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 한번은 이런 일화도 있었다. 그가 곡산 부사로 부임 전, 농업노동자 조세저항 운동인 이계심의 난이 일어났다. 정약용은 이계심을 처벌하지 않고, 관리의 부패에 항의하는 자들에게 천금을 주어야 한다고 말하며 그의 용기를 격려하였다. 즉, 정약용은 민중들을 국가의 권위와 법으로 억누르는 게 아니라, 생존권을 요구하는 민중들의 항의를 귀담아듣는 애민 관리였다
3. 결론
지금까지 정약용의 저서 목민심서 내용 중 리더가 지켜야 할 몇 가지 지침을 소개했다. 많은 이들이 리더십의 중요성을 강조하지만 리더십을 정의하기란 쉽지 않다. 리더십의 정의는 연구자의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수백 가지 정의가 있다. 그중 우리나라에 필요한 것은 한국적 리더십이다. 한국인 리더가 우리 구성원에게 적용하는 리더십은 우리의 문화와 사상을 배경으로 해야 한다. 그간 우리나라에서 주목받았던 리더십의 상당수는 미국 중심의 사고방식이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우리나라와 서양은 문화가 다르기에 설사 원리는 같다 해도 적용방법을 달리해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정약용의 리더십은 우리나라 문화를 배경으로 한 최적화된 리더십이다. 목민 리더십은 한국인 리더가 한국의 정서와 문화를 기반으로 최적화하는 리더십으로, 부임해서 임무를 마칠 때까지 적용해야 할 리더십이라는 점에서 더욱 큰 의미를 가진다. 목민심서 서문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등장한다. \'오늘날의 백성을 다스리는 자들은 오직 거두어들이는 데만 급급하고 백성을 부양하는 방법은 알지 못한다. 이 때문에 하민들은 여위고 병들어 줄지어 굶어 죽은 시체가 구덩이를 메우지만 다스린다는 자들은 바야흐로 고운 옷과 맛있는 음식에 자기만 살찌고 있으니, 어찌 슬프지 아니한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정약용(丁若鏞))
백성에 대한 그의 애정이 얼마나 깊은 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그가 섬기고자 했던 사람들은 양반들도 아니고, 왕도 아니고, 백성이었다. 지금 우리에게도 백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리더가 필요하다. 또한 정약용 같은 리더십을 가진 리더를 희망한다. 정약용이 가르쳐준 목민관의 역할을 공직자가 제대로 실행하다면 훌륭한 리더가 될 수 있을 것이다.
4. 참고문헌
사례로 읽은 목민심서 다산 정약용 리더십,정약용 원저/김정진편저,2012,도서출판 자유로
리더십의 고전 목민심서, 이인철 편역,2006,고려원북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정약용(丁若鏞))
한국콘텐츠진흥원 http://www.kocca.kr
3. 결론
지금까지 정약용의 저서 목민심서 내용 중 리더가 지켜야 할 몇 가지 지침을 소개했다. 많은 이들이 리더십의 중요성을 강조하지만 리더십을 정의하기란 쉽지 않다. 리더십의 정의는 연구자의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수백 가지 정의가 있다. 그중 우리나라에 필요한 것은 한국적 리더십이다. 한국인 리더가 우리 구성원에게 적용하는 리더십은 우리의 문화와 사상을 배경으로 해야 한다. 그간 우리나라에서 주목받았던 리더십의 상당수는 미국 중심의 사고방식이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우리나라와 서양은 문화가 다르기에 설사 원리는 같다 해도 적용방법을 달리해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정약용의 리더십은 우리나라 문화를 배경으로 한 최적화된 리더십이다. 목민 리더십은 한국인 리더가 한국의 정서와 문화를 기반으로 최적화하는 리더십으로, 부임해서 임무를 마칠 때까지 적용해야 할 리더십이라는 점에서 더욱 큰 의미를 가진다. 목민심서 서문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등장한다. \'오늘날의 백성을 다스리는 자들은 오직 거두어들이는 데만 급급하고 백성을 부양하는 방법은 알지 못한다. 이 때문에 하민들은 여위고 병들어 줄지어 굶어 죽은 시체가 구덩이를 메우지만 다스린다는 자들은 바야흐로 고운 옷과 맛있는 음식에 자기만 살찌고 있으니, 어찌 슬프지 아니한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정약용(丁若鏞))
백성에 대한 그의 애정이 얼마나 깊은 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그가 섬기고자 했던 사람들은 양반들도 아니고, 왕도 아니고, 백성이었다. 지금 우리에게도 백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리더가 필요하다. 또한 정약용 같은 리더십을 가진 리더를 희망한다. 정약용이 가르쳐준 목민관의 역할을 공직자가 제대로 실행하다면 훌륭한 리더가 될 수 있을 것이다.
4. 참고문헌
사례로 읽은 목민심서 다산 정약용 리더십,정약용 원저/김정진편저,2012,도서출판 자유로
리더십의 고전 목민심서, 이인철 편역,2006,고려원북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정약용(丁若鏞))
한국콘텐츠진흥원 http://www.kocca.kr
추천자료
이승만 리더십 분석을 통한 바람직한 대통령 리더십 연구
[경영]도요타와 GE의 조직구조 및 리더십 분석
[경영]도요타와 GE의 조직구조 및 리더십 분석
리더십- 리더십과 권력을 구분하여 보세요.
[서번트리더십 사례] 서번트리더십의 개요, 서번트 리더의 사례 분석 - 서번트 리더십 사례
[ 리더의 리더십은 조직의 흥망성쇄를 좌우한다 올바른 리더십을 함양하기 위한 리더의 요건...
마거릿 대처 리더십 분석 (마거릿 대처 생애 경력사항 리더십 이론 사례 대처리즘 특성)
[2021 청소년리더십개발][기말시험] 1. 분석적 문제해결은 일반적으로 ‘문제정의’, ‘대안모색...
서번트 리더십 특성과 사례분석 및 서번트 리더십 역할,행동지침분석과 나의생각 - 서번트 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