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연산군의 생애와 성격
2. 영화 ‘왕의 남자’ 속 연산군의 성격
3. 영화 ‘왕의 남자’ 속 연산군에 대한 심리학적 분석
1) 영화 ‘왕의 남자’ 속 연산군의 인물 분석
2) Freud 정신분석이론으로 영화 ‘왕의 남자’ 속 연산군 성격분석
4. 영화 '왕의 남자' 속 연산군에게 적용된 Freud가 제시한 방어기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연산군의 생애와 성격
2. 영화 ‘왕의 남자’ 속 연산군의 성격
3. 영화 ‘왕의 남자’ 속 연산군에 대한 심리학적 분석
1) 영화 ‘왕의 남자’ 속 연산군의 인물 분석
2) Freud 정신분석이론으로 영화 ‘왕의 남자’ 속 연산군 성격분석
4. 영화 '왕의 남자' 속 연산군에게 적용된 Freud가 제시한 방어기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된 것이다.
4. 영화 \'왕의 남자\' 속 연산군에게 적용된 Freud가 제시한 방어기제
①억압: 불안에 대한 일차적 방어기제로 용납할 수 없는 충동을 무의식적으로 추방하는 능동적 무의식적 과정이다. 연산군은 그동안 억압해왔던 열등감을 드디어 폭발시키는 억압을 초탈한 억압으로써 자신을 보호했다.
②투사: 용납할 수 없는 자기 내부의 문제나 결점이 자기 외부에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기제다. 잘못되면 조상을 탓하는 것 같이 연산군은 어머니를 억울하게 죽인 것에 대해서 인수대비, 정귀인, 엄귀인 등을 탓하며 이들을 잔혹하게 죽이고 이러한 자신의 상처를 보상받으려는 보호 작용이다.
③치환: 영화 속에서 비추어 보았을 때 자신의 고통을 공길이에게 보상받으려는 심리작용이다.
자신의 상처를 자신이 거느리는 부하들에게 호통을 치고 못되게 구는 심리가 이에 해당이 된다.
④퇴행: 영화 장면에서는 정말 인간으로서 저럴 수 있을까 의문이 드는 연산군의 철없고 어리석은 행동들이 이에 해당이 된다.
Ⅲ. 결론
본론에서는 영화 \'왕의 남자\'를 통하여 연산군의 생애에 사용된 방어기제에 대하여 Freud가 제시한 방어기제로 살펴보았다. 영화 ‘왕의 남자’ 속의 연산군을 심리학적인 관점으로 살펴보면 연산군의 외롭고 고독했던 어린 시절은 그를 신경질적이고 폭력적인 사람으로 만들었고 그것은 결국 대신들에게 투사되어 공격적으로 표현되었다. 영화 ‘왕의 남자’ 속 연산군을 Freud 이론으로 살펴본 결과 폭군의 이름 뒤에는 그럴 수밖에 없었던 어린 시절이 있었고 그로 인해 폭력적인 사람이 되어버렸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런 연산군에게 사회복지 차원에서 도움을 준다면 억압된 어린 시절이 공격적으로 표출되는 것을 긍정적인 방법으로 표출될 수 있게 심리치료와 주변 인물들에게 적대감과 보복심을 타인을 용서하는 방법을 통해 해결해주어야 한다. 주어진 과제물을 작성하면서 한 인간이 발달주기에 따라 정상적이고 건강하게 생의 과업을 완수해 나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바로 사회복지사가 해야 할 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Ⅳ. 참고문헌
구혜영 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신정, 2022
박선태, 안외자 외 3명 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동문사, 2022
이영미 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2021
강상경 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2021
최옥채 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양서원, 2020
영화 \'왕의 남자 (2005)\' 이준익 감독
4. 영화 \'왕의 남자\' 속 연산군에게 적용된 Freud가 제시한 방어기제
①억압: 불안에 대한 일차적 방어기제로 용납할 수 없는 충동을 무의식적으로 추방하는 능동적 무의식적 과정이다. 연산군은 그동안 억압해왔던 열등감을 드디어 폭발시키는 억압을 초탈한 억압으로써 자신을 보호했다.
②투사: 용납할 수 없는 자기 내부의 문제나 결점이 자기 외부에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기제다. 잘못되면 조상을 탓하는 것 같이 연산군은 어머니를 억울하게 죽인 것에 대해서 인수대비, 정귀인, 엄귀인 등을 탓하며 이들을 잔혹하게 죽이고 이러한 자신의 상처를 보상받으려는 보호 작용이다.
③치환: 영화 속에서 비추어 보았을 때 자신의 고통을 공길이에게 보상받으려는 심리작용이다.
자신의 상처를 자신이 거느리는 부하들에게 호통을 치고 못되게 구는 심리가 이에 해당이 된다.
④퇴행: 영화 장면에서는 정말 인간으로서 저럴 수 있을까 의문이 드는 연산군의 철없고 어리석은 행동들이 이에 해당이 된다.
Ⅲ. 결론
본론에서는 영화 \'왕의 남자\'를 통하여 연산군의 생애에 사용된 방어기제에 대하여 Freud가 제시한 방어기제로 살펴보았다. 영화 ‘왕의 남자’ 속의 연산군을 심리학적인 관점으로 살펴보면 연산군의 외롭고 고독했던 어린 시절은 그를 신경질적이고 폭력적인 사람으로 만들었고 그것은 결국 대신들에게 투사되어 공격적으로 표현되었다. 영화 ‘왕의 남자’ 속 연산군을 Freud 이론으로 살펴본 결과 폭군의 이름 뒤에는 그럴 수밖에 없었던 어린 시절이 있었고 그로 인해 폭력적인 사람이 되어버렸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런 연산군에게 사회복지 차원에서 도움을 준다면 억압된 어린 시절이 공격적으로 표출되는 것을 긍정적인 방법으로 표출될 수 있게 심리치료와 주변 인물들에게 적대감과 보복심을 타인을 용서하는 방법을 통해 해결해주어야 한다. 주어진 과제물을 작성하면서 한 인간이 발달주기에 따라 정상적이고 건강하게 생의 과업을 완수해 나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바로 사회복지사가 해야 할 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Ⅳ. 참고문헌
구혜영 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신정, 2022
박선태, 안외자 외 3명 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동문사, 2022
이영미 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2021
강상경 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2021
최옥채 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양서원, 2020
영화 \'왕의 남자 (2005)\' 이준익 감독
추천자료
심리검사
[무용의이해]무용동작치료의 개념과 적용(A+리포트)
[요약,독후감,서평문] 억압받는 사람들을 위한 연극치료 (3부~5부) _ 로버트 랜디 지음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방어기제는 무엇인지 실례를 들어 이야기해봅시다 자신의 방어기제가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방어기제는 무엇인지 실례를 들어 이야기해봅시...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방어기제는 무엇인지 실례를 들어 이야기해봅시다. 자신의 방어기제가 ...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방어기제는 무엇인지 실례를 들어,영화나 드라마 캐릭터에서 방어기제...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방어기제는 무엇인지 실례를 최소 3개 이상 들어보고 그러한 방어기제...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방어기제는 무엇인지 실례를 최소 3개 이상 들어보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