌고래 유람단’은 앞서 사용했던 반전 기법과 더불어 패러디와 오마주 기법을 적극적으로 사용한다. 이병헌이 맡은 역할과 주변 배경 자체가 서부극에 대한 오마주이며, 현상금 대상은 당시에 유행하던 이종격투기 선수, 꽃보다 할배 출연자들 등과 더불어 이병헌이 출연했던 영화 ‘달콤한 인생’과 드라마 ‘야인시대’에 출연했던 김영철, 심지어는 삼국지의 유비, 관우, 장비 삼형제까지 모두 오마주와 패러디로 가득 차 있다. ‘돌고래 유괴단’이 사용하는 이 오마주와 패러디 기법이 특별한 것은 이러한 오마주와 패러디가 온라인 커뮤니티와 소셜 미디어에서 유행하는 소위 ‘밈’을 적극적으로 사용했다는 점이다.
밈은 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가 처음 제시한 개념으로, 원래는 문화적 요소도 생물학적 유전자와 유사한 행동 양태를 보인다는 이론이었다. 정보라. \"유튜브 이용자들의 밈(meme) 확산활동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13. 서울, p.3
그러나 이 정의에서 의미의 외연이 계속 넓어지면서, 현재 온라인에서밈의 의미는 인터넷에서 유행하는 짧은 이미지나 영상, 문구 등을 총칭하는 것이 되었다.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처음 유행하여 레거시 미디어(legacy media)까지 전달된 ‘4달러’나 ‘타짜’의 ‘강철용’과 같은 것이 밈의 좋은 예시라고 할 수 있다.
‘돌고래 유괴단’은 이러한 밈을 넓게 차용한 패러디와 오마주로 해당 밈을 알고 있는 소비자들에게 친숙함과 재미를 동시에 느낄 수 있도록 만든다. 앞서 말한 ‘야인시대’의 김영철 배우나 삼국지의 유비, 관우, 장비 삼형제 등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큰 인기를 끌던 밈으로, ‘돌고래 유괴단’은 이러한 밈들을 새로운 배경이나 상황 속에 가져다 놓는 방법으로 패러디와 오마주의 재미를 이끌어냈다. 사실 광고의 주연인 이병헌이 맡은 역할도 이병헌이 예전에 출연했던 영화인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을 비롯한 여러 영화에서 생산된 밈에 대한 오마주이기도 하다. 결국 ‘돌고래 유괴단‘은 자신이 선택한 유튜브라는 플랫폼에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소비자들에게 재미와 친숙함을 줬다고 말할 수 있겠다.
(5) ‘돌고래 유괴단’의 광고 3-SSG 광고
‘돌고래 유괴단‘이 신세계 그룹에서 운영하는 모바일 쇼핑 어플리케이션 SSG을 광고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