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
1. 천식(Asthma)
2. 원인 및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치료 및 간호
5. 임상검사
Ⅱ. 간호 사례연구 도구
1. 일반적 사항
2. 가족력 및 과거력
3. 현병력
4. 진단검사 소견
5. 약물
6. 간호과정
Ⅲ. 참고문헌
1. 천식(Asthma)
2. 원인 및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치료 및 간호
5. 임상검사
Ⅱ. 간호 사례연구 도구
1. 일반적 사항
2. 가족력 및 과거력
3. 현병력
4. 진단검사 소견
5. 약물
6. 간호과정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백혈병, 다발성골수종
-감소: 신우신염, 당뇨병, 구토
ABGA 정상범위 확인함.
Chest x-ray 이상 없음.
5. 약물상품명
Albuterol 2.5mg
화학명
Salbutamol Sulfate
분류
교감신경β2수용체작용제
약물 작용기전
기관지 확장제 : 기관지를 감싸고 있는 평활근에 분포하는 베타-2 수용체에 작용하여 기관지를 확장시킨다. .
급성 증상에서 효과적으로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완화한다.
환자에게 투여한 이유
환자가 호흡곤란을 호소함.
주요 부작용
기관지 경련, 자극감, 두통, 떨림, 신경과민, 졸음, 맥박증가, 가슴 두근거림
간호내용
Peak flow를 측정한다.
처방받은 알부테롤 2.5mg을 네블라이저에 넣어 대상자에게 투여한다.
Peak flow를 재측정한다.
부작용이 있는지 사정한다.
6. 간호과정
간호진단명
#1
질병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2
기도 염증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3
증상 발현과 관련된 불안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숨쉬기 힘들어요.”
“증상이 시작될 때 밖에서 놀고 있었어요.”
“컨디션이 좋지 않아요.”
과거력 : 3년 전 천식을 진단받았으며 천식 흡입기를 사용함.
폐 청진 결과 쌕쌕거리는 소리가 들림.
대화 시 숨을 가빠하는 모습이 관찰됨.
V/S 121/81mmHg-130회/분-19회/분-36.2℃
SPO2 95%
C.C : dyspnea
Peak flow : 75L/min
간호진단
질병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간호목표
단기
목표
대상자는 1일 이내에 SpO2 98% 이상으로 유지한다.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호흡이 나아졌다고 말로 표현한다.
간호계획
2시간마다 호흡 수, 양상을 사정한다.
2시간마다 기침과 가래 양상을 사정한다.
산소포화도, peak flow, ABGA, Chest X-ray 결과를 모니터링한다.
peak flow는 약물 투여 전,후로 시행함.
알레르기 유무를 사정한다.
호흡하기 편안한 자세를 취해준다.
반좌위, 측위
처방에 따른 약물을 투약한다.
albuterol 2.5mg
느리고 깊은 호흡을 격려한다.
복식호흡, 입술 오므리기 호흡
환자와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환자 : 약의 작용, 현재 상태
보호자 : 환자 상태, 앞으로 시행할 치료와 간호 등
9. 천식 환자의 주의사항을 교육한다.
운동하기 전에, 기관지 확장제를 투여한다.
항상 흡입기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한다.
<이론적 근거>
기관지 연축으로 기도 폐쇄가 발생하면 비정상적인 호흡음이 발생한다. 호흡수의 변화는 폐조직의 질병, 혈액 세포의 산소운반 능력변화, 흉벽을 움직이는 근육의 손상과 같은 상태의 변화를 의심해볼 수 있다.
가래로 인한 기관지 폐쇄의 가능성을 사정하기 위함이다. 또한 기침 양상을 사정하여 효율적으로 기침을 하고 있는지 알아내고 적절한 간호를 하기 위함이다.
질병의 진행과 합병증을 알고 적절한 간호를 하기 위함이다.
질병의 원인을 찾고 과민성 알레르기 반응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침대 상부를 올려 반좌위를 취하면 호흡이 용이해지고, 테이블에 기대는 것은 근육 피로를 감소시키며 가슴의 팽창을 증진시켜 준다.
Albuterol은 기관지 확장제이자 천식치료제로 빠르게 기관지를 확장시키고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완화시킨다. Nebulizer는 약물이 직접 콧속, 목구멍, 기관, 기관지에 닿게 하여 항염증·항알레르기를 기대하는 치료법이다. 흡수가 빠르고 유효할 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통증없이 쉽게 실시할 수 있다.
대상자에게 호흡을 인식하게 하고 지지해 줌으로써 스스로 호흡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지식부족으로 인한 불안을 예방하고 약물의 사용법과 부작용을 정확히 알도록 하기 위함이다.
퇴원 이후에 지속적인 천식 관리를 하기 위함이다.
간호중재
호흡수는 19회/분이며, 천명음이 들리고 호흡시 가슴 일정하게 움직인 것을 관찰했다.
3. 산소포화도, peak flow, ABGA, Chest X-ray 결과를 모니터링했다.
산소포화도초기
Nebulizer 후
95%
98~99%
peak flowNebulizer 전
Nebulizer 후
75L/min
80L/min
ABGA 정상범위로 이상 없음.
Chest x-ray 정상 소견
4. 알레르기 유무를 보호자에게 질문하자 없다고 대답하였다.
6. 처방받은 Albuterol nebulizer 2.5mg(0.5mL) in 2mL normal saline을 투약하였다다.
8. 환자와 보호자에게 교육했다.
- 환자 “지금 투약하는 약물은 기관지를 확장시켜주어 숨쉬기 편안하게 해주는 작용을 합니다.”
- 보호자 “알부테롤 치료는 아이가 숨을 더 잘 쉴 수 있도록 폐를 여는 데 도움이 되는 약을 투여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상태가 호전되고 아이가 안정될 수 있도록 계속해서 활력징후와 호흡을 모니터할 것입니다. 천식을 더 잘 관찰하고 치료하기 위해 측정 용량 흡입기와 스페이서를 함께 사용하는 방법을 포함한 천식 행동 계획서를 제공해 드릴 것입니다.”
간호평가
단기목표 : 대상자는 1일 이내에 SpO2 98% 이상으로 유지한다. (달성)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호흡이 나아졌다고 말로 표현한다. (확인 못함.)
네블라이저 치료 이후, “숨쉬는게 어렵나요?”라고 질문했을 때 “아니요.”라고 대답했음.
환아의 사례 정리
5살 여아 Sabina Vasquaz는 3년 전에 천식을 진단받은 과거력이 있고, 오늘 밖에서 운동하다가 호흡곤란을 호소하며 병원에 입원하였다. V/S 121/81mmHg-130회/분-19회/분-36.2℃, SPO2 95%, peak flow 70L/min으로 측정되었다. 의식상태 명료하였고, 주치의 처방에 따른 알부테롤 2.5mg을 네블라이저에 넣어 분무치료를 시행하였다. 이 후, peak flow 85L/min으로 상승하였고, SPO2 98%로 측정되었다. 치료 후에 대상자는 숨쉬는게 힘들지 않다고 말했다.
Ⅲ. 참고문헌
박충선 외(2018), 아동건강간호학Ⅱ, 퍼시픽북스
권소희 외(2019), 핵심 건강사정, 수문사
성미혜 외(2018), 비판적 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
KIMS 의학정보센터(http://www.kimsonline.co.kr/)
-감소: 신우신염, 당뇨병, 구토
ABGA 정상범위 확인함.
Chest x-ray 이상 없음.
5. 약물상품명
Albuterol 2.5mg
화학명
Salbutamol Sulfate
분류
교감신경β2수용체작용제
약물 작용기전
기관지 확장제 : 기관지를 감싸고 있는 평활근에 분포하는 베타-2 수용체에 작용하여 기관지를 확장시킨다. .
급성 증상에서 효과적으로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완화한다.
환자에게 투여한 이유
환자가 호흡곤란을 호소함.
주요 부작용
기관지 경련, 자극감, 두통, 떨림, 신경과민, 졸음, 맥박증가, 가슴 두근거림
간호내용
Peak flow를 측정한다.
처방받은 알부테롤 2.5mg을 네블라이저에 넣어 대상자에게 투여한다.
Peak flow를 재측정한다.
부작용이 있는지 사정한다.
6. 간호과정
간호진단명
#1
질병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2
기도 염증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3
증상 발현과 관련된 불안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숨쉬기 힘들어요.”
“증상이 시작될 때 밖에서 놀고 있었어요.”
“컨디션이 좋지 않아요.”
과거력 : 3년 전 천식을 진단받았으며 천식 흡입기를 사용함.
폐 청진 결과 쌕쌕거리는 소리가 들림.
대화 시 숨을 가빠하는 모습이 관찰됨.
V/S 121/81mmHg-130회/분-19회/분-36.2℃
SPO2 95%
C.C : dyspnea
Peak flow : 75L/min
간호진단
질병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간호목표
단기
목표
대상자는 1일 이내에 SpO2 98% 이상으로 유지한다.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호흡이 나아졌다고 말로 표현한다.
간호계획
2시간마다 호흡 수, 양상을 사정한다.
2시간마다 기침과 가래 양상을 사정한다.
산소포화도, peak flow, ABGA, Chest X-ray 결과를 모니터링한다.
peak flow는 약물 투여 전,후로 시행함.
알레르기 유무를 사정한다.
호흡하기 편안한 자세를 취해준다.
반좌위, 측위
처방에 따른 약물을 투약한다.
albuterol 2.5mg
느리고 깊은 호흡을 격려한다.
복식호흡, 입술 오므리기 호흡
환자와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환자 : 약의 작용, 현재 상태
보호자 : 환자 상태, 앞으로 시행할 치료와 간호 등
9. 천식 환자의 주의사항을 교육한다.
운동하기 전에, 기관지 확장제를 투여한다.
항상 흡입기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한다.
<이론적 근거>
기관지 연축으로 기도 폐쇄가 발생하면 비정상적인 호흡음이 발생한다. 호흡수의 변화는 폐조직의 질병, 혈액 세포의 산소운반 능력변화, 흉벽을 움직이는 근육의 손상과 같은 상태의 변화를 의심해볼 수 있다.
가래로 인한 기관지 폐쇄의 가능성을 사정하기 위함이다. 또한 기침 양상을 사정하여 효율적으로 기침을 하고 있는지 알아내고 적절한 간호를 하기 위함이다.
질병의 진행과 합병증을 알고 적절한 간호를 하기 위함이다.
질병의 원인을 찾고 과민성 알레르기 반응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침대 상부를 올려 반좌위를 취하면 호흡이 용이해지고, 테이블에 기대는 것은 근육 피로를 감소시키며 가슴의 팽창을 증진시켜 준다.
Albuterol은 기관지 확장제이자 천식치료제로 빠르게 기관지를 확장시키고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완화시킨다. Nebulizer는 약물이 직접 콧속, 목구멍, 기관, 기관지에 닿게 하여 항염증·항알레르기를 기대하는 치료법이다. 흡수가 빠르고 유효할 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통증없이 쉽게 실시할 수 있다.
대상자에게 호흡을 인식하게 하고 지지해 줌으로써 스스로 호흡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지식부족으로 인한 불안을 예방하고 약물의 사용법과 부작용을 정확히 알도록 하기 위함이다.
퇴원 이후에 지속적인 천식 관리를 하기 위함이다.
간호중재
호흡수는 19회/분이며, 천명음이 들리고 호흡시 가슴 일정하게 움직인 것을 관찰했다.
3. 산소포화도, peak flow, ABGA, Chest X-ray 결과를 모니터링했다.
산소포화도초기
Nebulizer 후
95%
98~99%
peak flowNebulizer 전
Nebulizer 후
75L/min
80L/min
ABGA 정상범위로 이상 없음.
Chest x-ray 정상 소견
4. 알레르기 유무를 보호자에게 질문하자 없다고 대답하였다.
6. 처방받은 Albuterol nebulizer 2.5mg(0.5mL) in 2mL normal saline을 투약하였다다.
8. 환자와 보호자에게 교육했다.
- 환자 “지금 투약하는 약물은 기관지를 확장시켜주어 숨쉬기 편안하게 해주는 작용을 합니다.”
- 보호자 “알부테롤 치료는 아이가 숨을 더 잘 쉴 수 있도록 폐를 여는 데 도움이 되는 약을 투여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상태가 호전되고 아이가 안정될 수 있도록 계속해서 활력징후와 호흡을 모니터할 것입니다. 천식을 더 잘 관찰하고 치료하기 위해 측정 용량 흡입기와 스페이서를 함께 사용하는 방법을 포함한 천식 행동 계획서를 제공해 드릴 것입니다.”
간호평가
단기목표 : 대상자는 1일 이내에 SpO2 98% 이상으로 유지한다. (달성)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호흡이 나아졌다고 말로 표현한다. (확인 못함.)
네블라이저 치료 이후, “숨쉬는게 어렵나요?”라고 질문했을 때 “아니요.”라고 대답했음.
환아의 사례 정리
5살 여아 Sabina Vasquaz는 3년 전에 천식을 진단받은 과거력이 있고, 오늘 밖에서 운동하다가 호흡곤란을 호소하며 병원에 입원하였다. V/S 121/81mmHg-130회/분-19회/분-36.2℃, SPO2 95%, peak flow 70L/min으로 측정되었다. 의식상태 명료하였고, 주치의 처방에 따른 알부테롤 2.5mg을 네블라이저에 넣어 분무치료를 시행하였다. 이 후, peak flow 85L/min으로 상승하였고, SPO2 98%로 측정되었다. 치료 후에 대상자는 숨쉬는게 힘들지 않다고 말했다.
Ⅲ. 참고문헌
박충선 외(2018), 아동건강간호학Ⅱ, 퍼시픽북스
권소희 외(2019), 핵심 건강사정, 수문사
성미혜 외(2018), 비판적 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
KIMS 의학정보센터(http://www.kimsonline.co.kr/)
소개글