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단군신화의 갈래
(2) 단군신화의 내용
(3) 단군신화가 가진 특징
(4) 단군신화에서 볼 수 있는 인물
(5) 왜 곰과 호랑이일까?
(6) 왜 쑥과 마늘일까?
(7) 왜 곰은 웅녀가 되었을까?
Ⅲ. 결론
Ⅳ. 출처 및 참고자료
Ⅱ. 본론
(1) 단군신화의 갈래
(2) 단군신화의 내용
(3) 단군신화가 가진 특징
(4) 단군신화에서 볼 수 있는 인물
(5) 왜 곰과 호랑이일까?
(6) 왜 쑥과 마늘일까?
(7) 왜 곰은 웅녀가 되었을까?
Ⅲ. 결론
Ⅳ. 출처 및 참고자료
본문내용
주어진 고난은 100일 동안 굴이라는 공간 속에서 쑥 1자루와 마늘 20쪽을 먹으며 버텨야 하는 것이었다. 곰과 호랑이는 쑥과 마늘을 먹는 동물이 아니라는 것은 누구라도 잘 알 것이다. 그렇다면 왜 하필 쑥과 마늘을 먹도록 한 것인지에 관하여 생각해 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현재도 쑥과 마늘은 인간의 몸을 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쑥은 식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쑥을 이용하여 불을 쬐거나 뜸을 뜨는 등의 행위로 건강한 삶을 도모하는 데 이용된다. 마늘 역시 항암의 효과까지 있을 정도로 다른 식품에 반해 그 기능이 우수한 식자재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인간에게 이로운 쑥과 마늘이라는 소재와 이를 평소 먹지 않는 곰과 호랑이에게 접목함으로써 쑥과 마늘이라는 소재가 가진 의미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이다. 환웅이 풍백, 우사, 운사와 함께 왔다는 것은, 이들이 날씨를 관장하는 존재라는 점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바람과 비와 눈은 곧 인간의 삶에 막대한 영향을 주는 요소이기에 과도한 바람이나 비 등은 인간의 삶을 피폐하게 만들 수도 있다.
환웅이 풍백, 우사, 운사와 함께 지상으로 내려와 날씨에 관한 부분을 거느리지 않았다면 인간은 오랜 바람과 비 등으로 인하여 피해를 보게 되었을 것 역시 당연한 이치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쑥과 마늘의 용도는 인간에게 필요한 소재일 수 있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쑥은 불을 지펴 습도를 낮출 수 있었고 질병에도 뜸을 활용하여 도움을 줄 수 있다. 마늘 역시 허해진 몸에 이로운 작용을 함으로써 인간이 보다 건강한 삶을 지낼 수 있도록 한 요소가 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단군신화에서 쑥과 마늘이라는 소재를 통하여 환웅이 인간의 전체적인 삶에 관여하고자 하였고 이러한 관여는 인간을 이롭게 하기 위한 노력이었다는 점에서라도 쑥과 마늘의 등장이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는 것을 잊지 않는 것이 좋다고 본다.
이는 단순한 고난을 위한 요소가 아닌 인간 생애에 걸쳐 겪게 되는 환경적, 질병적 어려움에 관하여 다소 쉽게 얻을 수 있는 소재를 활용함으로써 누구나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기 위함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7) 왜 곰은 웅녀가 되었을까?
인간의 성은 남성과 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나는 곰이 왜 웅남이 아닌 웅녀가 되었을지에 관한 궁금증도 생기게 되었다. 한 성만으로는 후대를 이을 수 없다는 측면에서 웅남이 아닌 웅녀가 만들어진 것일 수도 있지만 여성이라는 성이 주어짐으로써 여성에게서 느낄 수 있는 영향력을 고려한다면 여성의 고난과 지혜는 곧 가부장적 혈통제에 관한 부분을 근거로 할 수 있게 만든 것임을 나타낸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남성은 천상계의 존재였으며 여성은 지상계의 존재중 동물에 해당한다는 점에서 남성우월주의와 가부장적 혈통제를 기반한 것이라는 점에서 알 수 있다는 말로 이해하게 되었다. 이는 현재의 사상은 과거에 반해 이러한 주의가 많이 사라지긴 하였지만, 사회의 여러 제도나 관점에서 남아있는 일이기도 하다. 이러한 페머니즘 관점에서 웅녀의 존재를 생각한다면 곰이라는 동물로 인한 여성비하의 우려도 느낄 수 있는 부분이라 생각된다.
이처럼 단순할 수도 있는 건국 신화이지만 어떠한 관점에서 생각하느냐에 따라 그 의미의 해석 또한 다양한 방향성을 띌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어떠한 종교에는 천지개벽으로 물길이 열리기도하고 오병이어로 만인을 살리기도 한다. 이러한 존재들은 주변 사람들과 다른 능력을 가진 존재임과 동시에 특별한 능력에 따른 대가라 일컬을 수 있을 법한 고난을 만날 수 있었다. 이 점에 중점을 둔다면 웅녀는 고난을 참고 이겨내고 스스로의
현재도 쑥과 마늘은 인간의 몸을 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쑥은 식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쑥을 이용하여 불을 쬐거나 뜸을 뜨는 등의 행위로 건강한 삶을 도모하는 데 이용된다. 마늘 역시 항암의 효과까지 있을 정도로 다른 식품에 반해 그 기능이 우수한 식자재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인간에게 이로운 쑥과 마늘이라는 소재와 이를 평소 먹지 않는 곰과 호랑이에게 접목함으로써 쑥과 마늘이라는 소재가 가진 의미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이다. 환웅이 풍백, 우사, 운사와 함께 왔다는 것은, 이들이 날씨를 관장하는 존재라는 점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바람과 비와 눈은 곧 인간의 삶에 막대한 영향을 주는 요소이기에 과도한 바람이나 비 등은 인간의 삶을 피폐하게 만들 수도 있다.
환웅이 풍백, 우사, 운사와 함께 지상으로 내려와 날씨에 관한 부분을 거느리지 않았다면 인간은 오랜 바람과 비 등으로 인하여 피해를 보게 되었을 것 역시 당연한 이치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쑥과 마늘의 용도는 인간에게 필요한 소재일 수 있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쑥은 불을 지펴 습도를 낮출 수 있었고 질병에도 뜸을 활용하여 도움을 줄 수 있다. 마늘 역시 허해진 몸에 이로운 작용을 함으로써 인간이 보다 건강한 삶을 지낼 수 있도록 한 요소가 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단군신화에서 쑥과 마늘이라는 소재를 통하여 환웅이 인간의 전체적인 삶에 관여하고자 하였고 이러한 관여는 인간을 이롭게 하기 위한 노력이었다는 점에서라도 쑥과 마늘의 등장이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는 것을 잊지 않는 것이 좋다고 본다.
이는 단순한 고난을 위한 요소가 아닌 인간 생애에 걸쳐 겪게 되는 환경적, 질병적 어려움에 관하여 다소 쉽게 얻을 수 있는 소재를 활용함으로써 누구나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기 위함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7) 왜 곰은 웅녀가 되었을까?
인간의 성은 남성과 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나는 곰이 왜 웅남이 아닌 웅녀가 되었을지에 관한 궁금증도 생기게 되었다. 한 성만으로는 후대를 이을 수 없다는 측면에서 웅남이 아닌 웅녀가 만들어진 것일 수도 있지만 여성이라는 성이 주어짐으로써 여성에게서 느낄 수 있는 영향력을 고려한다면 여성의 고난과 지혜는 곧 가부장적 혈통제에 관한 부분을 근거로 할 수 있게 만든 것임을 나타낸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남성은 천상계의 존재였으며 여성은 지상계의 존재중 동물에 해당한다는 점에서 남성우월주의와 가부장적 혈통제를 기반한 것이라는 점에서 알 수 있다는 말로 이해하게 되었다. 이는 현재의 사상은 과거에 반해 이러한 주의가 많이 사라지긴 하였지만, 사회의 여러 제도나 관점에서 남아있는 일이기도 하다. 이러한 페머니즘 관점에서 웅녀의 존재를 생각한다면 곰이라는 동물로 인한 여성비하의 우려도 느낄 수 있는 부분이라 생각된다.
이처럼 단순할 수도 있는 건국 신화이지만 어떠한 관점에서 생각하느냐에 따라 그 의미의 해석 또한 다양한 방향성을 띌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어떠한 종교에는 천지개벽으로 물길이 열리기도하고 오병이어로 만인을 살리기도 한다. 이러한 존재들은 주변 사람들과 다른 능력을 가진 존재임과 동시에 특별한 능력에 따른 대가라 일컬을 수 있을 법한 고난을 만날 수 있었다. 이 점에 중점을 둔다면 웅녀는 고난을 참고 이겨내고 스스로의
추천자료
초등학교 범교과학습의 성교육과 진로교육, 초등학교 범교과학습의 인성교육과 효의식강화교...
2014년 1학기 교육고전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교재에 소개된 고전에 대한 독후감)
2015년 1학기 교육고전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교재에 소개된 고전에 대한 독후감)
2015년 2학기 교육고전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교재에 소개된 고전에 대한 독후감)
2016년 1학기 교육고전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교재에 소개된 고전에 대한 독후감)
2016년 2학기 교육고전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교재에 소개된 고전에 대한 독후감)
[방통대 국어국문학과 4학년 한국한문학의 이해 공통] 아래의 세 가지 물음에 대하여 서론-본...
[방통대 국어국문학과 4학년 한국한문학의 이해 공통] 아래의 세 가지 물음에 대하여 서론-본...
고전의이해와감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