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다음은 공공재에 관한 질문이다. 연관된 질문에 모두 답하시오.(총 4점; 참고: 교재 4.3, 76--78쪽, 동영상 강의 5강 3. 공공재)
다음은 시장의 구조에 관한 질문이다. 연관된 질문에 모두 답하시오. (총 8점; 참고: 교재 6.4, 129--132쪽, 동영상 강의 8강 4. 규모의 경제와 범위의 경제)
다음은 거시 경제 지표에 관한 질문이다. 연관된 질문에 모두 답하시오. (총 12점; 참고: 교재 7.2--7.3, 143--149쪽, 동영상 강의 9강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
다음은 경제 성장에 관한 질문이다. 연관된 질문에 모두 답하시오. (총 14점; 참고: 교재 8.2--8.3, 159--165쪽, 동영상 강의 10강 장기 경제 성장)
다음은 실업에 관한 질문이다. 연관된 질문에 모두 답하시오. (총 12점; 참고: 교재 9.1--9.4, 169--180쪽)
다음은 시장의 구조에 관한 질문이다. 연관된 질문에 모두 답하시오. (총 8점; 참고: 교재 6.4, 129--132쪽, 동영상 강의 8강 4. 규모의 경제와 범위의 경제)
다음은 거시 경제 지표에 관한 질문이다. 연관된 질문에 모두 답하시오. (총 12점; 참고: 교재 7.2--7.3, 143--149쪽, 동영상 강의 9강 국민소득 3면 등가의 법칙)
다음은 경제 성장에 관한 질문이다. 연관된 질문에 모두 답하시오. (총 14점; 참고: 교재 8.2--8.3, 159--165쪽, 동영상 강의 10강 장기 경제 성장)
다음은 실업에 관한 질문이다. 연관된 질문에 모두 답하시오. (총 12점; 참고: 교재 9.1--9.4, 169--180쪽)
본문내용
장함으로써 기술혁신을 유도한다. 재산권은 사유재산을 보호함으로써 자신이 수행한 투자와 노동의 결과에 대한 보상을 보장한다. 이는 투자와 혁신 그리고 노동의 동기를 부여한다.
다음은 실업에 관한 질문이다. 연관된 질문에 모두 답하시오. (총 12점; 참고: 교재 9.1--9.4, 169--180쪽)
-경제활동참가율, 실업률, 고용률의 정의를 설명하시오.(3점)
답: 경제활동참가율은 15세 이상 인구 중 경제활동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경제활동인구를 15세 이상 인구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해 계산한 값이다. 실업률은 경제활동인구에서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이 때 경제활동인구는 취업자와 실업자를 합한 수이다. 실업률은 실업자를 경제활동인구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해 계산한다. 고용률은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하며 취업자 수를 15세 이상 인구수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해 계산한다.
-자연실업률의 개념을 설명하시오.(1점)
답: 자연실업률은 정상적인 경제상태에서 발생하는 실업을 의미하며 완전고용실업률이라고도 한다. 즉, 장기적으로도 그 자체로는 사라지지 않는 지속적인 실업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경제가 겪는 정상적인 실업률을 말하는 것이다. 자연실업은 구직자들이 자신에게 맞는 직장을 찾는 데 시간이 걸리기에 생겨나는 마찰적 실업과 일자리의 수가 구직자들의 수보다 적어서 생겨나는 구조적 실업의 합이다.
-노동 수요곡선을 이동시키는 힘을 모두 설명하시오.(3점)
답: 생산요소시장에서 노동 수요곡선을 이동시키는 변수에는 산출물의 가격과 기술진보, 그리고 다른 요소 공급의 변화가 있다.
-노동 공급곡선을 이동시키는 힘을 모두 설명하시오.(3점)
답: 노동 공급곡선을 이동시키는 변수에는 취향 혹은 의식등의 변화와 다른 노동시장의 변화, 그리고 이민 등이 있다.
다음 그림을 이용하여, 노동 수요가 감소하더라도 임금 경직성이 있을 때 고용 감소가 더 크게 일어날 수 있음을 설명하시오.(2점)
답: 최저임금제, 노동조합의 존재, 효율성 임금, 장기 임금계약 등으로 인해 임금의 경직성이 발생한다. 이러한 임금 경직성으로 인해 노동수요가 감소했을 때 노동시장의 균형이 E1에서 F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공급곡선과 수요곡선이 E2에서 만나게 된다. 따라서 L1-L2만큼 경직적 임금에서의 실업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임금이 신축적일 때의 고용의 감소량인 L1-LF보다 더 크다.
다음은 실업에 관한 질문이다. 연관된 질문에 모두 답하시오. (총 12점; 참고: 교재 9.1--9.4, 169--180쪽)
-경제활동참가율, 실업률, 고용률의 정의를 설명하시오.(3점)
답: 경제활동참가율은 15세 이상 인구 중 경제활동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경제활동인구를 15세 이상 인구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해 계산한 값이다. 실업률은 경제활동인구에서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이 때 경제활동인구는 취업자와 실업자를 합한 수이다. 실업률은 실업자를 경제활동인구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해 계산한다. 고용률은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하며 취업자 수를 15세 이상 인구수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해 계산한다.
-자연실업률의 개념을 설명하시오.(1점)
답: 자연실업률은 정상적인 경제상태에서 발생하는 실업을 의미하며 완전고용실업률이라고도 한다. 즉, 장기적으로도 그 자체로는 사라지지 않는 지속적인 실업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경제가 겪는 정상적인 실업률을 말하는 것이다. 자연실업은 구직자들이 자신에게 맞는 직장을 찾는 데 시간이 걸리기에 생겨나는 마찰적 실업과 일자리의 수가 구직자들의 수보다 적어서 생겨나는 구조적 실업의 합이다.
-노동 수요곡선을 이동시키는 힘을 모두 설명하시오.(3점)
답: 생산요소시장에서 노동 수요곡선을 이동시키는 변수에는 산출물의 가격과 기술진보, 그리고 다른 요소 공급의 변화가 있다.
-노동 공급곡선을 이동시키는 힘을 모두 설명하시오.(3점)
답: 노동 공급곡선을 이동시키는 변수에는 취향 혹은 의식등의 변화와 다른 노동시장의 변화, 그리고 이민 등이 있다.
다음 그림을 이용하여, 노동 수요가 감소하더라도 임금 경직성이 있을 때 고용 감소가 더 크게 일어날 수 있음을 설명하시오.(2점)
답: 최저임금제, 노동조합의 존재, 효율성 임금, 장기 임금계약 등으로 인해 임금의 경직성이 발생한다. 이러한 임금 경직성으로 인해 노동수요가 감소했을 때 노동시장의 균형이 E1에서 F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공급곡선과 수요곡선이 E2에서 만나게 된다. 따라서 L1-L2만큼 경직적 임금에서의 실업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임금이 신축적일 때의 고용의 감소량인 L1-LF보다 더 크다.
키워드
추천자료
미시경제학 서브노트
생활속의경제 기말] 공공재를 소비의 경합성과 배제성을 기준으로 정의. 공공재와 무임승차자...
2021년 2학기 생활속의경제 기말시험
생활속의경제 기말 2021] 공공재를 소비의 경합성과 배제성을 기준으로 정의, 생활속의경제 ...
(방송통신대 생활속의경제 기말과제물)1. 다음은 공공재에 관한 질문이다 연관된 질문에 모두...
생활속의경제 기말 2021년] 공공재를 소비의 경합성과 배제성을 기준으로 정의 생활속의경제 ...
생활속의경제
생활속의경제 기말] 공공재를 소비의 경합성과 배제성을 기준으로 정의, 공공재와 무임승차자...
[방송통신대학교 2021학년도 2학기 기말시험]생활속의경제(공통)공공재, 무임승차자 문제, 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