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2)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이론
3) 행동수정이론
4) 각 이론 비교표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2)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이론
3) 행동수정이론
4) 각 이론 비교표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란 내담자가 과거에 중요한 타인에게 느낀 감정이나 환상에 대해 무의식적으로 치료자에게 표현하는 것으로 치료자도 내담자에게 전이현상을 보일 수 있고 이는 역전이임. 또한 저항의 분석을 통해 저항이 내담자가 치료과정에서 볼 수 있는 비협조적이며 저항적인 행동의 의미를 분석함.
4) 통찰을 통해 내담자가 상담과정에서 통찰할 수 있도록 하며 해석은 내담자가 통찰하지 못한 부분에 대해 치료자가 설명함.
상담 목표: 단순하게 내담자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넘어 내담자의 성장을 돕고 현재 대처하는 그리고 미래에 대처해야 할 문제에 대해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하도록 돕는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충분한 기능을 통해 자아실현을 지원하는 것임.
상담 기법: 1) 긍정적 배려, 행동이나 사건, 감정 등이 좋던 나쁘던 상관없이 내담자에 대해 수용하는 것임
2) 공감적 이해로 공감이 타인에 대한 감정의 인지와 인정할 수 있는 능력으로 내담자 관점에서 상효작용할 수 있는 능력이 됨. 공감은 여러 사람에 의해 사용되면서 행동치료학파나 인지치료자들이 상담자와 내담자 관계에서 문제에 대해 실제적인 이해를 위해 공감 사용을 초점으로 함.
3) 진실성은 타인과 믿을만한 진정한 관계를 형성했는가에 관련된 것임. 진실성이 역할 연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이 되는 것으로, 상담자의 행동과 말이 언어적으로나 비언어적으로도 자신의 감정과의 일치가 필요함
4) 적극적 경청은 최대한 주의를 기울여 내담자가 하는 말이나 자세, 얼굴표정과 같이 비언어적인 단서들도 파악하는 것임.
상담 목표:학습된 인간은 부적응 행동에 대한 소거와 함께 적응적이며 바람직한 행동을 새롭게 학습 혹은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임.
상담 기법: 1) 체계적 둔감법은 내담자가 근육이완상태에서 불안과 공포를 야기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해 가장 작은 자극에서 강한 자극까지 점진적으로 상상하며 불안이나 공포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행동수정기법임
2) 혐오기법은 부적응 행동이 나타나면 즉시 고통스럽거나 혐오스러운 자극을 제공해 부적응 행동을 소거시킴.
3) 토큰경제기법은 바람직한 목표행동을 하면 토큰을 받으며, 부적응적인 행동에서는 토큰을 잃게하여 기준이 되는 토큰이 모이면 아동과 함께 적절한 보상으로 교환하는 치료기법임.
4) 행동조성은 행동을 여러 단계로 구분해 강화시켜 점진적으로 최종목표인 바람직한 행동에 근접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치료기법임
5) 타임아웃은 부적응 행동을 보이면 순간 정적 강화를 일시적으로 중지 혹은 원하는 활동에 대해 일정시간 금지시키며 고립시킴.
3. 결론
위 세가지의 이론을 비교한 결과 정신분석이론의 경우 개인이 인지하지 못하며 수용하기 어려운 충동이 사고나 행동에 동기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자녀 양육에 대한 중요성과 함께 심리치료에서 상담자는 가치중립적인 태도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할 수 있다. 인간중심 상담이론의 경우 상담 초점 기법 중심에서 상담 관계 중심으로의 변화를 유도하면서 상담자나 심리학자를 포함한 다양한 전문가들이 훈련하는데 있어서 경청과 배려, 이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고 할 수 있다. 행동수정이론의 경우는 구체적인 사항에 초점을 두고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적용해 상담이 과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했다.
4. 참고문헌
1) 이상민(Sang Min Lee),김은하(Eunha Kim),김지연(Ji-Yeon Kim),and 선혜연(Hye-Yon Seun). \"상담심리학의 현재와 미래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0.3 (2018): 463-474.
http://www.riss.kr/link?id=A105553378
2) 강진령. 상담심리학. 서울: 학지사, 2020.
http://www.riss.kr/link?id=M15601282
3) 김경선. \"프로이드(S. Freud)의 정신분석이론과 심리적 양상에 따른 작가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강원도
http://www.riss.kr/link?id=T12281679
4) 윤남기. \"칼 로저스의 인간중심상담이론의 군 상담 적용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대진대학교 통일대학원, 2021. 경기도
http://www.riss.kr/link?id=T15774874
5) 김보영. \"지적장애아동의 주의집중력과 사회성 향상을 위한 Skinner의 행동수정이론에 기초한 원예치료.\" 국내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2010. 서울
http://www.riss.kr/link?id=T11947619
4) 통찰을 통해 내담자가 상담과정에서 통찰할 수 있도록 하며 해석은 내담자가 통찰하지 못한 부분에 대해 치료자가 설명함.
상담 목표: 단순하게 내담자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넘어 내담자의 성장을 돕고 현재 대처하는 그리고 미래에 대처해야 할 문제에 대해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하도록 돕는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충분한 기능을 통해 자아실현을 지원하는 것임.
상담 기법: 1) 긍정적 배려, 행동이나 사건, 감정 등이 좋던 나쁘던 상관없이 내담자에 대해 수용하는 것임
2) 공감적 이해로 공감이 타인에 대한 감정의 인지와 인정할 수 있는 능력으로 내담자 관점에서 상효작용할 수 있는 능력이 됨. 공감은 여러 사람에 의해 사용되면서 행동치료학파나 인지치료자들이 상담자와 내담자 관계에서 문제에 대해 실제적인 이해를 위해 공감 사용을 초점으로 함.
3) 진실성은 타인과 믿을만한 진정한 관계를 형성했는가에 관련된 것임. 진실성이 역할 연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이 되는 것으로, 상담자의 행동과 말이 언어적으로나 비언어적으로도 자신의 감정과의 일치가 필요함
4) 적극적 경청은 최대한 주의를 기울여 내담자가 하는 말이나 자세, 얼굴표정과 같이 비언어적인 단서들도 파악하는 것임.
상담 목표:학습된 인간은 부적응 행동에 대한 소거와 함께 적응적이며 바람직한 행동을 새롭게 학습 혹은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임.
상담 기법: 1) 체계적 둔감법은 내담자가 근육이완상태에서 불안과 공포를 야기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해 가장 작은 자극에서 강한 자극까지 점진적으로 상상하며 불안이나 공포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행동수정기법임
2) 혐오기법은 부적응 행동이 나타나면 즉시 고통스럽거나 혐오스러운 자극을 제공해 부적응 행동을 소거시킴.
3) 토큰경제기법은 바람직한 목표행동을 하면 토큰을 받으며, 부적응적인 행동에서는 토큰을 잃게하여 기준이 되는 토큰이 모이면 아동과 함께 적절한 보상으로 교환하는 치료기법임.
4) 행동조성은 행동을 여러 단계로 구분해 강화시켜 점진적으로 최종목표인 바람직한 행동에 근접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치료기법임
5) 타임아웃은 부적응 행동을 보이면 순간 정적 강화를 일시적으로 중지 혹은 원하는 활동에 대해 일정시간 금지시키며 고립시킴.
3. 결론
위 세가지의 이론을 비교한 결과 정신분석이론의 경우 개인이 인지하지 못하며 수용하기 어려운 충동이 사고나 행동에 동기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자녀 양육에 대한 중요성과 함께 심리치료에서 상담자는 가치중립적인 태도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할 수 있다. 인간중심 상담이론의 경우 상담 초점 기법 중심에서 상담 관계 중심으로의 변화를 유도하면서 상담자나 심리학자를 포함한 다양한 전문가들이 훈련하는데 있어서 경청과 배려, 이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고 할 수 있다. 행동수정이론의 경우는 구체적인 사항에 초점을 두고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적용해 상담이 과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했다.
4. 참고문헌
1) 이상민(Sang Min Lee),김은하(Eunha Kim),김지연(Ji-Yeon Kim),and 선혜연(Hye-Yon Seun). \"상담심리학의 현재와 미래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0.3 (2018): 463-474.
http://www.riss.kr/link?id=A105553378
2) 강진령. 상담심리학. 서울: 학지사, 2020.
http://www.riss.kr/link?id=M15601282
3) 김경선. \"프로이드(S. Freud)의 정신분석이론과 심리적 양상에 따른 작가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강원도
http://www.riss.kr/link?id=T12281679
4) 윤남기. \"칼 로저스의 인간중심상담이론의 군 상담 적용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대진대학교 통일대학원, 2021. 경기도
http://www.riss.kr/link?id=T15774874
5) 김보영. \"지적장애아동의 주의집중력과 사회성 향상을 위한 Skinner의 행동수정이론에 기초한 원예치료.\" 국내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2010. 서울
http://www.riss.kr/link?id=T11947619
추천자료
[2022 상담심리학][출처표기]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이론, 행동...
[상담심리학 2022]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이론, 행동수정이론을 ...
(상담심리학, 공통)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이론, 행동수정이론을 ...
[상담심리학 2학년]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이론, 행동수정이론을 ...
[상담심리학 2022년]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이론, 행동수정이론을...
심리학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이론, 행동수정이론을 비교·설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