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관절염 환자의 간호 사례 보고서
1. 일반 정보 (환자 개인정보를 제함.)
2. 병력
3. 질병기술
4. 신체검진
5.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
(보존적 치료 : 비약물적 치료, 약물 치료, 국소치료 / 수술적 치료 : 각종 수술법 기재)
6. 약물
7. 간호과정
8. 참고문헌
1. 일반 정보 (환자 개인정보를 제함.)
2. 병력
3. 질병기술
4. 신체검진
5.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
(보존적 치료 : 비약물적 치료, 약물 치료, 국소치료 / 수술적 치료 : 각종 수술법 기재)
6. 약물
7. 간호과정
8. 참고문헌
본문내용
저항에 대항하여 관절을 움직일 수 있다
** 기동력 및 일상활동 의존정도 평가기준
등급
상 태
Ⅰ
보조도구나 장비를 필요로 함
Ⅱ
다른 사람의 감시나 도움을 필요로 함
Ⅲ
보조도구, 장비 및 다른 사람의 도움을 필요로 함
Ⅳ
완전 의존, 혹은 전혀 참여하지 않음
12. 수면
수면장애 여부 : □ 무 ■ 유, 이유: “무릎 걱정이랑 당수치 걱정 때문에 잠이 안온다.”
원하는 해결방법 :
13. 정서
정서상태 □ 편하다 □ 편하지 않다 ■ 불안하다 □ 슬프다 □ 화난다
이유 : “남들과 다르게 수술 후 퇴원이 느리기 때문. 뭐가 잘못됐을까...”
원하는 해결 방법 : “수술 후 빨리 치유됐으면 좋겠다“
현재 질병에 대한 느낌 ■ 걱정된다 □ 희망적이다 □ 생각 없다
14. 인지/지각
질병에 관한 지각 및 지식 □ 잘이해함 □이해함 ■ 보통 □ 모름 □ 전혀모름
검사에 관한 지각 및 지식 □ 잘이해함 □ 이해함 ■ 보통 □ 모름 □ 전혀모름
수술에 관한 지각 및 지식 □ 잘이해함 □ 이해함 ■ 보통 □ 모름 □ 전혀모름
잘못된 인식 : “당뇨 때문에 무릎이 잘 안 낫는건가?”
알고자하는 정보 :
의료인과의 관계 및 기대 :
15. 지지체계
가족의 지지정도 ■ 협조적 □ 비협조적, 이용가능한 지지체계 : 아들
가족의 방문빈도 주 1-2회
Ⅴ.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
임상검사
검사명
검사일
정상치
2/24
2/25
3/16
3/18
<응급CBC>
WBC
▲11.9
▲14.2
9.5
5.6
4.8-10.8×103/μL
RBC
▼3.41
▼3.44
▼3.6
▼3.65
4.2-5.4×106/μL
HB
▼10.9
▼10.9
▼10.5
▼9.5
M; 14-18 g/dL
F; 12-16 g/dL
HCT
▼32.0
▼34.2
▼33.5
▼33
M; 42-48 %
F; 37-45 %
PLATELET
183
201
▲580
▲477
130-400×103/μL
monocyte
3.7
▲85.8
10.7
▲12.6
3.4-10%
ESR
23
25
▲62
▲76
2-25mm/hr
<면역혈청>
CRP
▲107
▲44
▲43.2
▲80.2
0.1-5.0mg/L
Glucose
검사일
정상치
3/21
3/22
3/23
am10
212
am5
142
am9
187
pm 4
257
am10
200
pm5
194
pm 9
357
pm5
211
pm9
171
검사명
검사일
정상치
3/20
3/23
<당화혈색소>
HbA1c-NGSP
5.9
▲6.4
4.0-6.0%
HbA1c-IFCC
41.0
▲46.4
20-42mmol/mol
HbA1c-eAG
122.0
▲137.0
0-126mg/dL
2. 임상결과 해석
<응급CBC>
·WBC(백혈구수)
: 백혈수수가 감소된 경우에는 감염증으로 인한 세포에 대한 독성 물질의 존재, 항암제 등 골수억제 인자의 작용으로 인한 골수부전, 간·비장 질환, 방사선 노출이 있다.
: 백혈구수가 증가된 경우에는 심한 신체적 스트레스, 수술등 조직장애·손상, 감염, 염증성 질환, 백혈병 등이 있다.
·RBC(적혈구수)
:적혈구 수가 증가된 경우에는 호흡곤란을 야기할 수 있는 폐섬유증, 폐조직의 경화, 혈액내 낮은 산소압, 선천성 심장질환, 심한 설사 등으로 야기된 탈수, 체액의 부족 등이 있다.
:적혈구 수가 감소된 경우에는 혈액과 골수의 암, 다발성 골수종, 출혈 등의 혈액손실, 용혈, 골수 부전, 빈혈로 인한 적혈구의 파괴, 백혈병, 영양실조, 과탈수, 체액의 과흡수 등이 있다.
·Hb(헤모글로빈)
:헤모글로빈은 적혈구 속에 포함된 혈색소로, 헤모글로빈의 생리작용은 산소와 이산화탄소 운반 및 완충작용으로 적혈구의 작용은 헤모글로빈의 작용에 의한 것이다. 그래서 Hb의 감소와 증가를 초래하는 병태는 적혈구수의 감소와 증가를 초래하는 병태에 준한다.·HCT(적혈구용적율)
:혈액 전체의 적혈구의 용적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헤모글로빈과 마찬가지로 HCT의 감소와 증가를 초래하는 병태는 적혈구수의 감소와 증가를 초래하는 병태에 준한다.
·ESR(적혈구침강속도,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적혈구침강속도란, 항응고제가 들어 있는 혈액을, 눈금이 부착된 가늘고 긴 ESR 측정관의 바닥에서 0점까지 주사기로 주입해 수직으로 세웠을 때 적혈구가 가랑ㄴㅈ는 속도를 측정한 것으로, 시간 당 가라앉는 길이를 측정한다.
:ESR이 높은 수치를 나타내는 경우 - 감염증, 교원성질병, 순환기질환(심근경색, 감염성심내막염, 심근염), 소화기질환, 혈액질환, 악성종양
:ESR이 낮은 수치를 나타내는 경우 울혈성심부전, 무섬유소원혈증, 진성적혈구 증가증
<면역혈청>
·CRP(C-reactive protein)
:체내에 급성염증과 조직붕괴가 일어날 때 혈청 속에 증가하는 단백질을 급성기 반응물질 또는 급성기 단백질이라고 하는데, 그중 하나가 CRP로 염증성 표지자로 이용되고 있다. 감염증 외에 교원성질병과 악성종양에서 양성을 보인다.
<당화혈색소>
적혈구내에는 혈색소(헤모글로빈)라고 하는 중요한 단백질이 들어있다. 혈중 포도당은 혈색소의 일부와 결합하게 되는데 이렇게 혈색소에 포도당이 결합된 형태를 당화혈색소라고 부른다. 당화혈색소는 혈당이 높은 정도와 적혈구가 포도당에 노출된 기간에 비례해 증가하며 지난 2~3개월 동안의 평균적인 혈당 조절 상태를 알려주는 수치이다. 정상인의 당화혈색소 범위는 4~6%이고 당뇨인의 당화혈색소 조절 목표는 6.5~7%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다. 당화혈색소가 1% 올라갈 때마다 혈당치가 평균 30㎎/dL 정도 올라간다.
3. 진단검사
날짜
2015. 2. 23
종류
BMD
검사부위
고관절부위, 척추뼈
적용 및 근거
폐경과 노화로 인해 감소되는 골밀도(Bone Mineral Density)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로
골다공증 진단에 이용.
골절의 위험군을 조기에 발견하고 운동, 약물 요법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골조직의 손식을 막아서 골다공증과 골절의 빈도를 감소시키기 위함.
방사선의 감약 성질을 응용한 것으로 일정 에너지를 가지는 선원을 피사체에 투과시키고, 이때 투과된 선속의 감약된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피사체의 밀도를 알 수 있게
** 기동력 및 일상활동 의존정도 평가기준
등급
상 태
Ⅰ
보조도구나 장비를 필요로 함
Ⅱ
다른 사람의 감시나 도움을 필요로 함
Ⅲ
보조도구, 장비 및 다른 사람의 도움을 필요로 함
Ⅳ
완전 의존, 혹은 전혀 참여하지 않음
12. 수면
수면장애 여부 : □ 무 ■ 유, 이유: “무릎 걱정이랑 당수치 걱정 때문에 잠이 안온다.”
원하는 해결방법 :
13. 정서
정서상태 □ 편하다 □ 편하지 않다 ■ 불안하다 □ 슬프다 □ 화난다
이유 : “남들과 다르게 수술 후 퇴원이 느리기 때문. 뭐가 잘못됐을까...”
원하는 해결 방법 : “수술 후 빨리 치유됐으면 좋겠다“
현재 질병에 대한 느낌 ■ 걱정된다 □ 희망적이다 □ 생각 없다
14. 인지/지각
질병에 관한 지각 및 지식 □ 잘이해함 □이해함 ■ 보통 □ 모름 □ 전혀모름
검사에 관한 지각 및 지식 □ 잘이해함 □ 이해함 ■ 보통 □ 모름 □ 전혀모름
수술에 관한 지각 및 지식 □ 잘이해함 □ 이해함 ■ 보통 □ 모름 □ 전혀모름
잘못된 인식 : “당뇨 때문에 무릎이 잘 안 낫는건가?”
알고자하는 정보 :
의료인과의 관계 및 기대 :
15. 지지체계
가족의 지지정도 ■ 협조적 □ 비협조적, 이용가능한 지지체계 : 아들
가족의 방문빈도 주 1-2회
Ⅴ.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
임상검사
검사명
검사일
정상치
2/24
2/25
3/16
3/18
<응급CBC>
WBC
▲11.9
▲14.2
9.5
5.6
4.8-10.8×103/μL
RBC
▼3.41
▼3.44
▼3.6
▼3.65
4.2-5.4×106/μL
HB
▼10.9
▼10.9
▼10.5
▼9.5
M; 14-18 g/dL
F; 12-16 g/dL
HCT
▼32.0
▼34.2
▼33.5
▼33
M; 42-48 %
F; 37-45 %
PLATELET
183
201
▲580
▲477
130-400×103/μL
monocyte
3.7
▲85.8
10.7
▲12.6
3.4-10%
ESR
23
25
▲62
▲76
2-25mm/hr
<면역혈청>
CRP
▲107
▲44
▲43.2
▲80.2
0.1-5.0mg/L
Glucose
검사일
정상치
3/21
3/22
3/23
am10
212
am5
142
am9
187
pm 4
257
am10
200
pm5
194
pm 9
357
pm5
211
pm9
171
검사명
검사일
정상치
3/20
3/23
<당화혈색소>
HbA1c-NGSP
5.9
▲6.4
4.0-6.0%
HbA1c-IFCC
41.0
▲46.4
20-42mmol/mol
HbA1c-eAG
122.0
▲137.0
0-126mg/dL
2. 임상결과 해석
<응급CBC>
·WBC(백혈구수)
: 백혈수수가 감소된 경우에는 감염증으로 인한 세포에 대한 독성 물질의 존재, 항암제 등 골수억제 인자의 작용으로 인한 골수부전, 간·비장 질환, 방사선 노출이 있다.
: 백혈구수가 증가된 경우에는 심한 신체적 스트레스, 수술등 조직장애·손상, 감염, 염증성 질환, 백혈병 등이 있다.
·RBC(적혈구수)
:적혈구 수가 증가된 경우에는 호흡곤란을 야기할 수 있는 폐섬유증, 폐조직의 경화, 혈액내 낮은 산소압, 선천성 심장질환, 심한 설사 등으로 야기된 탈수, 체액의 부족 등이 있다.
:적혈구 수가 감소된 경우에는 혈액과 골수의 암, 다발성 골수종, 출혈 등의 혈액손실, 용혈, 골수 부전, 빈혈로 인한 적혈구의 파괴, 백혈병, 영양실조, 과탈수, 체액의 과흡수 등이 있다.
·Hb(헤모글로빈)
:헤모글로빈은 적혈구 속에 포함된 혈색소로, 헤모글로빈의 생리작용은 산소와 이산화탄소 운반 및 완충작용으로 적혈구의 작용은 헤모글로빈의 작용에 의한 것이다. 그래서 Hb의 감소와 증가를 초래하는 병태는 적혈구수의 감소와 증가를 초래하는 병태에 준한다.·HCT(적혈구용적율)
:혈액 전체의 적혈구의 용적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헤모글로빈과 마찬가지로 HCT의 감소와 증가를 초래하는 병태는 적혈구수의 감소와 증가를 초래하는 병태에 준한다.
·ESR(적혈구침강속도,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적혈구침강속도란, 항응고제가 들어 있는 혈액을, 눈금이 부착된 가늘고 긴 ESR 측정관의 바닥에서 0점까지 주사기로 주입해 수직으로 세웠을 때 적혈구가 가랑ㄴㅈ는 속도를 측정한 것으로, 시간 당 가라앉는 길이를 측정한다.
:ESR이 높은 수치를 나타내는 경우 - 감염증, 교원성질병, 순환기질환(심근경색, 감염성심내막염, 심근염), 소화기질환, 혈액질환, 악성종양
:ESR이 낮은 수치를 나타내는 경우 울혈성심부전, 무섬유소원혈증, 진성적혈구 증가증
<면역혈청>
·CRP(C-reactive protein)
:체내에 급성염증과 조직붕괴가 일어날 때 혈청 속에 증가하는 단백질을 급성기 반응물질 또는 급성기 단백질이라고 하는데, 그중 하나가 CRP로 염증성 표지자로 이용되고 있다. 감염증 외에 교원성질병과 악성종양에서 양성을 보인다.
<당화혈색소>
적혈구내에는 혈색소(헤모글로빈)라고 하는 중요한 단백질이 들어있다. 혈중 포도당은 혈색소의 일부와 결합하게 되는데 이렇게 혈색소에 포도당이 결합된 형태를 당화혈색소라고 부른다. 당화혈색소는 혈당이 높은 정도와 적혈구가 포도당에 노출된 기간에 비례해 증가하며 지난 2~3개월 동안의 평균적인 혈당 조절 상태를 알려주는 수치이다. 정상인의 당화혈색소 범위는 4~6%이고 당뇨인의 당화혈색소 조절 목표는 6.5~7%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다. 당화혈색소가 1% 올라갈 때마다 혈당치가 평균 30㎎/dL 정도 올라간다.
3. 진단검사
날짜
2015. 2. 23
종류
BMD
검사부위
고관절부위, 척추뼈
적용 및 근거
폐경과 노화로 인해 감소되는 골밀도(Bone Mineral Density)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로
골다공증 진단에 이용.
골절의 위험군을 조기에 발견하고 운동, 약물 요법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골조직의 손식을 막아서 골다공증과 골절의 빈도를 감소시키기 위함.
방사선의 감약 성질을 응용한 것으로 일정 에너지를 가지는 선원을 피사체에 투과시키고, 이때 투과된 선속의 감약된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피사체의 밀도를 알 수 있게
추천자료
노인간호]] 퇴행성 관절염에 따른 슬관절치환술
Multiple fracture 간호 사례 연구-case study
척추협착증(spinal stenosis) - 척추의 구조, 관련된 증상,ㄷ 대상자 적용, 연구기간 및 방법
[성인간호학][ACL rupture][십자인대파열][Anterior cruciate ligament rupture] 케이스 스터...
간호학과) 모성 여성 자연분만 산부인과 A+ 받은 케이스입니다.
A++++대퇴골 전자간 골절(femur intertrochantertic fx) 케이스: 연구의 필요성부터 ~ 문헌고...
전방십자인대 파열(Anterior cruciate ligament(ACL) rupture) case study
정형외과실습 대퇴경부 대퇴골 골절 케이스 스터디 femur neck fx fracture case study
Case Study(팔꿈치 골절, 폐쇄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