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1 PN 접합 다이오드 관련 기초
1.2. PN 접합 다이오드
1.3 PN 접합 다이오드의 등가 모델
1.2. PN 접합 다이오드
1.3 PN 접합 다이오드의 등가 모델
본문내용
함 (전류 無)
(2) PN 접합과 바이어스
바이어스: PN 접합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기 위해 DC 전압을 인가하는 것
순방향 바이어스: PN 접합에 순방향 바이어스가 인가되면 PN 접합의 전위 장벽이 낮아짐 (애노드에서 캐소드로 전류가 흐름)
역방향 바이어스 : PN 접합의 역방향 바이어스가 인가되면 PN 접합의 전위장벽이 높아짐 (애노드에서 캐소드로 전류가 흐르지 못함)
(3) PN 접합 다이오드의 전류-전압 특성
PN 접합 다이오드에 전압 가 인가된 경우 :
인 경우 , 역방향 포화 전류 :
PN 접합의 역방향 항복 특성: PN 접합 다이오드에 큰 역방향 전압 인가 시 큰 전류 흐름.
1.3 PN 접합 다이오드의 등가 모델
(1) DC 등가모델 : PN 접합 다이오드의 비선형적인 전류-전압 특성을 근사화한 표현 (회로 해석, 설계 단순화)
이상적 등가모델: PN 접합 다이오드의 동작 특성을 이상적인 스위치 동작으로 단순화.
정전압 등가 모델: PN 접합 다이오드의 동작 특성을 정전압과 스위치의 동작으로 단순화.
부분선형 등가모델
순방향 바이어스: 전압 의 증가에 따라 전류의 증가를 직선으로 근사화. 역방향 바이어스: 열린 스위치
(2) PN 접합과 바이어스
바이어스: PN 접합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기 위해 DC 전압을 인가하는 것
순방향 바이어스: PN 접합에 순방향 바이어스가 인가되면 PN 접합의 전위 장벽이 낮아짐 (애노드에서 캐소드로 전류가 흐름)
역방향 바이어스 : PN 접합의 역방향 바이어스가 인가되면 PN 접합의 전위장벽이 높아짐 (애노드에서 캐소드로 전류가 흐르지 못함)
(3) PN 접합 다이오드의 전류-전압 특성
PN 접합 다이오드에 전압 가 인가된 경우 :
인 경우 , 역방향 포화 전류 :
PN 접합의 역방향 항복 특성: PN 접합 다이오드에 큰 역방향 전압 인가 시 큰 전류 흐름.
1.3 PN 접합 다이오드의 등가 모델
(1) DC 등가모델 : PN 접합 다이오드의 비선형적인 전류-전압 특성을 근사화한 표현 (회로 해석, 설계 단순화)
이상적 등가모델: PN 접합 다이오드의 동작 특성을 이상적인 스위치 동작으로 단순화.
정전압 등가 모델: PN 접합 다이오드의 동작 특성을 정전압과 스위치의 동작으로 단순화.
부분선형 등가모델
순방향 바이어스: 전압 의 증가에 따라 전류의 증가를 직선으로 근사화. 역방향 바이어스: 열린 스위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