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지역사회간호학
일차보건의료에 관해 작성하시오
1. 일차보건의료사업 위한 주요 원리(5점)와 일차보건의료의 사업특성(5점)에 대해 간략히 기술하시오.
2. 우리나라 일차보건의료의 발전과정중 영향력이 큰 정부시범사업(5점)과 그 결과에 따른 법과 제도운영(5점)에 대해 기술하시오.
3. 일차보건의료의 방향인 건강증진관련 오타와헌장의 주요내용(5점)과 우리나라 국민건강증진계획 2020의 대표지표(5점)에 대해 기술하시오.
Ⅰ.설문1의 답
1.일차보건의료사업의 주요 원리
2.일차보건의료의 사업특성
Ⅱ.설문2의 답
1.우리나라의 일차보건의료의 발전과정중 영향력이 큰 정부시범사업
2.법과 제도운영
Ⅲ.설문3의 답
1.오타와헌장의 주요내용
2.국민건강증진계획 2020의 대표지표
[참고문헌]
일차보건의료에 관해 작성하시오
1. 일차보건의료사업 위한 주요 원리(5점)와 일차보건의료의 사업특성(5점)에 대해 간략히 기술하시오.
2. 우리나라 일차보건의료의 발전과정중 영향력이 큰 정부시범사업(5점)과 그 결과에 따른 법과 제도운영(5점)에 대해 기술하시오.
3. 일차보건의료의 방향인 건강증진관련 오타와헌장의 주요내용(5점)과 우리나라 국민건강증진계획 2020의 대표지표(5점)에 대해 기술하시오.
Ⅰ.설문1의 답
1.일차보건의료사업의 주요 원리
2.일차보건의료의 사업특성
Ⅱ.설문2의 답
1.우리나라의 일차보건의료의 발전과정중 영향력이 큰 정부시범사업
2.법과 제도운영
Ⅲ.설문3의 답
1.오타와헌장의 주요내용
2.국민건강증진계획 2020의 대표지표
[참고문헌]
본문내용
강증진이 기반해야 하는 가치와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접근 원칙 등에 대하여 많은 논의가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건강증진에 대해서 세계적인 합의와 기본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세계보건기구 및 회원국이 1986년 11월 캐나다 오타와에서 제1회 건강증진에 관한 국제회의를 열어서 ‘오타와 헌장’을 제정하고 발표하였다. 오타와 헌장에서는 건강의 긍정적인 개념과 가치를 강조하였고, 건강증진에 대한 정의와 함께 건강증진의 주요 접근전략과 주요 활동 영역을 명시하고자 하였다. 이때 오타와헌장의 내용은 약 30년이 지난 지금까지 전 세계 모든 국가의 건강증진과 관련된 노력의 근본이 되고 있다.
오타와헌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수준의 건강증진에 대한 활동 영역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건강지향적인 공공정책의 수립(Build healthy public policy), 둘째, 지원적인 환경 조성(create supportive environments), 셋째, 지역사회 활동 강화(strengthen community action), 넷째, 개인의 건강관리에 대한 기술 개발(develop personal skills), 다섯째, 국가의 보건의료서비스 방향 제정립(reorient health services)가 그것이다. 이러한 오타와 현장에서 제시하는 건강증진에 대한 다섯 수준의 주요 활동 영역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지향적인 공공정책 수립은 이러한 영역의 관련 활동으로 모든 수준 및 모든 분야에 대한 정책결정자가 정책의 결정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고, 그들의 건강에 대한 책임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함을 강조하는 것이다. 둘째, 지원적인 환경의 조성은 사람과 환경 간의 복잡한 연관성에 대하여 고려하는 건강을 위한 사회생태학적 접근과 이를 위한 기본 원칙으로서 세계 및 국가의 수준, 지역 및 지역사회에서의 상호 돌봄 노력이 장려되어야 함을 강조하면서 전 세계에 걸쳐서 천원자원 보존은 세계적인 책임임을 명시하는 것이다. 셋째, 지역사회 활동 강화는 건강수준의 향상을 위해 건강증진활동의 우선순위 설정 및 결정, 기획 및 수행 등과 관련된 전 과정에서 지역사회의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활동이 중요한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넷째, 개인의 기술 개발은 건강에 대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교육 및 삶의 기술의 향상을 통하여 개인과 사회 발전을 지원하는 활동을 통해 사람이 스스로 건강과 주위 환경에 대한 관리 및 통제의 대안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함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보건의료서비스의 방향 제정은 보건의료서비스 분야에서의 건강증진에 대한 책임이 개인과 지역사회 그룹, 보건의료전문직 및 보건의료기관과 정부가 공유하고 있음에 대하여 명시하고, 그 체계가 실제적으로 건강수준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명순, “건강증진이 기반한 주요 원칙과 가치”,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Vol.32 No.4, 2015, pp7-8
2.국민건강증진계획 2020의 대표지표
국민건강증진계획은 국민건강증진법 제4조에 따라서 국민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을 위해서 매 5년마다 수립하는 국가적 차원의 건강증진 로드맵이다. 국민건강증진계획 제4차는 2016년부터 2020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HP2020의 중간 수정의 형태로 수립되었다.
국민건강증진계획 2020에서는 다음과 같은 중점과제를 가지고 있으며, 그에 대한 대표지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금연 과제에 있어서는 “성인 남자 현재흡연율”, “중,고등학교 남학생 현재흡연율”, 둘째, 절주 과제와 관련해서는 “성인 남자 연간음주자의 고위험음주율”, “성인 여자 연간음주자의 고위험음주율”, 셋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건강증진에 대해서 세계적인 합의와 기본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세계보건기구 및 회원국이 1986년 11월 캐나다 오타와에서 제1회 건강증진에 관한 국제회의를 열어서 ‘오타와 헌장’을 제정하고 발표하였다. 오타와 헌장에서는 건강의 긍정적인 개념과 가치를 강조하였고, 건강증진에 대한 정의와 함께 건강증진의 주요 접근전략과 주요 활동 영역을 명시하고자 하였다. 이때 오타와헌장의 내용은 약 30년이 지난 지금까지 전 세계 모든 국가의 건강증진과 관련된 노력의 근본이 되고 있다.
오타와헌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수준의 건강증진에 대한 활동 영역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건강지향적인 공공정책의 수립(Build healthy public policy), 둘째, 지원적인 환경 조성(create supportive environments), 셋째, 지역사회 활동 강화(strengthen community action), 넷째, 개인의 건강관리에 대한 기술 개발(develop personal skills), 다섯째, 국가의 보건의료서비스 방향 제정립(reorient health services)가 그것이다. 이러한 오타와 현장에서 제시하는 건강증진에 대한 다섯 수준의 주요 활동 영역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지향적인 공공정책 수립은 이러한 영역의 관련 활동으로 모든 수준 및 모든 분야에 대한 정책결정자가 정책의 결정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고, 그들의 건강에 대한 책임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함을 강조하는 것이다. 둘째, 지원적인 환경의 조성은 사람과 환경 간의 복잡한 연관성에 대하여 고려하는 건강을 위한 사회생태학적 접근과 이를 위한 기본 원칙으로서 세계 및 국가의 수준, 지역 및 지역사회에서의 상호 돌봄 노력이 장려되어야 함을 강조하면서 전 세계에 걸쳐서 천원자원 보존은 세계적인 책임임을 명시하는 것이다. 셋째, 지역사회 활동 강화는 건강수준의 향상을 위해 건강증진활동의 우선순위 설정 및 결정, 기획 및 수행 등과 관련된 전 과정에서 지역사회의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활동이 중요한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넷째, 개인의 기술 개발은 건강에 대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교육 및 삶의 기술의 향상을 통하여 개인과 사회 발전을 지원하는 활동을 통해 사람이 스스로 건강과 주위 환경에 대한 관리 및 통제의 대안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함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보건의료서비스의 방향 제정은 보건의료서비스 분야에서의 건강증진에 대한 책임이 개인과 지역사회 그룹, 보건의료전문직 및 보건의료기관과 정부가 공유하고 있음에 대하여 명시하고, 그 체계가 실제적으로 건강수준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명순, “건강증진이 기반한 주요 원칙과 가치”,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Vol.32 No.4, 2015, pp7-8
2.국민건강증진계획 2020의 대표지표
국민건강증진계획은 국민건강증진법 제4조에 따라서 국민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을 위해서 매 5년마다 수립하는 국가적 차원의 건강증진 로드맵이다. 국민건강증진계획 제4차는 2016년부터 2020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HP2020의 중간 수정의 형태로 수립되었다.
국민건강증진계획 2020에서는 다음과 같은 중점과제를 가지고 있으며, 그에 대한 대표지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금연 과제에 있어서는 “성인 남자 현재흡연율”, “중,고등학교 남학생 현재흡연율”, 둘째, 절주 과제와 관련해서는 “성인 남자 연간음주자의 고위험음주율”, “성인 여자 연간음주자의 고위험음주율”, 셋
키워드
추천자료
지역사회간호학 2020년 2학기] 일차보건의료에 관해 작성하시오 일차보건의료의 생성배경과 ...
[지역사회간호학] 일차보건의료, 1. 일차보건의료의 생성배경과 개념, 2. 보건진료소 간호사...
<지역사회간호학 공통>일차보건의료에 관해 작성하시오.(생성배경,개념, 보건진료소 간호사업...
지역사회간호학] 일차보건의료에 관해 작성하시오. 1. 일차보건의료의 생성배경과 일차보건의...
지역사회간호학 일차보건의료) 일차보건의료에 관해 작성하시오 지역사회간호학 1. 일차보건...
지역사회간호학 2021] 1. 일차보건의료사업 위한 주요 원리와 일차보건의료의 사업특성 2. 우...
[지역사회간호학 2021] 일차보건의료에 관해 작성하시오. 1. 일차보건의료사업 위한 주요 원...
[지역사회간호학] 일차보건의료에 관해 작성하시오 1. 일차보건의료사업 위한 주요 원리와 일...
지역사회간호학 ) 일차보건의료에 관해 작성하시오 1 일차보건의료사업 위한 주요 원리(5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