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 한시의 갈래와 양식을 간략히 정리한 다음, 마음에 드는 한시를 택(교재에 수록된 작품 선택 가능)하여 해당 작품이 어떤 갈래와 양식에 속하는지, 왜 그러한지 서술하면서 작품의 성격을 분석하고 해당 작품을 감상, 평가하시오. (작품을 감상, 평가할 때는 해당 작품을 선택한 이유가 무엇인지, 다른 작품과 비교할 때 그 작품이 뛰어난 점은 무엇인지, 자신의 삶 혹은 현대 사회에 비추어 볼 때 그것은 어떠한 의의를 지니는지 등의 물음에 대한 나름의 답을 기술하면 좋음)
- 목 차 -
I. 서 론
II. 본 론
1. 한국 한시의 갈래와 양식
2. 한시 선정 및 양식
3. 선정한 한시 감상 및 평가
III. 결 론
참고문헌
**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한글파일 **
1. 작품 선택 이유.hwp
2. 작품의 의의와 가치.hwp
3. 한국 한시의 갈래와 양식.hwp
4. 한시 작품 분석.hwp
5. 서론 작성시 참조.hwp
6. 결론 작성시 참조.hwp
- 목 차 -
I. 서 론
II. 본 론
1. 한국 한시의 갈래와 양식
2. 한시 선정 및 양식
3. 선정한 한시 감상 및 평가
III. 결 론
참고문헌
**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한글파일 **
1. 작품 선택 이유.hwp
2. 작품의 의의와 가치.hwp
3. 한국 한시의 갈래와 양식.hwp
4. 한시 작품 분석.hwp
5. 서론 작성시 참조.hwp
6. 결론 작성시 참조.hwp
본문내용
I. 서 론
한문학은 우리의 글자가 없는 시기에 중국의 한자를 차용하여 우리나라 사람들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한 문학을 말한다. 흔히, 한문이란 말은 한자로 중국어를 기록한 문어를 가리키는 우리나라의 용어를 말한다. 중국인들은 그들의 문어를 문언이라고 하지 한문이라고 하지 않는다. 중국 사람들이 한문이라 할 때는 한대의 문어를 가리킨다. 한문이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은 기원전인 것으로 추정되는데, 그 초기에는 중국의 원음대로 읽으려고 노력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문이 보급되어 사용 인구가 늘고 나아가서는 교육기관을 통하여 교수되면서부터는 한국어의 음운체계에 완전히 동화된 한자음으로 읽히게 되었다.
한문학사에서 핵심이 되는 범주는 한시라고 할 수 있다. 현존하는 자료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보다 큰 이유는 한시가 우리 선조들의 생활과 밀착된 문학 양식으로, 하나의 교양물이었다는 점에서 찾아질 수 있다. 한시는 우리 선조들의 사상과 감정이 자유롭게 표출된 문학 양식이다. 뒤늦게나마 한시 작품에 대하여 각별한 관심을 갖게 되고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한시는 크게 고체시와 근체시로 나누어진다. 고체시란 근체시와 상대적인 명칭이다. 고체시는 고시에 해당하는 오언고시와 칠언고시, 그리고 악부시가 있으며, 근체시는 절구의 경우 오언절구, 칠언절구 그리고 율시에 해당하는 오언율시, 칠언율시, 배율(오언 또는 칠언배율)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레포트는 1) 한국 한시의 갈래와 양식을 정리하고, 2) 마음에 드는 한시 한 작품(교재에 수록된 작품 선택 가능)을 택하여 그것이 어떤 갈래나 양식에 속하는지, 왜 그러한지 서술하면서 작품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3) 2)에서 선택한 한시와 관련하여, 해당 작품을 선택한 이유가 무엇인지, 다른 작품과 비교할 때 그 작품이 뛰어난 점은 무엇인지, 자신의 삶 혹은 현대 사회에 비추어 볼 때 그것은 어떠한 의의를 지니는지 서술하며 해당 작품을 감상하고 그 가치를 평가하였다.
II. 본 론
1. 한국 한시의 갈래와 양식
1) 갈래
(1) 고체시(古體詩)
근체시는 육조말엽인 양 무제(483~493)때에 침약(441~513)의 사성론이 나오면서부터 시작되었다. 따라서 근체시란 남북조시대에서 기원하여 당대에 성운의 규칙을 잘 지킨 시를 의미하게 되었다. 즉, 古體詩는 당나라 때 갖추어진 嚴格한 規則에 맞지 않은 詩 全體를 말한다. 古體詩라는 이름은 近體詩와 구별하기 위하여 쓰인 것이기에 近體詩의 形式에 맞지 않은 詩를 모두 포함한다.
- 중략 -
한문학은 우리의 글자가 없는 시기에 중국의 한자를 차용하여 우리나라 사람들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한 문학을 말한다. 흔히, 한문이란 말은 한자로 중국어를 기록한 문어를 가리키는 우리나라의 용어를 말한다. 중국인들은 그들의 문어를 문언이라고 하지 한문이라고 하지 않는다. 중국 사람들이 한문이라 할 때는 한대의 문어를 가리킨다. 한문이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은 기원전인 것으로 추정되는데, 그 초기에는 중국의 원음대로 읽으려고 노력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문이 보급되어 사용 인구가 늘고 나아가서는 교육기관을 통하여 교수되면서부터는 한국어의 음운체계에 완전히 동화된 한자음으로 읽히게 되었다.
한문학사에서 핵심이 되는 범주는 한시라고 할 수 있다. 현존하는 자료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보다 큰 이유는 한시가 우리 선조들의 생활과 밀착된 문학 양식으로, 하나의 교양물이었다는 점에서 찾아질 수 있다. 한시는 우리 선조들의 사상과 감정이 자유롭게 표출된 문학 양식이다. 뒤늦게나마 한시 작품에 대하여 각별한 관심을 갖게 되고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한시는 크게 고체시와 근체시로 나누어진다. 고체시란 근체시와 상대적인 명칭이다. 고체시는 고시에 해당하는 오언고시와 칠언고시, 그리고 악부시가 있으며, 근체시는 절구의 경우 오언절구, 칠언절구 그리고 율시에 해당하는 오언율시, 칠언율시, 배율(오언 또는 칠언배율)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레포트는 1) 한국 한시의 갈래와 양식을 정리하고, 2) 마음에 드는 한시 한 작품(교재에 수록된 작품 선택 가능)을 택하여 그것이 어떤 갈래나 양식에 속하는지, 왜 그러한지 서술하면서 작품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3) 2)에서 선택한 한시와 관련하여, 해당 작품을 선택한 이유가 무엇인지, 다른 작품과 비교할 때 그 작품이 뛰어난 점은 무엇인지, 자신의 삶 혹은 현대 사회에 비추어 볼 때 그것은 어떠한 의의를 지니는지 서술하며 해당 작품을 감상하고 그 가치를 평가하였다.
II. 본 론
1. 한국 한시의 갈래와 양식
1) 갈래
(1) 고체시(古體詩)
근체시는 육조말엽인 양 무제(483~493)때에 침약(441~513)의 사성론이 나오면서부터 시작되었다. 따라서 근체시란 남북조시대에서 기원하여 당대에 성운의 규칙을 잘 지킨 시를 의미하게 되었다. 즉, 古體詩는 당나라 때 갖추어진 嚴格한 規則에 맞지 않은 詩 全體를 말한다. 古體詩라는 이름은 近體詩와 구별하기 위하여 쓰인 것이기에 近體詩의 形式에 맞지 않은 詩를 모두 포함한다.
- 중략 -
추천자료
- 2006년 2학기 한문고전강독 중간시험과제물 A-E공통(한국한시감상)
- 2016년 2학기 한국한문학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조선 후기의 사회변동과 한문학)
- 2017년 2학기 한국한문학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17세기 조선 한문학의 새로운 경향)
- 인간과교육)1.후기현대철학적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있는 인간관 특징, 과학적인간관 ...
- 2018년 2학기 한국한문학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한국 한시의 발달과정을 시대별 정리)
- 2019년 2학기 한국한문학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한시를 고체시와 근체시로 분류)
- 2020년 2학기 한국한문학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각 시대별로 문단을 주도한 문인 등)
- 2021년 2학기 한국한문학의이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한국 한시의 갈래와 양식)
- [방송통신대학교 2020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한국한문학의이해(공통)
- [방송통신대학교 2021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한국한문학의이해(공통)(한국한시의갈래와양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